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연구원 (Researche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Rep. of Korea)
  2.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Researche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Rep. of Korea)
  3.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Rep. of Korea)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 집중소성모델, 모델 파라미터 예측, 강도 저하, 매개변수 연구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 lumped plasticity model, model parameter prediction, strength degradation, parametric study

1. 서 론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기둥 자중 저감의 효과를 가지며(Kim 2018), 중실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비해 효율적인 단면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장대교량 및 고교각 교량과 같은 대형 구조물에서 큰 자중으로 인한 지진력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활용되고 있다(Liang et al. 2015; Cassese et al. 2017). 그러나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중실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달리 심부 콘크리트 면적이 작고 단면 내측의 구속력이 부족하여(Liang et al. 2015) 기둥의 연성 및 내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단면 내부 중공 부분의 크기에 따라 기둥의 내진거동 특성이 달라진다(Zhan et al. 1990). 따라서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사용한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중공단면의 특성을 고려한 기둥의 비선형 해석이 필요하다.

지진하중과 같은 반복하중을 받는 기둥의 비선형 이력 거동 모사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해석모델로는 분산소성모델(distributed plasticity model, DPM)과 집중소성모델(lumped plasticity model, LPM)이 있다.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선형 해석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비선형 재료 모델을 바탕으로 섬유단면(fiber section)을 이용하는 분산소성모델이 주로 사용되어왔다(Chen et al. 2020; Zhao et al. 2023). 분산소성모델은 부재의 휨변형 구현에 효과적이지만, 반복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기둥의 강도 저하와 같은 반복손상(cyclic damage)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반복손상을 고려할 수 있는 전단스프링이 추가된 분산소성모델을 사용하기도 한다(Cassese et al. 2019; Yu et al. 2023). 반면, 집중소성모델은 비선형 회전스프링을 통해 비교적 간단하게 반복손상을 포함한 부재의 비선형 이력 거동 모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실험결과에 기반한 모델 매개변수(model parameter)의 보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정과정 없이 집중소성모델 매개변수를 예측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행된 선행 연구들은 중실 단면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Haselton et al. 2016; Lee et al. 2021), 중공단면에 대해 직접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소성모델을 통해 사각형 및 원형 단면을 갖는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선형 이력 거동을 모사하기 위한 모델 매개변수 예측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수행되었던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 실험체의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델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모델 매개변수 결과와 기둥의 설계 매개변수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임의의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해 모델 매개변수를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예측식을 사용한 집중소성모델을 통해 모사된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선형 이력 거동을 기존의 분산소성모델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예측식을 중공단면을 갖는 교량 교각 해석모델에 적용하여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고 지진취약도 곡선을 도출함으로써 기둥의 설계 매개변수에 따른 지진취약성을 분석하였다.

2. 실험 데이터베이스

집중소성모델을 사용한 기둥의 비선형 이력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모델 매개변수 값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정한 축력과 횡방향 반복하중을 가한 108개의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 실험체의 설계 매개변수와 하중-변형 이력 곡선을 수집하였다(Mander et al. 1983; Zahn et al. 1990; Yukawa et al. 1999; Ranzo and Priestley 2000; Takahashi and Iemura 2000; Kenmotsu and Kawashima 2001; Yeh et al. 2001; Kawashima et al. 2002; Mo and Nien 2002; Cheng et al. 2004; Calvi et al. 2005; Cheng et al. 2005; Delgado 2009; Kim 2012; Yatsumoto et al. 2012; Jabor 2013; Han et al. 2014; Kim et al. 2014a; Kim et al. 2014b; Lee et al. 2015; Liang et al. 2015; Cassese 2017). Fig. 1은 수집된 기둥 실험체의 주요 설계 매개변수의 분포를 나타낸다. 여기서 $C_{s}$는 형상계수로 원형 단면은 1, 사각형 단면은 2를 사용하고, $h$는 단면 높이, $a$는 전단경간길이, $t$는 단면 두께로 단면의 외측치수에서 내측치수를 뺀 값을 반으로 나눈 값, $s$는 횡방향 철근의 중심간격, $b$는 단면 폭, $f_{c}$는 실험 시 측정된 콘크리트 압축강도, $f_{y}$와 $f_{yt}$는 각각 인장실험에서 측정된 축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의 항복강도, $P$는 축력, $A_{g}$는 중공부를 제외한 기둥의 단면적, $\rho_{l}$과 $\rho_{t}$는 각각 축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의 체적비이다.

Fig. 1 Histograms of design parameters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1.png

3. 모델 매개변수 보정

수집된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결과에 기반하여 집중소성모델 구현에 필요한 모델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집중소성모델에 사용된 재료 모델은 OpenSees(McKenna 2011)에서 제공하는 Pinching4 모델(Lowes and Altoontash 2003)이다. 해당 재료모델은 사선형 백본곡선(backbone curve)을 기반으로 반복손상을 고려할 수 있다. 사선형 백본곡선은 모멘트-회전각 응답($M-\theta$)으로 정의되며 유효항복점($\theta_{y},\: M_{y}$), 캡핑점($\theta_{c},\: M_{c}$), 극한점($\theta_{u},\: M_{u}$), 잔류점($\theta_{r},\: M_{r}$)으로 구성되고, 강도 저하와 같은 기둥의 반복손상은 매개변수 $\alpha_{2}$의 값을 통해 모사된다.

3.1 모델 매개변수 보정 방법

유효항복점($\theta_{y},\: M_{y}$)은 Fig. 2와 같이 ASCE 41-23 (2023)에 따라 결정하였다. 먼저, 횡방향 하중-변위($V-\Delta$) 이력곡선으로부터 첫 번째 사이클 포락선(first-cycle envelope curve)을 구하고 원점과 임의의 항복변위 $\Delta_{y}$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를 $K_{e}$라고 가정한다. 이때, 기울기가 $K_{e}$인 직선과 포락선의 교점의 하중은 $V_{y}$의 60 %이다. 원점과 임의의 항복점$(\Delta_{y},\: V_{y})$, 최대 횡하중 지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포락선과 이루는 내부 면적과 외부 면적이 일치할 때까지 $(\Delta_{y},\: V_{y})$값을 조정한다. 이후 횡방향 하중-변위 응답을 모멘트-회전각 응답으로 변환하여 유효항복점($\theta_{y},\: M_{y}$)을 결정하였다. 백본곡선의 캡핑점($\theta_{c},\: M_{c}$)은 최대 모멘트($M_{max}$)가 발생한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백본곡선의 극한점($\theta_{u},\: M_{u}$)과 잔류점($\theta_{r},\: M_{r}$)은 동일 사이클 내에서 변형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이 감소하는 현상인 단조 강도 저하(monotonic strength degradation)와 관련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수집된 실험결과에서 명확한 단조 강도 저하를 보이는 기둥 실험체들은 16개였다. 따라서 실험 이력곡선 상에서 단조 강도 저하의 발생 여부에 따라 극한점, 잔류점 및 $\alpha_{2}$를 보정하였다. 이때, $M_{u}$는 $M_{c}$와 동일한 값을 사용하였다. Fig. 3과 같이 단조 강도 저감이 발생한 경우, 캡핑점 이후 실험결과와 해석결과의 모멘트 강도 차이가 최소가 될 때까지 $\theta_{u}$와 $\alpha_{2}$를 반복적으로 함께 조정하여 보정하였다. 보정된 극한점에서 실험 이력곡선으로부터 구한 음강성을 갖는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지점을 잔류점으로 결정하였다. Fig. 4와 같이 단조 강도 저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Lee and Han (2018)을 토대로 $\theta_{u}$을 실험결과의 최대 회전각으로 설정 후, 회전각이 $1.1\theta_{u}$이고 모멘트가 영(0)이 되는 지점을 잔류점으로 가정하여 백본곡선을 먼저 정의하였다. 그다음 실험모멘트와 해석모멘트의 차이가 최소가 되게 하는 $\alpha_{2}$를 결정하였다. $\alpha_{2}$는 식 (1)을 통해 강도 저하의 정도를 나타낸다.

(1)
$(M_{max})_{i}=(M_{max})_{o}\times\left(1-\alpha_{2}\left(\dfrac{E_{i}}{\alpha_{5}E_{{monotonic}}}\right)\right)$

여기서, $(M_{max})_{i}$는 $i$번째 사이클의 최대 강도, $(M_{max})_{o}$는 백본곡선의 최대 강도, $E_{i}$는 $i$번째 사이클까지의 누적 이력 에너지, $E_{{monotonic}}$은 백본곡선의 넓이, $\alpha_{n}$은 실험 이력곡선을 적절히 모사하도록 보정되는 모델 매개변수이다. 단조 강도 저하의 발생 여부에 따라 캡핑점 이후 백본곡선의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Han et al. 2019) $\alpha_{2}$ 보정 시 백본곡선의 전체 넓이가 아닌 캡핑점까지의 넓이를 사용하기 위해 식 (2)와 같이 $\alpha_{5}$를 수정하였다. 이때, 줄어든 $E_{{monotonic}}$ 값을 보완하고 $\alpha_{2}$에 따른 해석의 민감도를 낮추기 위해 100을 곱하여 보정하였다.

(2)
$\alpha_{5}=\dfrac{E_{capping}}{E_{{monotonic}}}\times 100$

여기서, $E_{capping}$는 원점에서 캡핑점까지의 백본곡선 넓이이다.

Fig. 2 Determination of effective yield point (ASCE 41-23)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2.png

Fig. 3 Calibration of backbone curve parameters for specimen with monotonic strength degradation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3.png

Fig. 4 Calibration of backbone curve parameters for specimen without monotonic strength degradation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4.png

3.2 모델 매개변수 보정 결과

Fig. 5는 모델 매개변수의 보정 결과를 나타낸다. 백본곡선의 회전각은 각 지점 사이의 회전각의 차이로 표현하였다. $\theta_{1}$은 유효항복점 회전각($\theta_{y}$), $\theta_{2}$는 캡핑점과 유효항복점의 회전각 차이($=\theta_{c}-\theta_{y}$), $\theta_{3}$는 극한점과 캡핑점의 회전각 차이($=\theta_{u}-\theta_{c}$), $\theta_{4}$는 잔류점과 극한점의 회전각 차이($=\theta_{r}-\theta_{u}$)를 나타낸다. 이때, $\theta_{3}$와 $\theta_{4}$는 실험 중 단조 강도 감소 현상이 명확히 발생한 16개의 기둥 시편에 관한 결과이다. $\tau_{y}/f_{c}$와 $\tau_{c}/f_{c}$는 백본곡선의 $M_{y}$와 $M_{c}$를 각각 전단응력($\tau_{y}=M_{y}/(A_{g}a)$, $\tau_{c}=M_{c}/(A_{g}a)$)으로 변환 후 콘크리트 압축강도($f_{c}$)로 나눈 값이다. $\alpha_{2}$는 실험결과 이력곡선에서 최대 모멘트 도달 이후 10 % 이상 강도 감소가 발생한 88개의 기둥 시편에 관한 결과이다.

Fig. 5 Histograms of calibrated model parameters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5.png

4. 모델 매개변수 예측식 개발

4.1 회귀분석 방법

임의의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집중소성모델 매개변수를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제안하기 위해 보정된 모델 매개변수와 기둥의 설계 매개변수 사이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선형 이력거동에 영향을 주는 10개의 설계 매개변수($C_{s}$, $a/h$, $t/h$, $s/h$, $b/h$, $f_{y}/f_{c}$, $f_{yt}/f_{c}$, $P/A_{g}f_{c}$, $\rho_{l}$, $\rho_{t}$)를 입력변수로 활용하였다. 집중소성모델 매개변수 예측에 주로 사용되는 곱의 형태인 예측식(Lignos and Krawinkler 2011; Haselton et al. 2016)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여 식 (3)과 같이 선형함수로 변환한 뒤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3)
$Y=\hat{\beta_{0}}+\hat{\beta_{1}}X_{1}+\hat{\beta_{2}}X_{2}+\cdots +\hat{\beta_{n}}X_{n}$

여기서, $X=\ln(x)$, $Y=\ln(y)$, $x$는 설계 매개변수를, $y$는 모델 매개변수를 나타내며, $\hat{\beta}$는 회귀계수를 나타낸다. 회귀분석 시 과적합(overfitting)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 매개변수로 구성할 수 있는 1,023개의 입력변수 조합을 토대로 각 모델 매개변수에 대해 leave-one-out 교차검증을 수행하였다. 각 입력변수 조합에 대해 (1) 예측 정확도를 위해 낮은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d error, MSE)와 높은 결정계수($R^{2}$) 값을 가지고, (2) 예측식의 사용 편이성을 위해 선택된 입력변수의 수가 적으며, (3) 선택된 입력변수가 모델 매개변수와 적절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조합 중에 최종 예측식을 선정하였다.

4.2 회귀분석 결과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회귀계수는 Table 1에 제시하였으며, 보정된 모델 매개변수 값과 예측된 값 간의 비교 결과는 Fig. 6에 나타내었다. $\theta_{4}$를 제외한 나머지 모델 매개변수의 $R^{2}$값은 0.48~0.90으로 나타났으나, $\theta_{4}$의 $R^{2}$값은 0.34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단조 강도 저하가 발생한 시편 수가 적어 콘크리트의 압축파괴, 전단파괴, 축방향 철근의 좌굴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단조 강도 저하 현상(FEMA 2008)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Fig. 6 Comparison of predicted and calibrated model parameters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6.png

Table 1 Regression coefficients for calibrated model parameters

$X_{i}$ $\hat{\beta}_{i}$

Model parameters

$\theta_{1}$ $\theta_{2}$ $\theta_{3}$ $\theta_{4}$ $\tau_{y}/f_{c}$ $\tau_{c}/f_{c}$ $\alpha_{2}$

Intercept

$\hat{\beta_{0}}$

-2.69

-5.17

-3.61

-2.19

-1.40

-1.70

-2.33

$C_{s}$ $\hat{\beta}_{1}$

-0.28

-0.15

-1.17

0.14

0.15

0.11

$\ln(a/h)$ $\hat{\beta}_{2}$

0.57

4.33

-0.75

-0.98

-0.86

$\ln(t/h)$ $\hat{\beta}_{3}$

0.63

0.82

4.72

-1.19

$\ln(s/h)$ $\hat{\beta}_{4}$

-0.42

-1.08

0.42

$b/h$ $\hat{\beta}_{5}$

1.40

-0.30

$\ln(f_{y}/f_{c})$ $\hat{\beta}_{6}$

-0.58

$\ln(f_{yt}/f_{c})$ $\hat{\beta}_{7}$

0.84

0.57

0.63

$\ln\left(1-\dfrac{P}{A_{g}f_{c}}\right)$ $\hat{\beta}_{8}$

1.42

2.21

6.15

1.01

-0.91

-1.23

-4.13

$\ln(\rho_{l})$ $\hat{\beta}_{9}$

-0.38

-0.36

0.27

0.46

0.40

$\ln(\rho_{t})$ $\hat{\beta}_{10}$

0.21

0.21

0.08

0.12

0.35

4.3 모델링 기법에 따른 예측결과 비교

개발된 집중소성모델 매개변수 예측식과 기존의 분산소성모델을 사용하여 OpenSees를 통해 각각 모사된 이력거동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산소성모델은 Liang et al. (2015)이 중공단면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Mander et al. (1988)의 구속 콘크리트 재료 모델을 토대로 수정하여 제안한 방법과 Sezen (2002)의 축방향 철근 슬립 모델을 적용하였다. 각 모델링 방법으로 모사된 해석결과에 대해 초기 강성($K_{i}$), 최대 모멘트($M_{max}$) 및 포락선 넓이($A_{env}$)를 계산하고 그 값을 실험결과로부터 구한 값과 비교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구한 값인 $X_{sim}$과 실험결과로부터 구한 값인 $X_{exp}$의 비($X_{sim}$$/X_{exp}$)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다. 초기 강성은 3.1절과 동일하게 계산된 유효항복점과 원점 사이의 기울기이다. 포락선 넓이는 원점부터 최대 회전각까지의 포락선 내부 면적으로 강도 저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계산되었다. 제안된 예측식을 사용한 집중소성모델(LPM)이 분산소성모델(DPM)에 비해 대체적으로 $X_{sim}$$/X_{exp}$의 평균이 1에 가깝고 표준편차가 작아 더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제안된 예측식을 사용한 LPM으로 모사된 해석결과의 초기 강성, 최대 모멘트 및 포락선 넓이는 실험결과와 평균적으로 약 1~9 %의 차이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적절히 모사되었다. 반면, DPM의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에 비해 초기 강성은 평균적으로 약 48 % 크게 모사하였으며 포락선 넓이는 약 12 % 크게 모사하였다. 초기 강성과 포락선 넓이는 DPM이 LPM보다 평균적으로 각각 1.38배, 1.14배 더 크게 예측하였다. 최대 모멘트의 경우 DPM의 $X_{sim}$$/X_{exp}$ 평균이 1에 더 가까우나, 취성적인 거동을 하는 실험체에 대해 최대 모멘트를 크게 예측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LPM보다 표준편차가 1.79배 크게 나타났다.

Fig. 7Fig. 8은 각각 집중소성모델(LPM)과 분산소성모델(DPM)을 통해 모사된 기둥의 비선형 이력곡선을 실험결과와 비교한 것이다. Fig. 7은 실험결과에서 단조 강도 저하가 발생한 실험체 P3(Cassese 2017)에 대해 비교하였다. LPM은 실험결과에서 단조 강도 저하가 발생하기 시작한 0.0135 rad과 유사한 회전각인 0.014 rad에서 단조 강도 저하를 모사하며 최대 회전각에서 실험결과와 강도 차이가 약 2 %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반면, DPM은 단조 강도 저하가 구현되지 않아 최대 회전각에서의 강도가 실험결과보다 약 2.2배 크게 나타났다. Fig. 8은 실험결과에서 단조 강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은 실험체 P5(Cassese 2017)에 대해 비교하였다. 각 사이클에서 실험결과와 해석결과의 강도차이가 평균적으로 LPM이 14 %, DPM이 30 %로 나타났다. 이는 DPM이 LPM에 비해 강도 저하 및 에너지 소산 능력 감소와 같은 부재의 반복손상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Fig. 7 Comparison of simulated and experimental responses of specimen with monotonic strength degradation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7.png

Fig. 8 Comparison of simulated and experimental responses of specimen without monotonic strength degradation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8.png

Table 2 Model validation results

$X_{sim}$$/X_{exp}$ $K_{i}$ $M_{max}$ $A_{env}$

DPM

LPM

DPM

LPM

DPM

LPM

Mean

1.484

1.076

1.006

0.911

1.124

0.987

Standard deviation

0.960

0.397

0.188

0.105

0.229

0.132

5. 교량 기둥에 대한 예측모델 적용

5.1 교량 수치해석 모델

본 절에서는 제안된 집중소성모델 매개변수 예측식을 중공단면 기둥이 사용된 교량 모델에 적용하여 기둥의 설계 매개변수에 따른 지진취약도를 비교하였다. 사용된 교량은 Fig. 9에 나타난 3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교로, 단면 높이 5 m, 폭 3.8 m, 두께 0.8 m의 사각형 중공단면을 갖는 단주형 교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은 설계기준 압축강도 50 MPa인 콘크리트와 항복강도 500 MPa인 축방향 및 횡방향 철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축방향 철근은 외측에 132개의 D35, 내측에 100개의 D32이 배근되었으며, 횡방향 철근과 보강띠철근(cross-tie)은 각각 D22, D13이 사용되었다. 상부구조와 기둥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교대에는 항복강도 78 kN, 초기 강성 30 MN/m인 탄성받침이 상부구조를 지지하고 있다. 교각부의 기초 저면은 지면으로부터 2.3 m 높이에 위치하며 말뚝기초로 지지되고 교대부는 직접기초로 지지된다.

교량 수치해석 모델은 Fig. 10과 같이 OpenSees를 통해 3차원 모델로 구현되었다. 교량의 상부구조는 단면 특성을 반영한 탄성 보-기둥 요소(elastic beam-column element)로 모델링하였고, 교량받침은 탄성받침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선형(bilinear) 재료 모델을 적용한 스프링 요소(zero-length spring element)로 모델링하였다. 상부구조와 교대 사이의 신축이음에서 발생하는 충돌(pounding) 거동은 Muthukumar and DesRoches (2006)이 제안한 모델링 방법에 기반하여 유간(gap)을 갖는 이선형 압축 스프링 요소로 모델링하였다. 교대의 뒤채움부(backfill)의 거동은 Shamsabadi et al. (2010)의 방법을 활용하였고, 직접기초의 수평 방향에 대한 저항력은 기초 바닥과 지면 사이의 마찰계수를 통해 탄성 스프링으로 모델링하였다(Mangalathu 2017). 중공 기둥의 경우, 교축방향으로 라멘 거동을 하고 교축직각방향으로는 켄틸레버 거동을 한다고 가정하여, 교축방향에 대해서는 비선형 회전스프링을 기둥의 양단에 배치하였고 교축직각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스프링을 기둥의 하단부에만 배치하였으며 기둥의 양단은 탄성 보-기둥 요소로 연결하였다. 말뚝기초가 사용된 교각 기초는 변위법(도로교설계기준 해설, KSCE 2008)에 기반하여 개별 말뚝의 축방향 및 횡방향 스프링 정수를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말뚝군의 강성을 계산하여 선형탄성거동을 하는 횡방향 및 회전 스프링으로 모델링하였다.

Fig. 9 Bridge configuration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9.png

Fig. 10 OpenSees numerical model for each bridge component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10.png

5.2 설계 매개변수에 따른 중공단면 교각의 지진취약도 분석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주요 설계 매개변수 중 전단경간길이($a$), 단면 두께($t$), 횡방향 철근의 중심간격($s$), 축방향 철근비($\rho_{l}$), 횡방향 철근비($\rho_{t}$)의 변화에 따른 교각의 지진취약도 곡선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설계 매개변수의 16 %, 50 %, 84 % 백분위수($P_{16}$, $P_{50}$, $P_{84}$)에 해당하는 값을 선정하여 Table 3에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매개변수의 값만을 개별적으로 변화시켜 총 15가지 경우에 대해 교량 수치해석 모델을 구성하였다.

FEMA P695 (2009)에서 제시한 44개의 원거리 지반운동을 사용하여 교량이 더 취약한 거동을 보이는 교축직각방향에 대해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지반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가 0.2 g부터 2.0 g까지 0.2 g씩 증가하도록 스케일링하였다. 지반운동의 세기(intensity measure)는 PGA를, 구조응답변수(engineering demand parameter)는 최대 변위비를 사용하여 손상상태에 대한 취약도 곡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elgado et al. (2017)가 사각형 중공단면을 갖는 기둥에 대해 제안한 네 단계의 손상상태를 사용하였다. 각 단계는 한계상태로 구분되며, 이는 경미한 손상(slight, LS1), 중간 손상(moderate, LS2), 심각한 손상(extensive, LS3), 붕괴(collapse, LS4)이고, 한계상태 변위비는 순서대로 0.71 %, 1.21 %, 2.14 %, 3.21 %이다. Baker (2015)가 제안한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PGA마다 교량 기둥의 최대 변위비가 한계상태 변위비를 초과할 확률을 계산하여 지진취약도 곡선을 도출하였다.

설계 매개변수 값의 변화에 따라 각 손상상태에서 중공단면 교량 기둥의 지진취약도 곡선의 중앙값의 변화율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지진취약도 곡선의 중앙값은 손상확률이 50 %일 때 PGA 값을 나타낸다. 그 결과, 횡방향 철근의 간격, 횡방향 철근비의 값이 변하더라도 모든 손상상태에 대해 지진취약도 곡선의 중앙값은 6 % 미만의 미소한 차이를 보였다. 과거 실험연구(Kim 2012; Lee et al. 2015)에서도 횡방향 철근이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하중-변위 응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전단경간길이, 축방향 철근비, 단면 두께의 값이 변함에 따라 지진취약도 곡선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해당 결과를 Fig. 11에 제시하였다. 모든 손상상태에 대해 지진취약도 곡선의 중앙값은 전단경간길이가 증가할수록 약 12~25 % 증가하였고 축방향 철근비가 증가할수록 약 3~15 % 증가하였으며, 단면 두께가 증가할수록 약 7~14 % 증가하였다. 이는 전단경간비가 클수록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 능력이 향상되고(Cassese et al. 2017) 축방향 철근비가 증가할수록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휨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Lee et al. 2015).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단면 두께가 클수록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지만(Zhan et al. 1990), 본 연구에서는 단면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축방향 철근비가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Fig. 11 Fragility curves for hollow bridge columns

../../Resources/KCI/JKCI.2025.37.5.599/fig11.png

Table 3 Percentile values of column design parameters

Percentile

$a/h$ $t/h$ $s/h$ $\rho_{l}$ $\rho_{t}$
$P_{16}$

2.381

0.150

0.057

0.011

0.003

$P_{50}$

3.500

0.167

0.125

0.018

0.009

$P_{84}$

4.267

0.250

0.241

0.027

0.018

6. 결 론

본 연구는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선형 이력거동을 집중소성모델을 기반으로 예측하기 위한 모델 매개변수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예측식의 $R^{2}$값은 0.48~0.90으로 대체로 적절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하지만, $\theta_{4}$의 예측식은 $R^{2}$값이 0.34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단조 강도 저하가 발생한 기둥 시편의 수가 적었기 때문이며 추후에 단조 강도 저하가 발생한 추가적인 기둥 시편을 확보함으로써 예측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예측식은 경험적 방법에 의해 제안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계 매개변수 범위를 벗어나는 기둥에 대해 적용할 경우 예측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제안된 예측식을 적용한 집중소성모델과 기존의 분산소성모델로 모사한 이력거동을 각각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집중소성모델은 초기 강성, 최대 모멘트, 포락선 넓이를 실험결과의 값과 평균적으로 약 1~9 %의 차이를 보였고, 단조 강도 저하가 발생한 회전각과 강도 저하의 정도도 적절히 구현하였다. 반면, 분산소성모델은 최대 모멘트는 실험결과와 유사하게 모사하였으나 초기 강성과 포락선 넓이는 실험결과보다 각각 12 %, 48 % 크게 모사하였고 단조 강도 저하 및 강도 저하를 적절히 구현하지 못하였다.

개발된 예측식을 중공 기둥이 적용된 교량 수치해석 모델에 활용하여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단경간길이, 단면 두께, 축방향 철근비는 손상확률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확인되었다. 특히, 전단경간길이가 증가할수록 지진취약도 곡선의 중앙값을 약 12~25 % 증가시키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중공단면 기둥 설계 시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기둥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지진취약도 분석 결과로부터 중공 기둥 교량의 내진성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보수·보강 방안 수립에 적용할 수 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S-2024-00350220).

References

1 
ASCE (2023)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Existing Buildings (ASCE/SEI 41-23). Rest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URL
2 
Baker, J. W. (2015) Efficient Analytical Fragility Function Fitting using Dynamic Structural Analysis. Earthquake Spectra 31(1), 579-599.DOI
3 
Calvi, G. M., Pavese, A., Rasulo, A., and Bolognini, D. (2005)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the Seismic Response of RC Hollow Bridge Piers.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3, 267-297.DOI
4 
Cassese, P. (2017) Seismic Performance of Existing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Ph.D. Thesis. University of Naples Federico II.URL
5 
Cassese, P., De Risi, M. T., and Verderame, G. M. (2019) A Modelling Approach for Existing Shear-Critical RC Bridge Piers with Hollow Rectangular Cross Section under Lateral Loads.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17, 237-270.DOI
6 
Cassese, P., Ricci, P., and Verderame, G. M. (2017) Experimental Study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with Hollow Rectangular Section. Engineering Structures 144, 88-106.DOI
7 
Chen, X. (2020) System Fragility Assessment of Tall-Pier Bridges Subjected to Near-Fault Ground Motions.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25(3).DOI
8 
Cheng, C. T., Mo, Y. L., and Yeh, Y. K. (2005) Evaluation of as-Built, Retrofitted, and Repaired Shear-Critical Hollow Bridge Columns under Earthquake-Type Loading.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0(5), 520-529.DOI
9 
Cheng, C. T., Yeh, Y. K., and Mo, Y. L. (2004) Flexural Repair of Hollow Rectangular Bridge Columns Failed due to Earthquake- Type Loading. Materials and structures 37, 717-723.DOI
10 
Delgado, P. (2009) Avaliação da Segurança Sísmica de Pontes. Ph.D. Thesis. Universidade do Porto.URL
11 
Delgado, P., Sá, N., Marques, M., and Arêde, A. (2017) Methodology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eismic Limit States of Damage in RC Hollow Piers Experiment. Proceedings of the 16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Santiago, Chile, 9-13 January 2017.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Earthquake Engineering. 1–12.URL
12 
FEMA (2008) Effects of Strength and Stiffness Degradation on Seismic Response (FEMA P440A).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URL
13 
FEMA (2009) Quantification of Building Seismic Performance Factors (FEMA P695).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URL
14 
Han, Q., Wen, J., Du, X., and Jia, J. (2014)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Seismic Behavior of Hollow Bridge Columns Retrofitted with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s and Composites 33(24), 2214- 2227.DOI
15 
Han, S. W., Koh, H., and Lee, C. S. (2019) Accurate and Efficient Simulation of Cyclic Behavior of Diagonally Reinforced Concrete Coupling Beams. Earthquake Spectra 35(1), 361-381.DOI
16 
Haselton, C. B., Liel, A. B., Taylor-Lange, S. C., and Deierlein, G. G. (2016) Calibration of Model to Simulate Respons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s to Collapse. ACI Structural Journal 113(6), 1141-1152.URL
17 
Jabor, A. J. (2013)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Hollow Circular Columns with Steel Fiber Inclusion under Cyclic Bending. Journal of Babylon University 21(4).URL
18 
Kawashima, K., Une, H., and Sakai, J. (2002) Seismic Performance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Arch Ribs Subjected to Cyclic Lateral Force under Varying Axial Load.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48A, 747-757.URL
19 
Kenmotsu, Y., and Kawashima, K. (2001) Seismic Performance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Densely Confined Zones. Doboku Gakkai Ronbunshu 2001(682), 57-69.DOI
20 
Kim, T. H. (2012) Inelastic Behavior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Proceedings of the 15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Lisbon, Portugal, 24-28 September 2012. Sociedade Portuguesa de Engenharia Sísmica.URL
21 
Kim, T. H. (2018)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Using an Extended Damage Index.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2), 167-177. (In Korean)DOI
22 
Kim, T. H., Kim, H. Y., Lee, J. H., and Shin, H. M. (2014a)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 Systems with Reinforcement Details for Material Quantity Reduction: II. Experiments and Analyse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18(1), 9-18. (In Korean)DOI
23 
Kim, T. H., Lee, J. H., and Shin, H. M. (2014b)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 Systems with Reinforcement Details for Material Quantity Reduction: I.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18(1), 1-8. (In Korean)DOI
24 
KSCE (2008) Explanations of Highway Bridge Design Criteria. Seoul: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150-204. (In Korean)URL
25 
Lee, C. S., and Han, S. W. (2018) Computationally Effective and Accurate Simulation of Cyclic Behaviour of Ol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Engineering Structures 173, 892-907.DOI
26 
Lee, C. S., Park, Y., and Jeon, J. S. (2021) Model Parameter Prediction of Lumped Plasticity Model for Nonlinear Simulation of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Engineering Structures 245, 112820.DOI
27 
Lee, J. H., Choi, J. H., Hwang, D. K., and Kwahk, I. J. (2015)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Hollow RC Bridge Column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9(5), 1456-1467.DOI
28 
Liang, X., Beck, R., and Sritharan, S. (2015) Understanding the Confined Concrete Behavior on the Response of Hollow Bridge Columns.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No. CA14-2264.URL
29 
Lignos, D. G., and Krawinkler, H. (2011) Deterioration Modeling of Steel Components in Support of Collapse Prediction of Steel Moment Frames under Earthquake Loading.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37(11), 1291-1302.DOI
30 
Lowes, L. N., and Altoontash, A. (2003) Modeling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9(12), 1686-1697.DOI
31 
Mander, J. B., Priestley, M. J. N., and Park, R. (1983) Behaviour of Ductile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s. Bulletin of the New Zealand Society for Earthquake Engineering 16(4), 273-290.DOI
32 
Mander, J. B., Priestley, M. J., and Park, R. (1988) Theoretical Stress-Strain Model for Confined Concret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14(8), 1804-1826.DOI
33 
Mangalathu, S. (2017) Performance Based Grouping and Fragility Analysis of Box-Girder Bridges in California.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URL
34 
McKenna, F. (2011) OpenSees: A Framework for Earthquake Engineering Simulation. Computing in Science & Engineering 13(4), 58-66.DOI
35 
Mo, Y. L., and Nien, I. C. (2002) Seismic Performance of Hollow High-Strength Concrete Bridge Columns.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7(6), 338-349.DOI
36 
Muthukumar, S., and DesRoches, R. (2006) A Hertz Contact Model with Non-Linear Damping for Pounding Simulation. Earthquake Engineering & Structural Dynamics 35(7), 811- 828.DOI
37 
Ranzo, G., and Priestley, M. J. N. (2000) Seismic Performance of Large RC Circular Hollow Columns. Proceedings of the 12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Auckland, New Zealand, 30 January-4 February 2000. New Zealand Society for Earthquake Engineering.URL
38 
Sezen, H. (2002) Seismic Behavior and Modeling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lumns.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URL
39 
Shamsabadi, A., Khalili-Tehrani, P., Stewart, J. P., and Taciroglu, E. (2010) Validated Simulation Models for Lateral Response of Bridge Abutments with Typical Backfills.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5(3), 302-311.DOI
40 
Takahashi, Y., and Iemura, H. (2000) Inelastic Seismic Performance of RC Tall Piers with Hollow Section. Proceedings of the 12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Auckland, New Zealand, 30 January-4 February 2000. New Zealand Society for Earthquake Engineering.URL
41 
Yatsumoto, H., Sakai, J., and Hoshikuma, J. I. (2012) Cyclic Loading Tes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Hollow Section and High Longitudinal Steel Ratio under High Axial Loading. Proceedings of the 28th US-Japan Bridge Engineering Workshop, Portland, OR, USA 8-10.URL
42 
Yeh, Y. K., Mo, Y. L., and Yang, C. Y. (2001) Seismic Performance of Hollow Circular Bridge Piers. ACI Structural Journal 98(6), 862-871.DOI
43 
Yu, J., Li, J., Guo, W., Fan, C., Zeng, C., and Chen, X. (2023) Seismic Evaluation Method on Shear Strength Models for Round-End Hollow Piers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Structures 50, 23-38.DOI
44 
Yukawa, Y., Ogata, T., Suda, K., and Saito, H. (1999)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High Pier with Hollow Section. Doboku Gakkai Ronbunshu 1999(613), 103-120.DOI
45 
Zahn, F. A., Park, R., and Priestley, M. J. N. (1990) Flexural Strength and Ductility of Circular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out Confinement on Inside Face. ACI Structural Journal 87(2), 156-166.DOI
46 
Zhao, J., Jia, H., and Zhan, Y. (2023) Seismic Vulnerability Analysis of Multi-Main-Span High Pier Continuous Rigid- Frame Bridge in Terms of Cloud Method.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7(6), 2519-2534.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