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연
(Soo-Yeon Seo)
1*iD
윤현도
( Hyun-Do Yun)
2iD
-
한국교통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27469, Rep. of Korea)
-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 압축강도, 기준식, 그라우트 폭 확장계수
Key words
precast concrete wall structure, horizontal joint, compressive strength, code equations, grout width expansion factor
1. 서 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구조 시스템은 공장에서 생산한 단위부재를 현장으로 운반한 뒤 조립하기 때문에, 일체식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하여 현장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단위 구조부재는 공장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이들 단위 부재의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장에서 이들 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접합부가 형성되며 이 접합부를 통하여 부재간의 응력 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합부가 적절하게 시공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접합부 상세가 지나치게 복잡해 질 경우 조립작업이 어렵게 되어 시공비용이
증가될 수도 있고 시공불량이 유발될 수도 있다.
PC 벽체가 연결되는 부위인 접합부는 Fig. 1과 같이 벽과 벽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접합부(Vertical joint), 상하부 벽이 서로 연결되는 수평접합부(Horizontal joint)로
구분된다. 수직접합부에서는 벽과 벽사이의 전단저항에 의해 응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수평접합부에서는 상하부 벽체 사이의 수평전단응력의 전달뿐만아니라
수직방향 압축과 인장응력의 전달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중력방향 압축응력의 전달과 관련하여, 수평접합부는 통상적으로 슬래브는 하부벽체 위에
걸쳐지는 형태로 연결되며 이때 슬래브를 통하여 전달되는 응력과 상층벽체를 통하여 하부벽체로 전달되는 응력의 비율, 그리고 접합부 충전재료의 특성,
슬래브의 단부상세 등과 같은 접합부 형태 등에 따라 압축성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의 압축성능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벽식구조에 적합한 강도산정 식을 살펴보고 또한 국내외에서 실시된 압축성능실험결과들을
분석하여,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Fig. 1 A precast concrete wall system
2.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에서의 압축응력전달 및 설계법
2.1 수평접합부의 압축응력전달 원리
PC 상하벽 사이 슬래브가 있는 경우에는 수평접합부 내에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이 채워진다. 또한 좌우 측면에는 슬래브가 연결되기 때문에
중력방향힘의 전달은 Fig. 2와 같이 상부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수직방향 힘과 슬래브를 통하여 전달되는 수직방향 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평접합부는 슬래브의 형태에 따라 Fig. 3과 같이 다양한 접합부 상세가 될 수 있다. 그림에서 Interior와 Exterior는 각각 내부접합부와 외부접합부를 나타낸다. 접합부에서 중력방향
힘 전달은 접합부 형태에 따라서 접합부 충전그라우트를 통한 힘($P_{g}$)과 슬래브 걸침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힘($P_{s}$)의 비율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접합부내 충전그라우트재의 강도에 따라 파괴양상이 달라 질 수도 있다. 접합부 내 그라우트의 강도가 벽체 강도에 비하여 낮을 경우에는
접합부에서 파괴가 발생하지만, 지나치게 접합부 강도가 높을 경우에는 벽체 단부에서의 할렬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에서 압축강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이들 특성을 적절히 고려하여야 한다.
Fig. 2 Transmission of vertical load through horizontal joint in a precast concrete
wall system
Fig. 3 Horizontal joint type corresponding to slab shape
2.2 수평접합부 지지력 설계법
2.2.1 CEB-FIP bulletin 43
CEB-FIP bulletin 43(2008)에서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채워진 벽-벽 수평접합부 또는 벽-슬래브-벽 수평접합부로서 수평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고 단지 매우 작은 회전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압축강도를 산정하는 식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f_{cw}$은 벽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f_{cm}$은 접합부 깔모르타르의 설계 압축강도, $f_{cg}$는 접합부 충전 그라우트의
압축강도, $a_{1}$은 그라우트의 폭(mm), $l$은 접합부의 길이(mm). $\beta$는 벽체 콘크리트 강도에 대한 접합부 그라우트의 강도비($f_{cg}/f_{cw}$)로서,
깔모르타르가 있는 경우에는 벽체강도에 대한 깔모르타르의 강도비($f_{cm}/f_{cw}$)인 $\beta_{0}$를 산정한 뒤, Fig. 4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단 이 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깔모르타르의 강도는 벽체강도의 50 % 이상이 되어야 한다.
Fig. 4 Consideration of compression strength ratio between grout and wall (fib 2008)
2.2.2 CEB-FIP bulletin 74
CEB-FIP 74(2014)에서는 핀란드 VTT의 연구결과에 따라 중공바닥판과 벽체가 연결되는 수평접합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압축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Fig. 3(b)와 같은 접합부는 5층까지의 건물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Fig. 3(c)와 같이 슬래브 단부가 경사진 경우에는 고층건물에 허용된다.
여기서, $f_{u}$는 벽과 그라우트 콘크리트 중 작은 쪽의 강도(MPa), $b_{j}$는 조인트 직각방향으로의 벽두께($t_{w}$)와 그라우트
폭($t_{g}$) 중 작은 값(mm), $L_{j}$는 조인트의 길이(mm), $\alpha$는 슬래브 단부 형태에 따른 계수로서, 단부가 수직단면인
경우에는 0.5, 경사진 단면인 경우에는 0.6을 사용한다.
2.2.3 PCI 기준식
PCI(Precast Concrete Institute)에서는 벽식 PC 구조의 수평접합부 압축력산정을 위한 식을 규정하였다(PCI 2015). 이 식은 Johal and Hanson (1982)에 의해 제안된 식으로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건축구조기준(MOC 1992)에서 이 식을 규정하고 1990년에 건설된 국내의 많은 벽식 PC 구조설계에 적용하였다. 설계과정은 속찬 바닥판과 속빈 바닥판을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압축강도를 산정한다. 강도계수를 현행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2)에 따라 수정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P_{u}$는 설계하중(kN), $P_{nh}$는 공칭압축내력(kN), $\phi$는 강도감소계수임이다.
속찬 바닥판 또는 속빈 바닥판으로서 단부가 그라우트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수평접합부의 지지력은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내벽의 접합 (바닥판이 양쪽에 있을 때)
- 외벽의 접합 (바닥판이 한쪽에만 있을 때)
속빈 부분이 그라우트 되지 않은 바닥판으로 구성된 수평접합부의 지지력은 식 (6)에 따른다.
바닥지지력 계수 $C$는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① 속찬 바닥판 및 속빈 바닥판이 코어에 벽판의 벽면보다 그라우트가 2.5 cm 이상 채워져 있을 때,
- 내벽, 즉 양쪽에 바닥판이 있을 때,
- 외벽, 즉 한쪽에만 바닥판이 있을 때
② 속빈 바닥판의 코어에 그라우트가 벽판의 벽면보다 2.5 cm 이하로 채워져 있을 때나 비워져 있을 때, $C=1.0$
그라우트 설계기준강도 $f_{u}$는 그라우트의 압축강도 $f_{g}$ 또는 벽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_{cw}$중 작은 값으로 한다. 다만 벽판
상하단에 쪼갬 보강철근이 없거나 또는 속빈 바닥판 일 때에는 $0.8f_{cw}$이하로 한다.
여기서, $A_{e}$는 바닥 슬래브의 유효지지면적(mm2), $L_{j}$는 수평접합부 길이(mm), $t_{g}$는 그라우트의 폭(mm), $t_{w}$는 벽두께(mm), $C$는 바닥 지지력계수, $R_{e}$는
편심계수임. $f_{cg}$는 그라우트 강도(MPa), $f_{cs}$는 바닥판 콘크리트 강도(MPa), $f_{u}$: 그라우트 압축강도 $f_{cg}$와
벽판 콘크리트 압축강도 $f_{cw}$중 작은 값(MPa), $e$: 편심거리(mm)
3. 수평접합부 압축강도의 평가
3.1 분석 대상 실험체
전술한 식들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에 국내외에서 수행되었던 벽-슬래브 수평접합부에 대한 압축실험결과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들 실험결과와
기준식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실험체는 총 100개로서, 각 연구자의 실험체들에 대하여, 핵심 변수별로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모든 실험체의 수평접합부 상세는 Fig. 3의 세 가지 접합부에 해당된다. 모든 실험체에서 상하벽을 연결하는 수직철근은 고려되지 않았다.
전체 실험체에 대하여 그라우트재의 압축강도($f_{cg}$), 벽체 콘크리트 압축강도($f_{cw}$), 그라우트 폭에 대한 높이비, 벽두께에 대한
그라우트 폭의 비에 따른 실험체 갯수를 나타내면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라우트의 압축강도($f_{cg}$)가 18~40 MPa 범위인 실험체의 개수는 99개, 그 이상은 1개 실험체이다. 벽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_{cw}$)는 모두 23 MPa 이상이며 40 MPa 이상은 2개 실험체이다. 하부벽 상단 그라우트 콘크리트가 충전된 부분의
폭($t_{g}$)에 대한 그라우트 높이($h$)의 분포 범위는 접합부 형태에 따라 0.8~5.7까지를 보이고 벽두께($t_{w}$)에 대한 그라우트
폭의 비는 0.21~0.93까지의 분포를 보이며 OW 접합부의 경우는 0.6 이상이고 폐쇄형 접합부는 최대 0.57이다.
Fig. 5 Number of test specimens according to variables
Table 1 Collected specimens for analysis
|
Researcher
|
Type#
|
Number
|
$t_{w}$
(mm)
|
$f_{cw}$
(MPa)
|
Wall confinement
|
$t_{s}$
(mm)
|
$b_{s}$
(mm)
|
$t_{g}$
(mm)
|
$f_{cg}$
(MPa)
|
Pad mortar
|
|
Johal & Hanson (1982)
|
Interior CN
|
6
|
203
|
33.17~ 37.38
|
None, 6-φ10
(W2.9×W2.9)
|
203
|
63.5
|
76.2
|
33.17~ 37.38
|
Lower & upper mortar
|
|
Exterior
CN
|
3
|
203
|
33.79~ 37.38
|
None, 6-φ10
(W2.9×W2.9)
|
203
|
63.5
|
76.2
|
20.55~ 31.93
|
Lower & upper mortar
|
|
Lee & Lee (1987)
|
Interior CN
|
6
|
140, 160
|
22.5~ 29.29
|
None, 4-φ6
|
120
|
30, 40
|
0, 60, 80
|
17.62~ 19.58
|
Lower mortar
|
|
Exterior
CN
|
6
|
140, 160
|
26.06~ 27.02
|
None
|
120
|
30, 40
|
60, 80
|
17.62~ 29.67
|
Lower mortar
|
|
Park & Lee (1987)
|
Interior CW
|
6
|
160
|
23.78~ 38.3
|
None
|
120
|
50
|
60
|
17.51~ 32.67
|
Upper mortar
|
|
Exterior
CW
|
5
|
160
|
24.02~ 29.76
|
None
|
120
|
50
|
60
|
17.51~ 20.12
|
Upper mortar
|
|
Hong & Boo(1987a)
|
Interior, CN
|
2
|
160
|
22.71~ 29.29
|
None
|
120
|
40
|
80
|
19.58, 23.63
|
Lower & upper mortar
|
|
Hong & Boo(1987b)
|
Exterior
CN
|
6
|
140, 160
|
25.42~ 27.02
|
None
|
120
|
40
|
80
|
17.62~ 29.67
|
Lower & upper mortar
|
|
Kim et al. (1990)
|
Interior OW
|
8
|
14, 160, 180, 200
|
24.92~ 29.33
|
None
|
135
|
10, 20, 30, 40
|
120
|
27.76~ 29.14
|
None
|
|
Exterior
OW
|
8
|
14, 160, 180, 200
|
23.94~ 29.43
|
None
|
135
|
10, 20, 30, 40
|
130, 140, 150, 160
|
26.78~ 30.12
|
None
|
|
Lee et al. (1991)
|
Interior OW
|
4
|
140
|
27.08~ 29.04
|
None
|
135
|
10
|
120
|
29.14, 39.14
|
None
|
|
Exterior
OW
|
4
|
140
|
23.94~ 28.84
|
None
|
135
|
10
|
130
|
26.78, 39.14
|
None
|
|
Seo et al. (1994)
|
Interior CW
|
12
|
140
|
275~313
|
None, 3-φ6
|
140
|
40
|
60
|
20.11~ 32.77
|
Lower & upper mortar
|
|
Exterior
W
|
24
|
140
|
275~446
|
None, 3-φ6
|
140
|
40
|
30, 50, 60
|
20.11~ 32.77
|
Lower & upper mortar
|
Notes; # CN: Closed narrow width type, CW (
Fig. 3(a)): Closed wide width type (
Fig. 3(b)), OW: Open wedge type (
Fig. 3(c)), + W: With confinement, N: None of confinement, $t_{w}$: Wall thickness, $t_{s}$:
Slab thickness, $b_{s}$: Length spanned on lower wall, $t_{g}$: Width of grout, $f_{cw}$:
Compression strength of wall, $f_{cg}$: Compression strength of grout, All specimens
had no vertical reinforcement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walls across the horizontal
joints.
3.2 주요 변수별 분석
대상 실험체들에 대한 실험결과 최대 압축강도의 변화를 접합부의 지지력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을 중심으로 보면,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우트를 통하여 지지되는 힘과 하부벽 위에 걸쳐진 슬래브 지지부에서 전달되는 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 인자들과 실험체
최대내력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내면 Fig. 6 및 7과 같다. 그림에서 $P_{g}$와 $P_{s}$는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우트부분과 슬래브 걸침부에서 지지되는 축력이다. $P_{g}$는 벽체콘크리트와 그라우트 압축강도 중 작은 값($f_{u}$)과
그라우트 면적의 곱으로 계산되며, $P_{s}$는 벽체콘크리트와 슬래브 콘크리트 압축강도중 작은 값($f_{s}$)과 슬래브 걸침면적의 곱으로 계산된
값이다.
대상 실험체들에 대하여 계산된 $P_{g}$와 $P_{s}$값에 따른 최대 실험강도의 변화를 보면, 내부 접합부의 경우에는 실험체 최대 압축강도가
그라우트에 의해 지지되는 축력 뿐만아니라 슬래브에 의해 지지되는 축력의 크기와 비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폐쇄형 접합부(CN)에서 그라우트부분의
지지력 증가에 따라 실험체 최대강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더 명확하다.
외부접합부의 경우에도 그라우트 부분의 지지력 증가와 실험체 최대 압축강도가 비례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하부벽 위에 걸쳐진 슬래브를 통한 지지력은
개방형 웨지 접합에서 최대압축강도와 비례관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수평접합부의 지지력성능과 관련하여 기존식들이 그라우트 부분의 지지력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 것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KDS 14 20의 벽체 축강도 실용설계에 따라 공칭 축강도를 산정하고 실제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내면 Fig. 8과 같다. 그래프에서 수평축은 벽체 콘크리트압축강도에 대한 그라우트재 압축강도의 비를 나타낸다. 대상 실험체들에 대하여 벽체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대한
그라우트재의 압축강도비는 0.46~1.36의 분포를 보인다. 일부 실험체들에 대해서는 벽체 공칭축강도에 비하여 실험 최대강도가 큰 경우도 있지만,
낮은 경우가 많다. 특히 벽체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비하여 그라우트재의 압축강도가 큰 경우 ($f_{cg}>f_{cw}$)에도 $P_{u}/P_{nw}$가
1.0보다 작은 값들이 다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6 Evaluation of compressive forces transmitted from the upper wall to the lower
wall through the interior joint
Fig. 7 Evaluation of compressive forces transmitted from the upper wall to the lower
wall through the exterior joint
Fig. 8 Comparison of experimental ultimate strength to nominal axial strength of wall
3.3 기존 식들의 평가
Table 1의 실험체들에 대하여 전술한 CEB fib 식들과 PCI 기준식을 이용하여 지지력을 산정하고 실험결과 최대내력과 비교하여 각 식을 평가하였다.
Fig. 9는 fib Bulletin 43 (2008)의 식으로 산정한 강도와 실험결과 최대내력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수평축은 접합부에서 그라우트 지지부에서 지지되는 내력(Fig. 2의 $P_{g}$)이다. 실험결과에 대한 계산결과의 비($P_{u}/P_{n}$)가 내부접합부의 경우에는 0.74~2.59, 외부접합부의 경우에는
0.39~3.67로, 내부접합부에 비하여 외부접합부에서 분산 정도가 크고 전체적으로 최대강도를 과대평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접합부 형태별로 보면 그라우트폭이
넓은 OW 접합부에서는 과대평가하고 그라우트폭이 좁은 CN 접합부에서는 과소평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fib Bulletin 74(fib 2014) 방법에 따라 Table 1의 실험체들에 대한 공칭압축강도를 산정하고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내면 Fig. 10과 같다. 실험결과에 대한 계산결과의 비 ($P_{u}/P_{n}$)가 내부접합부의 경우에는 1.25~4.23, 외부접합부의 경우에는 0.66~5.26으로,
내부접합부 및 외부접합부 실험체 모두에 대하여 fib (2008) 방법에 비하여 최대내력을 전체적으로 안전측으로 평가하지만, 분산도가 크게 나타났다. 외부접합부의 경우에는 fib (2008) 방법과 마찬가지로 그라우트폭이 넓은 OW 접합부에서는 과대평가하고 그라우트폭이 좁은 CN 접합부에서는 과소평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PCI 방법에 따라 실험체들의 내력을 산정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내면 Fig. 11과 같다. 내부접합부에서는 전체적으로 계산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1.0 이하인 경우가 많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실험결과에 대한 계산결과의
비($P_{u}/P_{n}$)는 0.53~1.31로서 분산 정도가 가장 작아 실험내력을 가장 근사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부접합부에서는
그 비가 0.49~3.85로서 다소 분산된 양상을 보이고, 다른 실험체들과 같이 그라우트폭이 좁은 CN과 CW 접합부에서는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부터, 현재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제시된 식들은 그라우트부에서 지지되는 압축강도를 기반으로 하고 슬래브부에서
지지되는 강도의 영향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으나,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를 예측함에 있어 실제 내력과 다소 편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내부접합부의 경우에는
PCI 방법에 의한 계산결과가 실험결과와 가장 좋은 대응을 보이지만 실험/계산결과의 비가 1 이하인 경우가 많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정이
필요하다. 외부접합부의 경우에도 PCI 방법이 가장 실험결과와 좋은 대응을 보이지만, 그라우트폭이 좁은 폐쇄형 접합부에서 지나치게 접합부 내력을 과소평가하는
양상을 보여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Fig. 9 Evaluation of strengths calculated using the CEB-fib Bulletin 43 method
Fig. 10 Evaluation of strengths calculated using the CEB-fib Bulletin 74 method
Fig. 11 Evaluation of strengths calculated by PCI method
4. 수평접합부 압축강도 설계를 위한 제안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 설계를 위한 방안으로써, PCI 방법이 가장 권장되지만, 설계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내부접합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수정제안하고자 한다.
내부접합부에 대하여 압축강도 산정 시 식 (9)의 $K$는 실제 슬래브에 의해 구속된 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라우트폭보다 큰 유효폭을 나타내기 위한 계수이다. 식 (9)를 적용할 경우, 그라우트 폭은 Fig. 1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우트 강도가 24 MPa일 때 1.5배 증가된 폭으로 계산된다. 이는 폭이 좁은 접합부를 대상으로 한 매우 제한적인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그라우트 폭이 넓은 접합부의 경우 그 폭이 과도하게 확장될 수 있다. 이에 그라우트 강도 증가에 따른 계수 $K$를
식 (11)과 같이 수정 제안한다. Fig. 12에서 점선은 그라우트 강도 변화에 따른 $1/K$ 변화를 나타낸 선으로써, 그라우트 강도가 24 MPa일 때, 그라우트 폭은 1.15배 확장되어 식
(9)에 비하여 보수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Fig. 13은 식 (11)을 사용하여 그라우트 확장폭을 반영한 수평접합부 공칭압축강도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를 나타낸 그림이다. Fig. 11(a)에 비하여 더 안전측으로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가 산정되며 강도감소계수 0.65를 고려하면 모든 경우에 대하여 안전측이 됨을 알 수 있다.
외부접합부의 강도평가와 관련하여, Fig. 11(b)에서 그라우트를 통하여 지지되는 압축강도가 작은 경우 $P_{u}/P_{n}$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양상 즉 공칭압축강도가 지나치게 과소평가 되는데,
이는 그라우트폭과 벽두께의 비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Fig. 14는 외부접합부 실험체들에 대하여 그라우트폭에 대한 벽두께의 비($t_{w}/t_{g}$)에 따른 $P_{u}/P_{n}$비를 나타낸다. 그라우트폭에
대한 벽두께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PCI 방법에서 내부접합부에 대해서는 $K$계수를 도입하여 그라우트
폭 확장을 반영하지만, 외부접합부는 이와 같은 영향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외부접합부에 대하여 회귀식을 반영하면 식 (5)는 식 (12) 및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단, $t_{g}\eta\le t_{w}$
수정된 식을 적용하여 전체 외부접합부 실험체에 대한 공칭압축강도와 실험결과의 비를 나타내면 Fig. 15와 같이 좋은 대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2 Expansion coefficient for grout width
Fig. 13 Evaluation of strengths calculated by revised PCI method for interior joint
Fig. 14 Strength ratio variation corresponding to $bold t_{w}/t_{g}$
Fig. 15 Evaluation of strengths calculated by revised PCI method for exterior joint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고 또한 국내외에서 실시된 수평접합부 압축성능실험결과들을 분석하여,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외에서 수행된 총 100개의 수평접합부 압축강도 실험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그라우트 부분의 지지력 $P_{g}$와 슬래브 부분의 지지력 $P_{s}$값에
따른 실험 최대 축강도의 변화를 보면, 실험체들의 최대 축강도가 그라우트에 의해 지지되는 축력뿐만아니라 슬래브에 의해 지지되는 축력의 크기와 비례관계가
있다. 특히 폐쇄형 접합부(CN)에서 그라우트 부분의 지지력 증가에 따라 실험체 최대 압축강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더 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부벽 위에 걸쳐진 슬래브를 통한 지지력은 개방형 웨지 접합에서 최대 압축강도와 비례관계를 보였다.
2) CEB fib 43의 식으로 산정한 강도와 실험결과 최대내력을 비교한 결과, 내부접합부에 비하여 외부접합부에서 분산 정도가 크고 전체적으로 최대강도를
과대평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에 CEB fib 74 방법은 CEB fib 43 방법에 비하여 최대내력을 전체적으로 안전측으로 평가하지만, 분산도가
크게 나타났다. 외부접합부의 경우에는 CEB fib 43 방법과 마찬가지로 그라우트폭이 넓은 OW 접합부에서는 과대평가하고 그라우트폭이 좁은 CN
접합부에서는 과소평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3) PCI 방법은 내부접합부에서 전체적으로 계산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1.0 이하인 경우가 많아 전반적으로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실험결과에
대한 계산결과의 비($P_{u}/P_{n}$)는 0.53~1.31로서 분산 정도가 가장 작아 실험내력을 근사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부접합부에서는 그 비가 0.49~3.85로서 분산된 양상을 보이고, 다른 실험체들과 같이 그라우트폭이 좁은 CN과 CW 접합부에서 특히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PC 벽식구조 수평접합부의 압축강도 설계를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서 PCI 방법이 권장되지만, 설계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내부접합부에 대해서는
그라우트 폭 확장계수를 식 (11)과 같이 제시하였다. 또한 외부접합부에 대해서는 그라우트폭에 대한 벽두께의 비에 따라 강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식 (12) 및 (13)과 같이 제안하였다. 제안된 식을 적용할 경우, 실험결과와 계산된 축강도가 좋은 대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교통대학교 연구비지원과 국토교통부 OSC 사업단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fib (2008) Structural Connections for Precast Concrete Buildings (fib Bulletin 43).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fib (2014) Planning and Design Handbook on Precast Building Structures (fib Bulletin
74).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Hong, S. M., and Boo, C. Y. (1987a) A Study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Interior
Wall-To-Floor Joint for Large-Panel Precast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 105-112. (In Korean)

Hong, S. M., and Boo, C. Y. (1987b) A Study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Exterior
Wall-To-Floor Joint for Large- Panel Precast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5), 123-131. (In Korean)

Johal, L. S., and Hanson, N. W. (1982) Design for Vertical Load on Horizontal Connections
in Large Panel Structures. PCI Journal 27, 62-79.

KCI (2022) Design Standard of Reinforced Concrete (KDS 14 20 00).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

Kim, I. W., Kim, S. S., and Lee, L. H. (1990) Behavior of the Horizontal Joints of
the Large Concrete Panel Stru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6(5),
231-239. (In Korean)

Lee, G. S., Park, W. S., Yi, W. H., Lee, L. H., and Hong, S. M. (1991) The Strength
of Wall-To-Slab Joint in Large Panel Structures.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2), 531-536. (In Korean)

Lee, S. W., and Lee, L. H. (1987) The Strength of Wall-To-Floor Joints in Large Panel
Stru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 197-207. (In Korean)

MOC (1992) Structural Precast Concrete for Prefabricated Buildings. Gwacheon, Korea;
Ministry of Construction (MOC). (In Korean)

Park, J. S., and Lee, L. H. (1987) The Behavior of Horizontal Joints in Structural
Large Panel Structures-with Open Joints. Conference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7(2), 483-486. (In Korean)

PCI (2015) PCI Manual for the Design of Hollow Core Slabs and Walls (MNL-126-15E).
Illinois, USA; Precast/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PCI).

Seo, S. Y., Jeong, B. O., Yi, W. H., and Lee, L. H. (1994) Compressive Strength of
Horizont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ystem.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2), 138-147. (In Kor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