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2.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3.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보, 경량골재 콘크리트, 최대 주철근 비, 휨 연성
beam, lightweight concrete, maximum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flexural ductility

1. 서 론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보의 연성은 일반적으로 주철근 양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설계기준들(KCI 2017; ACI Committee 318 2019)(1,8)은 주철근 양에 대한 최대값을 규정하고 있다(Wight 2016)(19). KCI 2017(2017) 및 ACI 318-19(2019)에서는 RC 보의 최대 주철근량을 압축연단 콘크리트 변형률이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변형률이 0.004 이상 또는 재료 항복변형률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는 주철근량이 과다 배근된 RC 보에서 압축지배로 인한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Yang et al. 2020)(22). 하지만 설계기준 및 기존 연구들에서는 경량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연성측면에서 최대 주철근 양의 제한에 대한 언급은 여전히 부족하다.

경량골재 콘크리트(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는 일반적으로 1,400~2,100 kg/m3의 범위의 단위용적중량($w_{c}$)을 갖는다(KCI 2016)(7). 보통중량 콘크리트(normal-weight concrete, NWC) 보다 낮은 중량을 갖는 LWAC는 구조물의 자중을 감소시켜 부재단면의 축소가 가능하며, 구조물 전체의 경량화를 통한 내진성능 향상에도 유리하다(Yang and Mun 2013)(20). 그러나 LWAC에 사용되는 경량골재는 높은 내부 공극률로 인해 천연 보통중량 골재에 비해 낮은 강성과 강도 특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LWAC의 응력-변형률 거동은 동일 압축강도를 갖는 NWC에 비해 더 급격한 응력 하강기울기를 갖는다(Lee 2018)(9). 결과적으로 LWAC 보는 동일한 압축강도와 주철근 양을 갖는 NWC 보에 비해 휨 연성이 낮을 수 있는데, 이 경향은 주철근 비가 증가할수록 더 현저하게 된다(Yang et al. 2014a)(21). 이는 LWAC 보에서 NWC 보와 동등한 휨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철근 양의 최대 한계 값을 낮출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KCI 2017(2017)에서 제시하는 최대 주철근 비의 값이 LWAC 보의 연성확보 측면에서 합리적인지를 파악하고 NWC 보와 동등한 연성 확보측면에서 최대 주철근비에 대한 보정계수를 제시하는 것이다. RC 보의 휨 변위 연성비는 Yang et al.(2014a)에 의해 제시된 2차원 비선형 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제시된 보정계수는 최대 주철근 비를 갖는 기존 RC 보들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연성비 측면에서 그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2. 비선형 해석에 의한 변수연구

2.1 비선형 해석 절차

일반적으로 RC 보의 휨 연성은 하중-변위 거동에서 최대 내력의 변위($\Delta_{n}$)를 항복시점의 변위($\Delta_{y}$)로 나눈 값인 변위 연성비($\mu_{\Delta}$)의 개념으로 평가한다(Park and Paulay 1975)(13). RC 보의 하중-변위 거동은 Yang et al.(2014a)에 의해 제시된 단면분할법 기반의 2차원 비선형 해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Fig. 1). 2차원 비선형 해석절차(2-dimensional nonlinear analysis; 2-D NLA)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는 길이방향으로 $n$개의 절점으로 분할한다; 2) 위험단면에서는 임의의 콘크리트 압축연단 변형률($\epsilon_{c}(i,\: 1)_{n}$)을 증분하며, $\epsilon_{c}(i,\: 1)_{n}$에서의 중립축 깊이($c(i,\: 1)$)를 가정한다; 3) 가정된 $c(i,\: 1)$에 대해 단면의 각 위치에서 변형률은 직선 비례식으로부터 산정하고, 그때의 응력은 각 재료의 응력-변형률 관계로부터 결정된다; 4) 위험단면에서 $c(i,\: 1)$는 단면에서 힘의 평형조건으로부터 결정된다; 5) 위험단면에서 결정된 $c(i,\: 1)$에 대해 산정된 모멘트($M(i,\: 1)$)로부터 각 단면 $j$에서의 외력 모멘트 $M_{E}(i,\: j)$는 보 길이에 따른 모멘트 분포로부터 산정된다; 6) 각 단면 $j$에서의 중립축 깊이($c(i,\: j)$)와 압축연단 변형률($\epsilon_{c}(i,\: j)$)은 단면에 작용하는 응력들로부터 산정된 힘들의 평형조건과 모멘트 평형조건($M_{I}(i,\: j)$=$M_{E}(i,\: j)$)으로부터 결정된다; 7) 각 단면 $j$에서 결정된 중립축 깊이($c(i,\: j)$)와 $\epsilon_{c}(i,\: j)$에 대해 곡률($\phi(i,\: j)$)을 산정한다; 8) 보 길이를 따라 산정된 곡률 분포로부터 모멘트 면적법 원리를 이용하여 보 경간 중앙에서 처짐을 구한다; 9) $i$ 단계에서 하중은 $M(i,\: 1)$으로부터 산정한다. 콘크리트의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는 $w_{c}$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f_{ck}$)를 고려한 Yang et al.(2014b)의 모델을 이용하였다. 콘크리트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는 최대 인장응력까지만 직선으로 가정하였으며, 최대 인장응력 도달 후에는 콘크리트 인장저항성을 무시하였다. 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경화특성을 고려한 Wang(1977)의 모델을 이용하였다.

Fig. 1. Distribution of strains and stresses in 2-D NLA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1.png

Fig. 2. Comparison of measured load-deflection curves and predictions by 2-D NLA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2.png

2.2 기존 연구와 비교 및 분석

Fig. 2에는 기존 실험결과(Jang et al. 2008; Sin et al. 2011; Bernardo et al. 2016)(3,6,17)와 2차원 비선형 해석으로 산정된 하중-변위 관계를 비교하였다. 2차원 비선형 해석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 연구의 하중-변위 관계들은 주철근 비($\rho_{s}$), $w_{c}$ 및 $f_{ck}$ 등 다양한 변수조건을 갖는 실험체들로 선정하였다. 예측된 하중-변위 관계는 기존 실험결과의 항복 및 최대 내력 구간을 전체적으로 잘 예측하였다. 특히 2차원 비선형 해석은 하중-변위 관계에서의 $\rho_{s}$ 및 $w_{c}$의 영향을 잘 반영하였다. 즉, 2차원 비선형 해석을 통해 예측된 하중-변위 관계는 $\rho_{s}$, $w_{c}$ 및 $f_{ck}$에 관계없이 기존 실험결과들을 전체적으로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Fig. 3에는 2차원 비선형 해석에서 얻은 보의 하중-변위 관계로부터 결정된 $\mu_{\Delta}$ 값과 기존 실험결과(Shin 1988; Ahmad and Barker 1991; Lee 1997; Oh et al. 1998; Park and Kim 1999; Maghsoudi and Bengar 2006; Byon et al. 2010; Shafigfh et al. 2011; Sin et al. 2011; Carmo et al. 2013; Bernardo et al. 2016)(2-5,10-12,14-17)를 비교하였다. 기존 실험에서 LWAC 보는 팽창점토를 활용한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였으며, NWC 보에서는 주로 화강암 골재를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의 단순보들은 모두 휨에 의해 그 거동이 지배되었다. 기존 실험에서 주요 변수들은 NWC에서 $\rho_{s}$가 0.003~0.042, 압축철근 비($\rho_{s}'$)가 0~0.014, $w_{c}$가 2,107~2,432 kg/m3, 전단경간비($a/d_{s}$)가 2.8~6.4의 범위를 가지며, LWAC에서는 $\rho_{s}$가 0.001~0.034, $\rho_{s}'$가 0~0.017, $w_{c}$가 1,651~2,070 kg/m3 및 $a/d_{s}$가 2.9~6.7의 범위를 갖는다. 실험결과로부터 얻은 $\mu_{\Delta}$ 값들과 2차원 비선형 해석결과로부터 얻은 값들의 비의 평균($\gamma_{m}$) 및 표준편차($\gamma_{s}$)는 각각 NWC 보에서 1.05와 0.13이며, LWAC 보에서는 1.02와 0.15이다. 이들 값으로부터 2차원 비선형 해석은 다양한 설계조건($w_{c}$, $\rho_{s}$ 및 $f_{ck}$ 등)을 갖는 RC 보의 $\mu_{\Delta}$ 평가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Fig. 3.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mu_{\Delta}$ and predic-tions by 2-D NLA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3.png

3. LWAC 보에서 최대 주철근 비 보정

3.1 최대 주철근 비($bold\rho_{s,\:\max}$)

KCI 2017(2017)에서는 항복강도 400 MPa 이상의 철근을 사용한 보에서 $\rho_{s,\:\max}$를 $\epsilon_{cu}$가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 주철근의 변형률 값($\epsilon_{s}$)의 최소 값이 재료 항복 변형률($\epsilon_{y}$)의 2배가 되도록 제한하고 있다. Fig. 4에는 $\rho_{s,\:\max}$를 갖는 RC 보의 최대 내력상태에서의 응력 및 변형률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때의 압축연단 및 인장연단의 변형률과 중립축 깊이($c_{n}$)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비례식으로 정리될 수 있다.

Fig. 4. Distribution of strains and stresses at ultimate state of RC beams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4.png

(1)
$c_{n}:\epsilon_{cu}=(d-c_{n}):\epsilon_{s}=(d-c_{n}):2\epsilon_{y}$

여기서, $c_{n}$은 중립축의 깊이를, $d$는 단면의 유효깊이를 나타낸다. 최대 주철근 비($\rho_{s,\:\max}$)를 갖는 RC 보의 $c_{n}$은 식(1)을 통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2)
$c_{n}=\dfrac{\epsilon_{cu}d}{2\epsilon_{y}+\epsilon_{cu}}$

또한 $c_{n}$은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c_{n}=\dfrac{A_{s}f_{y}-A_{s}^{'}f_{s}^{'}}{0.85f_{ck}\beta_{1}b_{w}}$

여기서, $A_{s}$는 주철근의 단면적을, $A_{s}^{'}$는 압축철근의 단면적을, $f_{y}$는 주철근의 항복강도를, $f_{s}^{'}$는 압축철근의 응력을, $\beta_{1}$은 콘크리트 등가응력 블록의 깊이 계수를, $b_{w}$는 단면의 폭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식(2)식(3)은 다음과 같이 재정리될 수 있다.

(4)
$A_{s}=\left[0.85\beta_{1}\left(\dfrac{f_{ck}}{f_{y}}\right)\left(\dfrac{\epsilon_{cu}}{2\epsilon_{y}+\epsilon_{cu}}\right)+\rho_{s}^{'}\left(\dfrac{f_{s}^{'}}{f_{y}}\right)\right]b_{w}d$

식(4)의 $A_{s}$는 KCI 2017(2017)을 이용하여 $\epsilon_{c}$가 0.003에 도달할 때 $\epsilon_{s}$가 $\epsilon_{y}$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조건으로부터 유도되었다. 따라서 식(4)의 $A_{s}$를 통해 산정된 $\rho_{s}$는 RC 보의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rho_{s,\:\max}$로 간주할 수 있다.

3.2 변수별 영향평가

Fig. 5에는 2차원 비선형해석에 이용된 Yang et al.(2014b)의 응력-변형률 모델을 나타내었다. 예측된 응력-변형률 관계는 $w_{c}$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동일한 $f_{ck}$를 갖는 전경량 콘크리트(all-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LWAC), 모래경량 콘크리트(sand-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LWAC) 및 NWC를 비교하였다. 이때 적용된 $w_{c}$는 ALWAC, SLWAC 및 NWC에서 각각 1,400 kg/m3, 1,700 kg/m3 및 2,300 kg/m3이다. ALWAC 및 SLWAC의 초기강성은 NWC보다 낮았다. 또한, $f_{ck}$ 이후 응력-변형률 관계는 급격한 응력 저하가 발생하였으며, ALWAC 및 SLWAC가 NWC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즉, Yang et al.(2014b)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w_{c}$가 감소할수록 초기 기울기는 낮고 최대 응력 이후 응력 감소 기울기는 더 급격한 취성적인 경향을 보인다.

Fig. 5. Strain-stress relationships of unconfined concrete from analysis (Yang et al. 2014b)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5.png

Fig. 6에는 2차원 비선형 해석에 의해 예측된 RC 보의 하중-변위 관계로부터 결정된 $\mu_{\Delta}$에 대한 주요 변수들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선정된 주요 변수들은 $\rho_{s}$가 0.003 ~ 0.024, $\rho_{s}'$가 0~0.003, $w_{c}$가 1,400~2,300 kg/m3 및 $f_{ck}$가 20~100 MPa의 범위에 있다. 변위 연성비($\mu_{\Delta}$)는 LWAC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동일한 변수범위를 갖는 ALWAC, SLWAC 및 NWC로 비교하였다. NWC 및 ALWAC 보의 $\mu_{\Delta}$는 $\rho_{s}$가 약 24.5 % 감소할 때 각각 1.38배 및 1.35배 증가하였다. 주철근 비($\rho_{s}$)가 0.024일 때, ALWAC 및 SLWAC 보의 $\mu_{\Delta}$는 NWC 보에 비해 각각 5 % 및 14 % 낮았다. 압축철근비($\rho_{s}^{'}$)가 3배 증가할 때 $\rho_{s,\:\max}$ 영역의 $\mu_{\Delta}$는 $w_{c}$에 관계없이 약 1.13배 증가하였으며, $\mu_{\Delta}$에 대한 $\rho_{s}^{'}$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최대 주철근 비($\rho_{s,\:\max}$)를 갖는 NWC 보는 $f_{ck}$가 20 MPa에서 40 MPa로 증가할 때 $\mu_{\Delta}$는 약 1.01배 증가하였다. 반면, LWAC 보는 $f_{ck}$가 20 MPa에서 40 MPa로 증가할 때, $\mu_{\Delta}$가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의 정도는 SLWAC 및 ALWAC에서 각각 2 % 및 3 % 이내였다. 최대 주철근 비($\rho_{s,\:\max}$)를 갖는 RC 보의 $\mu_{\Delta}$에 대한 $f_{ck}$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즉, RC 보의 $\mu_{\Delta}$는 $\rho_{s}^{'}$ 및 $f_{ck}$보다 $\rho_{s}$에 의한 영향이 현저하다. 한편, 동일 변수 조건에서 ALWAC 보의 $\mu_{\Delta}$ 값은 SLWAC 보 및 NWC 보에 비해 낮았다. 즉, RC 보의 $\mu_{\Delta}$는 $w_{c}$의 감소와 함께 감소하였다.

Fig. 6. Effects of different parameters on $\mu_{\Delta}$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6_1.png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6_2.png

3.3 최대 주철근 비를 갖는 보의 하중-변위 관계

Fig. 7에는 2.1절의 2차원 비선형 해석을 통해 예측된 $\rho_{s,\:\max}$를 갖는 NWC 및 LWAC 보의 $\rho_{s}$에 따른 하중-변위 관계 및 $\mu_{\Delta}$를 나타내었다. ALWAC 및 SLWAC의 하중-변위 관계의 최대 내력 이전까지의 거동은 NWC 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ALWAC 및 SLWAC 보는 최대 내력 이후 NWC 보보다 하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취성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특히 ALWAC 보가 SLWAC 보에 비해 취성적인 경향이 더 현저하였다. 최대 주철근 비($\rho_{s,\:\max}$) 영역의 SLWAC 및 ALWAC 보는 예측된 $\mu_{\Delta}$값이 NWC 보에 비해 각각 8 % 및 17 % 낮았다. 결과적으로 KCI 2017(2017)의 $\rho_{s,\:\max}$는 LWAC 보의 연성을 NWC 보와 동등한 수준으로 발휘하기 위해서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값을 낮출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3.4 최대 주철근 비 보정계수 모델제시

이전 절에서 파악된 바와 같이 RC 보는 $\rho_{s}$가 증가하거나 $w_{c}$가 감소할 때에 그 연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LWAC 보에서 식(4)에 나타낸 최대 주철근 량은 NWC 보와 동등한 연성확보를 위해서 감소 될 필요가 있다. 즉, NWC 보의 최대 주철근 비에서 보정계수($\chi$)를 고려하면 LWAC 보의 $\rho_{s,\:\max}$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7. Load-deflection relationship of different beams with $\rho_{s,\:\max}$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7.png

(5)
$(\rho_{s})_{LWAC}=\chi(\rho_{s,\:\max})_{NWC}$

여기서, $(\rho_{s})_{LWAC}$는 LWAC 보의 $\mu_{\Delta}$가 $\rho_{s,\:\max}$를 갖는 NWC 보의 $\mu_{\Delta}$와 동등한 수준으로 확보할 때의 $\rho_{s}$를, $(\rho_{s,\:\max})_{NWC}$는 KCI 2017(2017)에 의해 산정된 $\rho_{s,\:\max}$를 의미한다. Fig. 8에는 $\chi$에 대한 $w_{c}/w_{0}$ 및 $f_{ck}/f_{co}$의 영향을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w_{0}$ 및 $f_{c0}$는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 및 압축강도의 참고 값으로 각각 2,300 kg/m3 및 10 MPa를 의미한다. 식(5)에서 $\chi$ 값의 산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1) KCI 2017(2017)에서 제시된 $\rho_{s,\:\max}$로 설계된 NWC 보의 $\mu_{\Delta}$는 2차원 비선형 해석에서 예측된 하중-변위 관계로부터 산정한다; 2) NWC 보와 동일한 상세를 갖는 LWAC 보의 $\mu_{\Delta}$를 같은 방식에 의해 정한다; 3) LWAC 보의 $\mu_{\Delta}$가 NWC 보의 $\mu_{\Delta}$와 동등한 값을 가질 때까지 LWAC 보에서 주철근 양을 감소시킨다; 4) 최종적으로 결정된 $\rho_{s}$에 대해 식(5)를 이용하여 $\chi$를 계산한다.

위의 절차로부터 산정된 $\chi$는 다양한 변수 범위에서 주요변수들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때 변수연구에서 적용된 주요 변수들은 $\rho_{s}$가 0.007~0.038, $\rho_{s}^{'}$가 0~0.003, $f_{y}$가 400~500 MPa, $w_{c}$가 1,400~2,300 kg/m3 및 $f_{ck}$가 20~60 MPa 범위에 있다. LWAC 보에서 $\chi$ 값은 $w_{c}/w_{0}$가 26 % 감소할 때, 약 17 % 감소하였다(Fig. 8(a)). 반면, $\chi$ 값은 $f_{ck}/f_{c0}$가 2배 증가할 때, 약 5 %로 감소하였다(Fig. 8(b)). 즉, $\chi$ 값은 $w_{c}/w_{0}$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지만 $f_{ck}/f_{c0}$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였다. 따라서 $\chi$ 값을 $w_{c}/w_{0}$의 함수로만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Fig. 8(a)).

(6)
$\chi =\left(\dfrac{w_{c}}{w_{0}}\right)^{0.7}\le 1.0$

식(6)에서 제시된 $\chi$ 값은 $w_{c}$가 2,300 kg/m3에서 1,400 kg/m3 및 1,700 kg/m3으로 감소할 때 각각 29 % 및 19 % 감소된다. 즉, $w_{c}$가 감소할수록 보정계수 값은 감소한다. 이는 LWAC 보의 $\mu_{\Delta}$가 NWC 보와 동등한 수준으로 있기 위해서는 $w_{c}$가 감소함에 따라 최대 주철근 양은 낮게 있어야 함을 잘 반영하고 있다.

Fig. 8. Estimation of compensation factor ($\chi$)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8.png

4. 제시된 보정계수의 검증

Fig. 9에는 LWAC 및 NWC 보의 항복 이후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항복시점의 하중($P_{y}$) 및 처짐($\Delta_{y}$)으로 무차원화된 하중-변위 관계(Oh et al. 1998; Park and Kim 1999; Byon et al. 2010; Shafigh et al. 2011)(12,14,15)를 나타내었다. 2차원 비선형 해석을 이용하여 $\chi$가 적용된 LWAC 보의 무차원화된 하중-변위 관계의 예측 곡선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rho_{s,\:\max}$를 갖는 LWAC 보는 NWC 보에 비해 최대 내력 이후 하중의 감소 기울기가 더 급격하였다. 최대 주철근 비 보정계수($\chi$)를 적용하여 $\rho_{s,\:\max}$를 감소시킨 LWAC 보의 하중-변위 관계에 대한 예측 곡선은 최대 내력 이후의 거동이 NWC 보와 비슷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따라서 LWAC 보에서 KCI 2017(2017)의 $\rho_{s,\:\max}$를 $\chi$ 값만큼 보정 할 경우 그 연성을 NWC 보와 동등한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Fig. 9. Comparison of load-deflection relationship for $\rho_{s,\:\max}$ with $\chi$

../../Resources/kci/JKCI.2020.32.5.419/fig9.png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2차원 비선형 해석에 기반하여 KCI 2017 (2017)에서 제시하는 최대 주철근 비를 갖는 RC 보의 휨 변위 연성비를 평가하고, NWC 보와 동등한 연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LWAC 보의 최대 주철근비에 대한 보정계수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Yang et al.에 의해 제시된 2차원 비선형 절차는 다양한 설계조건($w_{c}$, $\rho_{s}$ 및 $f_{ck}$ 등)을 갖는 RC 보의 하중-처짐 관계를 합리적으로 평가하였다.

2)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및 NWC 보의 $\mu_{\Delta}$는 주철근 비가 약 24.5 % 감소할 때 각각 1.38배 및 1.35배 증가하였다. 최대 주철근 비로 배근된 LWAC 보의 예측된 $\mu_{\Delta}$는 동일한 주철근지수($\omega_{s}$=0.015)에서 NWC 보 보다 평균 12.5 % 낮았다.

3) 보의 변위 연성비($\mu_{\Delta}$)는 콘크리트 단위용적중량의 감소와 함께 감소하는데, 이 경향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주철근 비가 낮을수록 더 뚜렷하였다.

4)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보의 연성을 NWC 보와 동등한 수준으로 확보하는 측면에서 KCI 2017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대 주철근 비에 대한 보정계수($\chi$)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였다. 결과적으로 $\chi$ 값은 $(w_{c}/w_{0})^{0.7}$로 제시할 수 있었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17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과제번호: No. 2017R1A2B3008463)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중견연구사업이며, 2020학년도 경기대학교 대학원 연구원장학생 장학금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19,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19) and Commentary (ACI 318R-19). USA, Michigan,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2 
Ahmad S. H., Barker R., 1991,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Beams, ACI Structural Journal, Vol. 88, No. 1, pp. 69-77Google Search
3 
Bernardo L. F. A., Nepomuceno M. C. S., Pinto H. A. S., 2016, Flexural Ductility of Lightweight-Aggregate Concrete Beams,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22, No. 5, pp. 622-633DOI
4 
Byon E. H., Kim M. S., Lee Y. H., Kim H. C., 2010,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Polymer-Modifi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One- Way Members,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23, No. 5, pp. 551-558Google Search
5 
Carmo R. N. F., Costa H., Simōes T., Lourenço C., Andrade D., 2013, Influence of Both Concrete Strength and Transverse Confinement on Bending Behavior of Reinforced LWAC Beams, Engineering Structures, Vol. 48, pp. 329-341DOI
6 
Jang I. Y., Park H. G., Kim S. S., Kim J. H., Kim Y. G., 2008, On Ductility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Vol. 2, No. 2, pp. 115-122Google Search
7 
KCI , 2016,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pp. 21-24Google Search
8 
KCI , 2017, KCI Model Code 2017.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pp. 132-135Google Search
9 
Lee K. H., 2018, Reliable Model Proposals for Mechanical Properties and Mixing Proportioning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using Expanded Bottom Ash and Dredged Soil Granules. Ph.D. Thesis. Kyonggi UniversityGoogle Search
10 
Lee S. J., 1997, Flexural Behavior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Google Search
11 
Maghsoudi A. A., Bengar H. A., 2006, Flexural Ductility of HSC Members, Structures Engineering and Mechanics, Vol. 24, No. 2, pp. 195-212Google Search
12 
Oh C. Y., Kim J. S., Ha G. J., Kwak Y. K., 1998, A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High 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14, No. 11, pp. 19-27Google Search
13 
Park R., Paulay T., 1975,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Hoboken. NJ,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John Wiley & Sons, Ltd., pp. 196-199Google Search
14 
Park S. J., Kim Y. B., 199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Ductility of Doubly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Different Concrete Strength,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1, No. 3, pp. 131-140Google Search
15 
Shafigh P., Hassanpour M., Razavi S. V., Kobrai M., 2011, An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Physical Sciences, Vol. 6, No. 10, pp. 2414-2421DOI
16 
Shin S. W., 1988, Member Ductility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4, No. 5, pp. 295-298Google Search
17 
Sin L. H., Huan W. T., Islam M. R., Mansur M. A., 2011,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in Flexure, ACI Structural Journal, Vol. 108, No. 1, pp. 3-12DOI
18 
Wang P. T., 1977, Complete Stress-Strain Curve of Concrete and its Effect on Ductility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Google Search
19 
Wight J. K., 2016, Reinforced Concrete: Mechanics and Design. 7th Edition. London, England, Pearson, pp. 179-183Google Search
20 
Yang K. H., Mun J. H., 2013, Flexural Capacity and Stress in Unbonded Tendons of Post-Tension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Advances in Structural Engineering, Vol. 16, No. 7, pp. 1297-1310DOI
21 
Yang K. H., Mun J. H., Lee J. S., 2014a, Flexural Tests on Pre-Tension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Structures and Buildings, Vol. 167, No. 4, pp. 203-216DOI
22 
Yang K. H., Mun J. H., Lee K. H., 2020, Evaluation of Ductility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T-beam Arranged with Maximum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2, No. 1, pp. 11-18Google Search
23 
Yang K. H., Mun J. H., Cho M. S., Kang T. H. K., 2014b, Stress-Strain Model for Various Unconfined Concrete in Compression,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1, No. 4, pp. 819-826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