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rofessor, School of Civil,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Rep. of Korea)
  2.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ivil,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Rep. of Korea)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멘트골조, 연결부, 지진하중의 영향, 예상전단강도
precast concrete, intermediate moment frames, connections, effects of earthquake, probable shear strength

1. 서 론

산업 자동화, 인구 감소, 시설물의 노후화 등으로 최근 우리나라 건설 산업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현장 인력의 감소 문제 해결과 시공 효율화를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필요성이 이전부터 논의되었지만, 북미나 유럽 등 다른 나라에 비하여 우리나라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이 활성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관련된 기준도 다른 주요 기준에 비하여 부족한 부분이 많다.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분야에 대해서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 21.1.1(2) 규정에서 “일체식 구조물과 다른 조립식 구조물의 경우 적절한 물리적 증거와 해석에 따라 수정되어야 하며, 구조물에 따른 특별 내진설계는 해당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실무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내진 설계할 때 적절한 반응수정계수, 시스템초과계수 등과 같은 지진계수를 적용하기가 어렵고, 철근 상세 적용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미국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 규정은 NEHRP(FEMA 1994)에서 처음으로 반영되었다. NEHRP (FEMA 1994)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습식 연결부를 사용하여 일체식 콘크리트와 동일한 성능을 갖는 구조물과 건식 연결부로 연결된 구조물로 구분하였다. 이후 NEHRP(FEMA 2000)에서는 지진저항골조를 보통, 중간, 특수모멘트골조로 구분하고 구조벽체를 보통, 특수구조벽체로 구분하였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 연결부를 강도연결부와 연성연결부로 구분한 후에 각각의 연결부의 설계조건을 규정하였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구조벽체 연성연결부의 설계조건을 규정하였다.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과 유사한 ACI 318-02 (ACI 2002) 기준에서는 NEHRP(FEMA 2000)에 근거하여 지진저항골조를 보통, 중간, 특수모멘트골조로 구분하고 구조벽체를 보통, 특수구조벽체로 구분하였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의 강도연결부와 연성연결부, 특수구조벽체 연성연결부의 설계조건을 규정하였다. ACI 318-08(ACI 2008) 기준에서는 구조시스템에 내진설계범주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구조벽체의 경우에는 내진설계범주 C, D(높이 제한)까지 설계가 가능하지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통구조벽체는 내진설계범주 A와 B까지로 제한하였다. ACI 318-11(ACI 2011) 기준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구조벽체에 벽체 피어에 대한 규정이 추가되었으며 이 규정이 ACI 318-14(ACI 2014) 기준까지 지속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내진설계에 대해서 Ghosh 등(Ghosh 2000, 2001; Ghosh and Hawkins 2001; Ghosh and Dowty 2003; Ghosh 2004)과 Hawkins 등(Hawkins and Ghosh 2000a, 2000b)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시스템을 규정하고, 연성연결부와 강도연결부의 적용 및 지진등급과 구조시스템에 대한 연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기준을 뒷받침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Hewes and Priestley 2002; Holden et al. 2003; Billington et al. 2004)의 내진성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에서는 형상비가 다른 기둥,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벽체 등의 내진성능이 평가되었다. 국내에서는 Lee 등(Lee et al. 2009)과 Choi 등(Choi et al. 20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접합부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지침으로 대한건축학회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건축구조 설계기준(AIK 1992)을 출판하였다. 이 기준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해석은 원칙적으로 탄성이론에 근거하여 연결부의 영향을 고려하여 탄성계수를 일반콘크리트의 1/4까지 저감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반응수정계수를 내력벽구조, 모멘트저항골조, 이중골조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대하여 각각 3.0, 4.5, 4.0 또는 5.0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에서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서는 지진저항골조를 보통, 중간, 특수모멘트골조로 구분하고 구조벽체를 보통, 특수구조벽체로 구분하였지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진저항골조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이나 KBC 2016(AIK 2016)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특별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아 실무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수행할 때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준에 ACI 318-14(ACI 2014) 기준과 동일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와 특수모멘트골조를 적용할 경우에 우려되는 연결부 성능을 검토하였다. ACI 318-14(ACI 2014) 기준에서는 프리캐스트 특수모멘트골조에 대한 연결부 상세를 규정하고 있지만, 프리캐스트 중간모멘트골조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대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검증을 위한 여러 지침(ACI 550.1R-01(ACI-ASCE 2001), ACI T1.1-01(ACI 2001), ACI T1.2-03(ACI 2003))을 제공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이 현장타설콘크리트 구조물과 유사한 성능이 발휘되면 현장타설콘크리트 구조물과 동일한 지진계수를 사용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내진설계도 기본적인 개념은 ACI 318-14(ACI 2014)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제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을 검토할 수 있는 규정은 거의 없다. 따라서 만일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에 ACI 318-14(ACI 2014) 기준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진설계 개념을 도입할 경우에는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제한조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와 특수모멘트골조의 연결부 성능을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 크기를 조절하여 검토하였다.

2. 프리캐스트 중간모멘트골조 해석

2.1 기준 적용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의 내진설계는 ACI 318-14(ACI 2014) 기준과 유사하지만 프리캐스트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상이하다. Table 1에서는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과 ACI 318-14(ACI 2014) 기준을 비교하였다. Table 1에서 ACI 318-14(ACI 2014) 기준에는 중간프리캐스트구조벽체, 특수프리캐스트구조벽체, 특수프리캐스트골조가 있으며 각 구조시스템에는 프리캐스트 부재와 부재 간의 연결부에 대한 상세규정을 두고 있다.

Table 1. Comparison of structural systems of ACI 318-14 and KCI-17

ACI 318-14

KCI-17

Ordinary moment frames

Ordinary moment frames

Intermediate moment frames

Intermediate moment frames

Intermediate precast structural walls

-

Beams of special moment frames

Beams of special moment frames

Columns of special moment frames

Columns of special moment frames

Joints of special moment frames

Joints of special moment frames

Special moment frames constructed using precast concrete

-

Special structural walls

Special structural walls

Special structural walls constructed using precast concrete

-

Table 2에서는 ASCE 7-10(ASCE 2010) 규정과 건축구조기준(AIK 2016)의 지진계수를 비교하였다. ASCE 7-10(ASCE 2010) 규정에서는 현장타설콘크리트(RC)에 대한 특수, 보통구조벽체와 함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대하여 특수, 중간, 보통구조벽체를 규정하고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구조벽체의 경우 반응수정계수, 시스템초과강도계수, 변위증폭계수 등을 철근콘크리트 특수모멘트구조벽체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구조벽체의 지진설계계수는 철근콘크리트 보통구조벽체와 동일하게 하고 있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통구조벽체의 지진설계계수는 철근콘크리트 보통구조벽체의 지진계수보다 낮은 값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건축구조기준(2016)의 내진구조시스템에는 프리캐스트 구조벽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Table 2. Seismic design coefficients of KBC (AIK 2016) and ASCE 7-10

RC/PC

Systems

KBC (AIK 2016)

ASCE 7-10

Coefficients

Height limitation (m)

Coefficients

Height limitation (m)

$R$

$\Omega_{o}$

$C_{d}$

$C$

$D$

$R$

$\Omega_{o}$

$C_{d}$

$C$

$DEF$

Bearing wall

RC

a)

5

2.5

5

-

-

5

2.5

5

-

48~30

b)

-

-

c)

4

2.5

4

-

60

4

2.5

4

-

-

PC

a)

-

5  

2.5

5

-

48~30

b)

4

2.5

4

- 

12

c)

3

2.5

3

-

-

Building frame

RC

a)

6

2.5

5

-

-

6

2.5

5

-

48~30

b)

-

-

c)

5

2.5

4.5

-

-

5

2.5

4.5

-

-

PC

a)

-

6  

2.5

5

-

48~30

b)

5

2.5

4.5

-

12

c)

4

2.5

4

-

-

Moment-resisting frame

RC

1)

8

3

5.5

-

-

8

3

5.5

-

-

2)

5

3

4.5

-

-

5

3

4.5

-

-

3)

3

3

2.5

-

X

3

3

2.5

-

-

a) Special structural walls, b) Intermediate structural walls, c) Ordinary structural walls

1) Special moment frames, 2) Intermediate moment frames, 3) Ordinary moment frames

Table 2의 모멘트저항골조시스템에 대해서 ASCE 7-10 (ASCE 2010)에 특별한 규정이 없지만 ACI 318-14(ACI 2014)와 PCI Design Handbook(PCI 2010)의 설계 기본 개념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이 일체식 구조물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및 사용성에 관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을 경우에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모멘트저항골조시스템의 지진설계계수와 동일한 값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지진하중을 받는 모멘트저항골조시스템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에 대한 상세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즉, 연결부를 연결부 내부에서 휨항복을 허용하는 연성연결부와 항복을 허용하지 않는 강도연결부로 구분하여, 연결부의 강도, 연결부의 위치, 이음 방법, 마찰전단강도에 대한 제한을 두고 있다. 다만, ACI 318-14(ACI 2014) 기준에서 규정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동일한 성능”에 대한 검증을 실무에서 적용하기에는 여러 문제가 있다. ACI 318-14기준에서는 ACI 550.1R-01(ACI-ASCE 2001), ACI T1.1-01(ACI 2001), ACI T1.2-03(ACI 2003) 등의 지침을 이용하여 평가하지만, 우리나라 지침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상세 지침이 없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내진설계하기 위해서는 ACI 318-14(ACI 2014) 기준의 연결부 상세와 함께 또 다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보 연결부 부재력 평가

철근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전단설계는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 21.4.3(2) “순경간의 각 고정단에서 부재 공칭휨강도 값에 따라 계산된 전단력과 계수 연직 하중에 의한 전단력의 합 이상이어야 한다.” 또는 21.4.3(3) “내진설계기준의 설계용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2배로 하여 계산한 최대 전단력 이상이어야 한다.” 규정의 하나를 따르면 된다. 이러한 두 가지 항목에 대한 선택은 실무자가 활용하기 어려운 21.4.3(2)항 대신에 21.4.3(3)을 사용하여 더 용이하게 철근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 해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해석에 적용할 경우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대한 KCI 2017 21.4.3(2)와 21.4.3(3)의 연계성을 제시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연결부 성능을 다음의 두 가지 조건에 의하여 해석하고 부재 성능을 비교하였다.

① 조건 1: 연결부의 설계강도, $\phi S_{n}$은 길이방향 철근의 인장강도를 $f_{y}$, 강도감소계수 $\phi$를 1.0으로 가정하고, 연결부 재료 성질을 사용하여 계산한 연결부의 하중, $S_{e}$ 이상이 되어야 한다.

② 조건 2: 내진설계기준의 설계용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alpha$배로 하여 계산한 최대 하중 이상이어야 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접합방식은 부재의 종류 및 시공 방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PCI 2010).

① 소성힌지 근처 또는 연결부 내부에서의 보와 기둥 접합법: 보 또는 기둥의 단일 부재 연결 시에 주로 사용되는 접합 방법으로 부재력이 작은 위치에서 단일 보와 단일 기둥을 연결하는 방법

② 보와 보의 중간에서의 기둥과 보로 연결된 골조식 접합법: 기둥과 보가 이미 연결된 프리캐스트 골조와 다른 골조를 연결하는 접합 방법이며, 연결부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보와 보의 중간임.

③ 기둥 중간부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법: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 방법

이 연구에서는 상용구조해석프로그램(Midas Gen)을 이용하여 내진설계기준의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을 $\alpha$배(1배, 1.5배, 2배)로 변경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부재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위의 3가지 접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Fig.1과 같이 2층의 내부 보와 기둥을 연결한 프리캐스트 연결부(Connection 1), 2층의 내부 보와 보를 연결한 프리캐스트 연결부(Connection 2), 2~3층 내부 기둥 중간을 연결한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재력(Connection 3)을 계산하였다. 중간모멘트골조인 점을 고려하여 9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 건물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였다. 모든 층의 용도는 사무실이며 예제의 간략화를 위하여 자중을 제외한 마감 등에 의한 고정하중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고, 계단층과 계단참의 하중은 고려하지 않았다.

Fig. 1. Nine story-intermediate precast concrete moment frame (unit: mm)

../../Resources/kci/JKCI.2019.31.6.567/fig1.png

내진설계는 KBC-2016에 준하여 수행하였으며 부재 크기 및 재료 특성 등을 Table 3에 정리하였다. 해석의 주요 변수는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계수($E$=1.0, 1.5, 2.0), 골조의 형식(중간, 특수모멘트골조), 보의 길이($l$=4 m, 5 m, 6 m), 기둥의 높이(2.5 m, 3 m, 3.5 m)로 하였다. 재료 물성값은 해석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해석 변수에 포함하지 않았다.

Table 3. Main parameters of analyzed intermediate precast concrete moment frame

$f_{ck}$ (MPa)

Column: 30, Beam: 27

$f_{yl}$ (MPa)

500

$f_{yt}$ (MPa)

500

Beam sectional area

NS direction: 400 mm×600 mm

EW direction: 400 mm×600 mm

Column sectional area

600 mm×600 mm

Thickness of slab

180 mm

Live load

1.2 kN/m2

Additional dead load

1.0 kN/m2

$f_{ck}$: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f_{yl}$: yield strength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f_{yt}$: yield strength of shear reinforcement

Fig. 2. SFD and BMD of a precast concrete beam

../../Resources/kci/JKCI.2019.31.6.567/fig2.png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 설계에 대한 또 다른 조건은 연결부의 설계강도, $\phi S_{n}$가 길이방향 철근의 인장강도를 $f_{y}$, 강도감소계수 $\phi$를 1.0으로 가정하고, 연결부 재료 성질을 사용하여 계산한 연결부의 하중, $S_{e}$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부재의 전단강도를 보의 양 단부의 휨항복강도($M_{yl}$과 $M_{yr}$)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휨항복강도($M_{yl}$과 $M_{yr}$)는 설계자가 의도한 단면의 크기와 철근의 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지진하중을 받는 골조의 휨모멘트 분포는 중력하중을 받는 골조의 휨모멘트와 다르다. Fig.2는 보와 기둥을 연결한 프리캐스트 보의 하중 분포를 나타낸다. ACI 318-14(ACI 2014)에서는 특수모멘트골조의 경우는 강도연결부와 연성연결부를 구분하여 설계하지만 중간모멘트골조에 대해서는 연결부의 종류와 위치를 특별하게 제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보의 양 끝 단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기둥을 연결할 수 있다. 중간모멘트골조의 경우에 보와 기둥 접합부 근처에서 철근의 항복을 허용한다. 연직하중만 작용하는 골조의 전단력과 휨모멘트 분포를 연직하중과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골조의 전단력과 휨모멘트 분포와 비교하면 서로 다른 모멘트 분포를 나타낸다. 연직하중을 받는 골조의 보의 전단력은 보의 좌우측휨모멘트, $M_{yl}$과 $M_{yr}$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전단력의 크기가 작지만, 연직하중과 지진하중을 보의 양단부의 휨모멘트의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므로 전단력의 크기가 증가한다. 내진설계에서는 보의 양단부의 주철근이 동시에 공칭휨강도($\phi$=1.0)에 도달하였다고 가정하고 연결부의 전단력, $V_{L}$과 $V_{R}$을 계산한다.

(1)
$$V_{L}=\dfrac{w_{u}(l_{n}- 2x)}{2}-\dfrac{M_{yl}+ M_{yr}}{l_{n}-2x}$$

(2)
$$V_{R}=\dfrac{w_{u}(l_{n}- 2x)}{2}+\dfrac{M_{yl}+ M_{yr}}{l_{n}-2x}$$

여기서, $M_{yl}$과 $M_{yr}$: 프리캐스트 보의 좌우 단면 휨모멘트, $l_{n}$: 보의 순경간, $w_{u}$: 등분포하중, $A_{s}^{+}$: 프리캐스트 보의 좌단부의 하부 철근의 총 단면적, $A_{s}^{-}$: 프리캐스트 보의 우단부의 상부 철근의 총 단면적으로 좌우측휨모멘트, $M_{yl}$과 $M_{yr}$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Table 4. Moment, shear force, and shear strength ratio of connections 1 and 2 of intermediate moment frames

Connection

No.

$l$

(m)

$E$

$M_{nl}$

(kN-m)

$M_{nc}$

(kN-m)

$M_{nr}$

(kN-m)

$V_{nl}$

(kN)

$V_{nc}$

(kN)

$V_{nr}$

(kN)

$V_{cal}$

(kN)

$V_{n-\max}$/$V_{cal}$

Connection 1

4

1

114.2

52.4

99.2

74.6

65.5

70.9

90.6

0.82

4

1.5

164.6

78.6

145.2

101.9

92.9

98.2

-

1.12

4

2

214.9

104.9

191.3

129.2

120.2

125.5

-

1.39

Connection 2

4

1

105.9

46.3

104.9

72.1

63.0

71.7

89.9

0.80

4

1.5

153.5

70.1

152.2

99.0

89.9

98.6

-

1.10

4

2

201.0

94.0

199.6

125.9

116.8

125.5

-

1.40

Connection 1

5

1

143.5

57.3

125.3

84.7

70.9

79.8

109.8

0.77

5

1.5

200.1

86.5

178.1

109.5

95.7

104.6

-

1.00

5

2

256.7

115.8

231.0

134.3

120.5

129.4

-

1.18

Connection 2

5

1

131.8

49.9

131.0

80.7

66.9

80.4

108.6

0.74

5

1.5

184.7

76.4

183.8

104.7

90.9

104.4

-

0.96

5

2

237.6

102.8

236.7

128.7

114.9

128.4

-

1.18

Connection 1

6

1

160.5

56.8

144.3

86.3

69.2

82.7

129.4

0.67

6

1.5

219.1

86.9

199.6

107.8

90.7

104.2

-

0.83

6

2

277.6

117.0

254.8

129.3

112.2

125.7

-

0.97

Connection 2

6

1

148.8

49.8

148.6

82.7

65.6

82.7

128.2

0.65

6

1.5

203.3

77.0

203.1

103.4

86.2

103.3

-

0.81

6

2

257.8

104.3

257.7

124.0

106.8

123.9

-

0.97

$M_{nl}$, $M_{nc}$, $M_{nr}$: nominal moment on left end, center, and right end of beam, respectively, $V_{nl}$, $V_{nc}$, $V_{nr}$: shear force on left end, center, and right end of beam, respectively, $V_{cal}$: larger shear force of the values calculated by Eq. (1) and Eq. (2)

상용구조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를 1.0E, 1.5E, 2.0E로 증가하였을 때 계산된 보-기둥 Connection 1과 Connection 2의 부재의 좌우측과 중앙부의 최대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Table 4에 표시하였다. 또한 식 (1)식 (2)에 의해 길이방향 철근의 인장강도를 $f_{y}$, 강도감소계수 $\phi$를 1.0으로 가정하고 계산한 연결부의 전단강도 중에서 큰 값($V_{cal}$)을 Table 4에 표시하였다. 식 (1)식 (2)의 계산에서는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가 1.0E일 때 계산된 $M_{yl}$과 $M_{yr}$을 사용하였다. 표에서 휨모멘트와 전단력은 지진하중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Fig. 3. Shear strength ratio vs. effects of earthquake of beams in intermediate moment frames

../../Resources/kci/JKCI.2019.31.6.567/fig3.png

Fig.3은 부재의 길이($l$)가 증가할 때 변화하는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와 전단강도비($V_{nl}$, $V_{nc}$, $V_{nr}$의 최댓값/$V_{cal}$, $V_{n-\max}$/$V_{cal}$)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해석에서는 부재의 길이($l$)를 4 m, 5 m, 6 m로 증가시켜 부재력을 계산하였다. Fig.3에서 전단강도비는 부재의 길이($l$)가 증가하면 감소하지만,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가 증가하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진계수를 1.5배로 할 경우에 $l$이 5 m 이상인 경우에 전단강도비($V_{n-\max}$/$V_{cal}$)가 ‘1’ 이하가 된다. 반면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를 2배로 할 경우에 $l$이 6 m인 경우에도 전단강도비($V_{n-\max}$/$V_{cal}$)가 ‘1’에 근접하거나 그 이상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경우에는 소성힌지를 고려하여 계산한 전단강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를 ‘2배’로 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2.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기둥 연결부 부재력 평가

2.2의 보해석과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한 2~3층 내부 기둥 중간을 연결한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재력(Connection 3)을 Table 5에 표시하였다. Table 5에는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를 1.0E, 1.5E, 2.0E로 증가하였을 때 계산된 상용구조해석프로그램 결과와 식 (1)식 (2)의 큰 값을 표시하였다. 해석에서는 보의 길이를 4 m, 5 m, 6 m인 경우와 함께 기둥의 높이를 2.5 m, 3 m, 3.5 m인 경우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Table 5에서 기둥의 상하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전단력은 지진하중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며, 기둥의 길이가 증가하면 소폭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5. Moment, shear force, and shear strength ratio of connection 3 of intermediate moment frames

$h$

(m)

$l$

(m)

$E$

Bottom end moment

Top end moment

$V_{n-\max}$

(kN)

$V_{cal}$

(kN)

$V_{n-\max}$/$V_{cal}$

$M_{ncy}$

(kN-m)

$M_{ncz}$

(kN-m)

$M_{ncc}$

(kN-m)

$M_{ncy}$

(kN-m)

$M_{ncz}$

(kN-m)

$M_{ncc}$

(kN-m)

2.5

4

1

-17.9

-16.1

24.1

-12.8

-84.8

85.8

55.7

68.6

0.81

4

1.5

-20.1

-30.9

36.9

-25.2

-121.2

123.8

78.5

-

1.14

4

2

-4.1

72.1

72.3

61.3

134.1

147.5

101.3

-

1.48

3.0

4

1

-19.6

-26.7

33.1

-13.6

-84.8

85.9

51.3

57.3

0.90

4

1.5

-23.1

-46.3

51.7

-26.3

-121.3

124.1

73.1

-

1.28

4

2

-26.7

-66.0

71.2

-38.8

-158.0

162.7

94.7

-

1.65

3.5

4

1

-20.4

-33.6

39.3

-14.8

-86.0

87.3

47.5

49.9

0.95

4

1.5

-24.5

-56.4

61.5

-27.9

-123.5

126.6

68.0

-

1.36

4

2

-28.8

-79.1

84.1

-40.9

-160.8

165.9

88.4

-

1.77

3.5

5

1

-27.2

-28.7

39.5

-10.5

-96.9

97.5

53.9

55.7

0.97

5

1.5

-31.5

-52.3

61.0

-24.4

-136.7

138.8

75.6

-

1.36

5

2

-35.7

-75.9

83.9

-38.4

-176.4

180.5

97.3

-

1.75

3.5

6

1

-36.1

-21.3

42.0

-4.3

-108.8

108.9

61.1

62.2

0.98

6

1.5

-40.4

-45.9

61.1

-18.9

-150.5

151.7

84.1

-

1.35

6

2

-44.7

-70.3

83.3

-33.7

-192.3

195.2

107.1

-

1.72

$M_{ncy}$ and $M_{ncz}$: nominal moment of column in the y-direction and z-direction, respectively, $M_{ncc}$: maximum nominal moment of column, $V_{n-\max}$: maximum shear force of column, $V_{cal}$: larger shear force of the values calculated by Eq. (1) and Eq. (2)

Fig.4는 기둥의 길이가 증가할 때 변화하는 기둥-기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부의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와 전단강도비($V_{n-\max}$/$V_{cal}$)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Fig.4에서 전단강도비는 기둥의 길이($h$)와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가 증가하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진하중의 크기가 1.5배인 경우에도 전단강도비($V_{n-\max}$/$V_{cal}$)는 ‘1’ 이상이 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 기둥의 경우에는 소성힌지를 고려하여 계산한 전단강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지진하중의 크기를 ‘1.5배’로 하여 계산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기둥의 경우에는 보에 비하여 휨여유도가 크기 때문에 식 (1)식 (2)에 의하여 계산되는 전단력($V_{cal}$)이 커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기둥에 대한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가 더 증가해야 할 것이다.

Fig. 4. Shear strength ratio vs. effects of earthquake of columns in intermediate moment frames

../../Resources/kci/JKCI.2019.31.6.567/fig4.png

3. 프리캐스트 특수모멘트골조 해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의 내진설계는 일반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우와 동일하게 약보-강기둥 설계에 의한 층간 붕괴 방지, 보의 양단부의 소성힌지 형성과 기둥 주철근의 좌굴 방지, 보와 기둥의 전단파괴 방지, 보-기둥 접합부 파괴 방지의 개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에 대하여 Table 3과 같은 재료 물성값의 조건에서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1, 1.5, 2배)와 보의 길이(4 m, 5 m, 6 m)를 변수로 하여 보의 2곳의 연결부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Table 6. Moment, shear force, and shear strength ratio of connections 1 and 2 of special moment frames

Connection

No.

$l$

(m)

$E$

$M_{nl}$

(kN-m)

$M_{nc}$

(kN-m)

$M_{nr}$

(kN-m)

$V_{nl}$

(kN)

$V_{nc}$

(kN)

$V_{nr}$

(kN)

$V_{cal}$

(kN)

$V_{n-\max}$/$V_{cal}$

Connection 1

4

1

87.8

35.5

71.5

64.3

53.7

58.3

87.0

0.74

4

1.5

121.7

53.2

102.6

82.8

72.1

76.7

-

0.95

4

2

155.6

70.8

133.7

101.2

90.5

95.1

-

1.16

Connection 2

4

1

80.0

30.4

78.2

61.1

50.5

60.3

86.7

0.71

4

1.5

112.0

46.5

110.2

79.3

68.7

78.5

-

0.91

4

2

144.0

62.5

142.1

97.4

86.8

96.6

-

1.12

Connection 1

5

1

101.0

35.3

85.6

66.0

52.2

61.2

102.7

0.64

5

1.5

136.4

53.6

118.7

81.5

67.7

76.7

-

0.79

5

2

171.8

71.9

151.7

97.1

83.3

92.2

-

0.95

Connection 2

5

1

92.1

30.0

91.3

62.7

48.9

62.4

101.9

0.62

5

1.5

125.1

46.6

124.4

77.7

63.9

77.4

-

0.76

5

2

158.2

63.1

157.4

92.7

78.9

92.4

-

0.91

Connection 1

6

1

116.6

34.3

102.9

70.2

53.1

66.6

124.4

0.56

6

1.5

153.2

53.1

137.4

83.6

66.5

80.0

-

0.67

6

2

189.8

71.9

172.0

97.1

79.9

93.4

-

0.78

Connection 2

6

1

107.8

29.3

107.7

67.3

50.1

67.2

123.5

0.54

6

1.5

141.9

46.4

141.8

80.2

63.0

80.1

-

0.65

6

2

176.0

63.4

175.9

93.1

75.9

93.0

-

0.75

Table 6은 보의 길이와 지진하중의 크기를 변수로 하여 보의 양단부와 중앙부에서 계산된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나타낸다. 특수모멘트골조의 경우에도 지진하중($E$)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휨모멘트와 전단력은 증가하였다. 특수모멘트골조의 전단강도는 식 (1)식 (2)의 휨항복강도($M_{yl}$과 $M_{yr}$) 대신에 예상휨강도($M_{pl}$과 $M_{pr}$)를 이용하여 계산해야 한다. 즉 보의 양단부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여 보의 주철근이 휨강도의 1.25배에 도달했을 때의 단부 휨모멘트를 이용하여 전단력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도 $M_{pl}= 1.25M_{yl}$과 $M_{pr}= 1.25M_{yr}$을 식 (1)식 (2)의 $M_{yl}$과 $M_{yr}$대신에 대입하여 연결부의 전단력, $V_{L}$과 $V_{R}$,을 계산하였으며 두 값 중에서 큰 값($V_{cal}$)을 Table 6에 표시하였다.

Fig.5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에 대하여 부재의 길이($l$)가 증가할 때 변화하는 지진하중의 크기와 전단강도비($V_{n-\max}$/$V_{cal}$)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V_{n-\max}$는 해석에서 계산된 보의 전단력의 최댓값이다. Fig.5에서 특수모멘트골조의 경우에도 중간모멘트골조와 동일하게 전단강도비는 부재의 길이($l$)가 증가하면 감소하지만, 지진하중의 크기가 증가하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의 경우에는 중간모멘트골조와는 다르게 지진하중의 크기가 ‘2배’인 경우에도 $l$이 5 m 이상인 경우에는 전단강도비($V_{n-\max}$/$V_{cal}$)가 모두 ‘1’ 이하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5에서 부재길이($l$)가 6 m이며 전단강도비($V_{n-\max}$/$V_{cal}$)가 ‘1’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의 크기가 ‘3배’에 가까워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의 경우에 연결부의 강도를 중간모멘트골조와 유사하게 지진하중의 크기를 변경하여 설계하는 것은 여러 제약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5. Shear strength ratio vs. effects of earthquake of beams in special moment frames

../../Resources/kci/JKCI.2019.31.6.567/fig5.png

4. 결 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에는 ACI 318-14(ACI 2014) 기준과 상이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ACI 318- 14(ACI 2014) 기준과 유사한 개념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 검토해야 하는 중간모멘트골조와 특수모멘트골조의 연결부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설계를 간략화하기 위하여 설계용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의 증가에 의한 부재력의 변화와 항복휨강도 또는 예상휨강도를 반영한 연결부 전단강도를 비교하여 합리적인 지진하중의 크기를 평가하였다. 다양한 변수에 의하여 분석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보에 대한 설계는 지진계수의 크기를 2배로 하여 계산할 경우에 보단부 항복강도를 반영하여 계산되는 전단강도 이상이 된다. 따라서 현장타설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와 동일한 관점에서 설계용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의 크기를 2로 하여 전단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의 기둥에 대한 설계는 지진하중의 크기를 1.5배로 하여 설계가 가능하다. 다만 기둥의 경우에는 보에 비하여 요구 설계강도 대비 실제 배근 강도가 크기 때문에 두 강도의 차이를 반영하여 지진하중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의 보에 대해서는 설계용 하중조합의 지진하중은 3.0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수모멘트골조의 경우에는 지진하중 크기의 변경에 의한 설계보다는 연결부 전단강도를 직접 계산하여 설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02,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02) and Commentary (ACI 318R-02),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323-324Google Search
2 
ACI Committee 318 , 200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08) and Commentary (ACI 318R-08),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347-349Google Search
3 
ACI Committee 318 , 2011,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11) and Commentary (ACI 318R-11),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354-356Google Search
4 
ACI Committee 318 ,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14) and Commentary (ACI 318R-14),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289-292Google Search
5 
ACI Innovation Task Group 1 , 2001, Acceptance Criteria for Moment Frames Based on Structural Testing (ACI T1.1-01),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6 
ACI Innovation Task Group 1 , 2003, Special Hybrid Moment Frames Composed of Discretely Jointed Precast and Post- Tensioned Concrete Members (T1.2-03) and Commentary (T1.2R-03),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7 
ACI-ASCE Committee 550 , 2001, Guide to Emulating Cast- in-place Detaiing for Seismic Design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s (ACI 550.1R-01),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8 
AIK , 1992, Precast Concrete Prefabricated Building Design Code, Seoul,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pp. 127-137. (In Korean)Google Search
9 
AIK , 2016, Korean Building Code 2016 (KBC 2016), Seoul,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pp. 225-227. (In Korean)Google Search
10 
AIK , 2010,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SCE/SEI 7-10), Rest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Google Search
11 
Billington S. L., Yoon J. K., 2004, Cyclic Response of Unbonded Posttensioned Precast Columns with Ductile Fiber-reinforced Concrete,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Vol. 9, No. 4, pp. 353-363DOI
12 
Choi H. K., Choi Y. C., Choi C. S., 2010, Hysteretic Behavior and Seismic Resistant Capacity of Precast Concrete Beam-to-column Connection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14, No. 4, pp. 61-71. (In Korean)DOI
13 
FEMA , 1994,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pp. 362Google Search
14 
FEMA , 2000,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pp. 446Google Search
15 
Ghosh S. K., 2000, Changes Under Development in Concrete Related Seismic Code Provisions, PCI Journal, Vol. 45, No. 1, pp. 92-94Google Search
16 
Ghosh S. K., 2001, A Necessary Change in the Seismic Design Provisions of the 2000 IBC, PCI Journal, Vol. 46, No. 4, pp. 76-81Google Search
17 
Ghosh S. K., 2004, Update on the NEHRP Provisions: The Resource Document for Seismic Design, PCI Journal, Vol. 10, No. 4, pp. 96-102Google Search
18 
Ghosh S. K., Dowty S., 2003, The Seismic Design Provisions of the 2003 Edition of the International Building Code, PCI Journal, Vol. 48, No. 3, pp. 92-95Google Search
19 
Ghosh S. K., Hawkins N. M., 2001, Seismic Design Provisions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in ACI 318, PCI Journal, Vol. 46, No. 1, pp. 28-32Google Search
20 
Hawkins N. M., Ghosh S. K., 2000a, Proposed Revisions to 1997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Part 1-Introduction, PCI Journal, Vol. 45, No. 3, pp. 74-77Google Search
21 
Hawkins N. M., Ghosh S. K., 2000b, Proposed Revisions to 1997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Part 2-Seismic- force-resisting Systems, PCI Journal, Vol. 45, No. 5, pp. 34-44Google Search
22 
Hewes J. T., Priestley M. N., 2002,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of Precast Concrete Segmental Bridge Columns (No. SSRP-2001/25), La Jolla, CA;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Google Search
23 
Holden T., Restrepo J., Mander J. B., 2003, Seismic Performance of Precast Reinforced and Prestressed Concrete Wall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29, No. 3, pp. 286-296DOI
24 
KCI , 2017, KCI Model Code 2017,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pp. 420Google Search
25 
Lee Y. H., Kim M. S., Jung B. N., Kim H. C., Kim K. S., 2009,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Joints for Precast Concrete Segment,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13, No. 6, pp. 59-65. (In Korean)DOI
26 
PCI Industry Handbook Committee , 2010, PCI Design Handbook. 7th edition, Chicago, IL; Precast/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PCI), pp. 50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