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훈
(Tae-Hoon Kim)
1*iD
방춘석
( Choon-Seok Bang)
1iD
김이현
(Leehyeon Kim)
1
선창호
(Chang-Ho Sun)
2
김익현
(Ick-Hyun Kim)
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구조연구실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Railroad Structure Research Departmen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16105, Korea)
-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44610, Korea)
-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44610, Korea)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강연선, 인장강도, 기계적 특성, Faraday 법칙, 감소식
Key words
prestressing strands, tensile strength, mechanical property, Faraday’s rule, reduction equation
1. 서 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매립된 강연선의 경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균열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작아 일반적으로 부식에 대해 안전하다고
고려되고 있으나, 외부에 노출된 플라스틱 덕트(duct) 내의 강연선의 경우 부식에 대한 위험이 보고되고 있다(Dai et al. 2016; Jeon et al. 2019). 그라우트 미주입부, 덕트의 파손과 산소 및 수분 유입, 그리고 상부로부터의 정착구를 통한 제설제 유입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강연선의 부식이 철근보다 중요한 이유는 강연선은 항상 고인장 상태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철근과 동일한 전위차를 가지고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감소하여
부식전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부식속도의 증가로 철근보다 부식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Li et al. 2011; Wang et al. 2014).
이러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덕트에 그라우트 미충전 등으로 공극이 생기게 되면 공극 부분에 물, 염화칼슘 등의 침투에 의해 강연선
부식이 발생한다. 이렇게 부식된 강연선은 초기에는 균열과 피복 콘크리트의 박리 및 탈락으로 내구성 문제가 발생되지만, 최종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력저하에 영향을 주어 구조안전성 문제로 귀결된다. 부식은 부착력 저하 외에도 강연선 단면적 감소와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즉 부식이 진행되면서 강연선 단면적 감소로 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저하된다(Collins and Mitchell 1991; Lignola et al. 2012; Dai et al. 2016; Lee et al. 2022; Kim 2024).
그라우트 내부에 있는 강연선의 부식은 표면 손상 부위에서 철 이온의 산화로 인해 발생한 전위차로 부식이 확산되는 마이크로 셀 부식과 노출 환경이 다른
구간의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여 급격히 진행되는 매크로 셀 부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강연선의 부식은 수소 취화에 의한 응력부식으로 미세균열이 확대되며,
가해진 응력에 따라 균열 진행이 급격히 진행하고 갑작스러운 취성파괴에 도달하는 예도 있다(Fricker and Vogel 2006; Park et al. 2012).
부식으로 인한 균열 발생 시 염화물 이온 및 산소의 침투가 가속화되고 부식의 진행이 빨라지며 프리텐션의 경우에는 강연선과 콘크리트 부착력 감소로 내구성과
안전성이 저하된다. 이미 강연선의 부식이 진행된 경우는 보수나 보강이 쉽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데는 강연선의 부식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MacDougall and Bartlett 2002; Darmawan and Stewart 2007; Li et al. 2011; Ramseyer and Kang 2012; Wang et al. 2014; Li et al. 2017).
우리나라에서도 시공 후 17년이 경과된 공용 중 포스트텐션 교량에서 강연선의 부식으로 인한 외부 긴장재의 파단이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에 대한 원인
조사가 이루어졌다(Jo et al. 2017).
위와 같은 노후화 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문제는 상당한 관심 속에 부식 강연선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고, 강재의
기계적 특성 변화율은 주로 부식 기간과 직경 크기의 함수로 정의되고 있다(Almusallam 2001; Ou et al. 2016).
콘크리트 내의 강연선의 부식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제 부식환경 하에서의 폭로실험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는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단기간에
강연선의 부식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부식 촉진 실험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강연선의 부식은 주로 전기-화학센서 구성을 통하여 부식전류밀도
및 부식전위를 평가하는 비파괴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강연선의 직경과 부식레벨을 실험변수로 정하였으며 강연선 시편에 제안된 회로를 통하여 부식을 유도하여 부식량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특성과 기계적 특성 중에 중요한 인장강도 저하를 평가하고 예측하고자 한다. 부식된 강연선 시편들의 단조 인장시험을 통해 부식이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조사하였고, 도출된 시험결과로부터 강연선의 인장강도 감소식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노후화 등 열화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과 내진성능 평가식 등에 적용하고자 한다.
2. 부식된 강연선의 인장강도 감소식 제안을 위한 가속부식 실험
2.1 가속부식 실험
부식된 강연선의 인장강도 감소식 제안을 위한 가속부식 실험을 위해서 12.7 mm와 15.2 mm의 직경별로 목표 부식레벨은 0 %~30 %까지 2
% 간격으로 설정하였으며 부식 레벨별 시편 개수는 2개씩으로 총 64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강연선 시편의 길이는 Fig. 1과 같이 500 mm이며 인장시험 시 중앙부분의 파단을 유도하기 위해 양끝단 100 mm는 테이핑으로 방수처리하여 부식을 방지하였고, 중앙부분 300
mm 부분에 대해서 부식을 가속하였다.
Fig. 2와 같이 3 % NaCl 용액에 강연선 시편를 침지시켜 (+)극은 강연선 시편에 (-)극은 용액 속 희생 철근에 연결하여 부식유도 회로를 구성하여
철근의 전위를 부식이 일어나지 않은 전위로 떨어뜨리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직류전원 공급장치는 일정하게 20 V로 전압을 공급했고,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각 강연선 시편마다 10 Ω의 저항을 연결하였다.
이때 전위차계가 내장된 직류 정류기를 통합한 시스템을 통해 각 시편에 전류 강도를 제어하였으며 2 A의 일정한 양극전류를 가하여 부식을 가속하였고,
전류의 방향을 조정하여 강연선 시편이 양극이 되고 희생철근이 음극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강연선 시편 표면에서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며
양극 및 음극전류가 동시에 표면에 흐르게 되는데, 부식현상은 양극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이다.
강연선의 부식량 평가는 식 (1)과 같은 Faraday 법칙(Oh et al. 2016)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강연선의 부식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부식량(mol), $z$는 철의 이온수(=2), $F$는 Faraday의 수(=96,500 C), $q$는 전류(mA), $t$는
측정시간(sec), $c$는 실험상수, 그리고 1 mol의 철(Fe)은 55.847 g이다.
목표로 하는 부식량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적산 전류량(A・sec)을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로거를 이용하여 각 시편의 저항($\omega$)에 걸리는
전압(V)을 매시간 측정(1회/hour)하여 전류로 환산 후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 1 Prestressing strand specimens
Fig. 2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acceleration
2.2 가속부식 실험 결과 및 분석
강연선 시편들의 직경별 12.7 mm, 15.2 mm 부식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부식되지 않은 500 mm 강연선 3개에 대한 평균 무게를 측정하였다.
부식레벨 측정은 부식되지 않은 강연선의 평균 무게를 기준으로 실제 부식이 발생하는 300 mm의 부식구간에 대한 무게를 길이비로 환산하고, 부식된
강연선에 대해서는 각각의 부식된 강연선의 총 무게를 측정하여 실제 부식이 발생하는 부식구간에 대한 무게를 추정하여 실제 부식레벨을 산정하였다.
강연선 시편의 명명법은 직경-목표부식레벨-시편번호 순서이며 대표적인 사례를 Fig. 3에 나타내었고, Tables 1, 2에는 직경별 강연선에 대한 목표 부식레벨, 측정 부식레벨 및 평균 측정 부식레벨, 적산전류량, 부식 단면적, 그리고 인장강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12.7 mm 강연선 시편은 부식레벨이 최대 30.5 %, 그리고 15.2 mm 강연선 시편은 부식레벨이 최대 28.0 %이다. 그리고 12.7 mm,
15.2 mm의 적산전류량에 따른 부식레벨을 실험값과 전 절에서 기술한 Faraday 법칙(식 (1))에 의한 이론값을 비교하여 Fig. 4에 나타내었다. 이론값 산정 시 부식전 무게는 공칭무게로 부식 후 무게는 Faraday 법칙에 의한 이론식으로 하였고, 실험값 산정 시 부식전 무게는
측정값으로 부식 후 무게는 Faraday 법칙에 의한 이론식으로 산정하였다. 전체적으로 적산전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식레벨도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부식레벨이 클 때 실험값이 이론값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인 경향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Faraday
법칙에 의한 부식량 평가에서 강연선의 경우 1개의 심선 둘레에 측선 6개를 S연으로 꼬아 만든 7연선으로 부식이 강선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몇 개의 강선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Fig. 3 Corroded prestressing strand samples
Fig. 4 Variation in corrosion level of prestressing strand with respect to accumulated
current
Table 1 Properties of the 12.7 mm prestressing strands
|
Specimen
|
Target corrosion level (%)
|
Measured corrosion level (%)
|
Measured average corrosion level (%)
|
Accumulated current (A・sec)
|
Corrosion area
(mm2)
|
Tensile strength (MPa)
|
|
D12.7-0
|
-
|
-
|
-
|
-
|
98.71
|
1,951.78
|
|
D12.7-2-1
|
2.0
|
2.3
|
2.5
|
16,268
|
96.42
|
1,854.40
|
|
D12.7-2-2
|
2.0
|
2.8
|
16,379
|
95.98
|
1,888.04
|
|
D12.7-4-1
|
4.0
|
3.6
|
3.3
|
34,231
|
95.18
|
1,803.97
|
|
D12.7-4-2
|
4.0
|
3.1
|
34,815
|
95.63
|
1,824.78
|
|
D12.7-6-1
|
6.0
|
6.4
|
6.6
|
49,287
|
92.40
|
1,796.26
|
|
D12.7-6-2
|
6.0
|
6.8
|
49,965
|
92.00
|
1,753.47
|
|
D12.7-8-1
|
8.0
|
8.3
|
8.5
|
66,292
|
90.51
|
1,748.49
|
|
D12.7-8-2
|
8.0
|
8.8
|
65,872
|
90.06
|
1,804.32
|
|
D12.7-10-1
|
10.0
|
11.7
|
11.0
|
81,493
|
87.13
|
1,714.23
|
|
D12.7-10-2
|
10.0
|
10.2
|
80,637
|
88.65
|
1,718.00
|
|
D12.7-12-1
|
12.0
|
10.8
|
11.7
|
94,537
|
88.01
|
1,574.58
|
|
D12.7-12-2
|
12.0
|
12.5
|
97,334
|
86.38
|
1,599.71
|
|
D12.7-14-1
|
14.0
|
12.8
|
13.1
|
109,850
|
86.06
|
1,559.14
|
|
D12.7-14-2
|
14.0
|
13.3
|
109,494
|
85.59
|
1,516.59
|
|
D12.7-16-1
|
16.0
|
17.1
|
16.6
|
128,605
|
81.88
|
1,454.59
|
|
D12.7-16-2
|
16.0
|
16.1
|
124,585
|
82.77
|
1,500.50
|
|
D12.7-18-1
|
18.0
|
19.5
|
19.7
|
145,454
|
79.49
|
1,556.39
|
|
D12.7-18-2
|
18.0
|
20.0
|
145,202
|
79.00
|
1,650.09
|
|
D12.7-20-1
|
20.0
|
19.2
|
19.1
|
158,721
|
79.75
|
1,332.47
|
|
D12.7-20-2
|
20.0
|
19.0
|
156,546
|
79.98
|
1,353.85
|
|
D12.7-22-1
|
22.0
|
21.7
|
16.5
|
187,902
|
77.25
|
1,403.27
|
|
D12.7-22-2
|
22.0
|
11.3
|
197,619
|
87.51
|
1,685.01
|
|
D12.7-24-1
|
24.0
|
24.5
|
24.7
|
190,723
|
74.54
|
940.49
|
|
D12.7-24-2
|
24.0
|
25.0
|
193,268
|
74.03
|
1,218.45
|
|
D12.7-26-1
|
26.0
|
9.1
|
12.5
|
233,885
|
89.74
|
1,599.92
|
|
D12.7-26-2
|
26.0
|
16.0
|
221,672
|
82.96
|
1,356.84
|
|
D12.7-28-1
|
28.0
|
22.2
|
26.2
|
225,887
|
76.78
|
1,135.18
|
|
D12.7-28-2
|
28.0
|
30.3
|
235,460
|
68.83
|
878.69
|
|
D12.7-30-1
|
30.0
|
30.5
|
30.1
|
240,076
|
68.63
|
1,386.59
|
|
D12.7-30-2
|
30.0
|
29.6
|
244,203
|
69.46
|
1,007.73
|
Table 2 Properties of the 15.2 mm prestressing strands
|
Specimen
|
Target corrosion level (%)
|
Measured corrosion level (%)
|
Measured average corrosion level (%)
|
Accumulated current (A・sec)
|
Corrosion area
(mm2)
|
Tensile strength (MPa)
|
|
D15.2-0
|
-
|
-
|
-
|
-
|
138.70
|
1,916.37
|
|
D15.2-2-1
|
2.0
|
2.8
|
2.3
|
22,751
|
134.84
|
1,906.75
|
|
D15.2-2-2
|
2.0
|
1.9
|
22,573
|
136.07
|
1,866.70
|
|
D15.2-4-1
|
4.0
|
3.7
|
3.9
|
46,199
|
133.53
|
1,825.12
|
|
D15.2-4-2
|
4.0
|
4.1
|
45,767
|
133.06
|
1,795.46
|
|
D15.2-6-1
|
6.0
|
6.8
|
5.8
|
66,801
|
129.32
|
1,785.99
|
|
D15.2-6-2
|
6.0
|
4.8
|
63,336
|
132.04
|
1,591.80
|
|
D15.2-8-1
|
8.0
|
5.7
|
5.1
|
103,853
|
130.80
|
1,736.97
|
|
D15.2-8-2
|
8.0
|
4.6
|
101,314
|
132.39
|
1,696.24
|
|
D15.2-10-1
|
10.0
|
10.7
|
10.0
|
112,980
|
123.85
|
1,665.43
|
|
D15.2-10-2
|
10.0
|
9.4
|
113,190
|
125.68
|
1,720.11
|
|
D15.2-12-1
|
12.0
|
11.7
|
11.5
|
130,921
|
122.51
|
1,753.34
|
|
D15.2-12-2
|
12.0
|
11.4
|
133,664
|
122.87
|
1,711.59
|
|
D15.2-14-1
|
14.0
|
14.8
|
14.6
|
158,262
|
118.23
|
1,590.99
|
|
D15.2-14-2
|
14.0
|
14.5
|
156,486
|
118.64
|
1,705.99
|
|
D15.2-16-1
|
16.0
|
16.0
|
14.7
|
176,608
|
116.48
|
1,437.67
|
|
D15.2-16-2
|
16.0
|
13.4
|
173,218
|
120.14
|
1,642.95
|
|
D15.2-18-1
|
18.0
|
15.8
|
15.0
|
217,323
|
116.79
|
1,291.05
|
|
D15.2-18-2
|
18.0
|
14.2
|
211,007
|
119.06
|
1,467.27
|
|
D15.2-20-1
|
20.0
|
19.7
|
19.1
|
227,437
|
111.43
|
1,185.47
|
|
D15.2-20-2
|
20.0
|
18.5
|
219,940
|
113.03
|
1,323.42
|
|
D15.2-22-1
|
22.0
|
15.0
|
16.9
|
255,507
|
117.92
|
1,672.18
|
|
D15.2-22-2
|
22.0
|
18.9
|
244,274
|
112.52
|
1,477.10
|
|
D15.2-24-1
|
24.0
|
11.9
|
15.6
|
137,216
|
122.15
|
1,674.18
|
|
D15.2-24-2
|
24.0
|
19.3
|
228,443
|
112.00
|
1,398.95
|
|
D15.2-26-1
|
26.0
|
19.3
|
18.4
|
305,866
|
111.88
|
1,427.61
|
|
D15.2-26-2
|
26.0
|
17.5
|
305,682
|
114.38
|
1,560.34
|
|
D15.2-28-1
|
28.0
|
23.0
|
23.9
|
245,527
|
106.75
|
1,474.49
|
|
D15.2-28-2
|
28.0
|
24.8
|
301,594
|
104.27
|
943.71
|
|
D15.2-30-1
|
30.0
|
14.7
|
21.3
|
373,225
|
118.33
|
1,617.96
|
|
D15.2-30-2
|
30.0
|
28.0
|
319,941
|
99.89
|
1,013.96
|
3. 부식된 강연선의 인장강도 감소식 제안을 위한 인장시험
3.1 인장 시험
부식된 강연선의 인장강도 감소식 제안을 위한 인장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Fig. 5와 같이 1,000 kN의 UTM(univer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단조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편의 표점거리는 각 강연선의
부식구간 길이인 300 mm로 설정하였으며 인장파단이 발생할 때까지 10 mm/min의 속도로 재하하였다.
부식된 직경별 강연선에 대한 인장강도를 전절의 Tables 1, 2에 함께 나타내었으며 대표적인 인장시험 사례를 Fig. 6에 나타내었다. 강연선은 강선이 다발로 꼬여있는 특성이 있어 인장시험 중 강선이 하나씩 끊어지는 모습을 보였고 7개의 강선 중 약 3개 이상이 끊어지면
급격한 하중저하가 발생하여 인장시험을 종료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부식레벨이 증가하면서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6 Tensile test results of different samples
3.2 인장시험 결과 및 분석
일반적으로 강연선의 부식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공칭 항복강도, 공칭 인장강도, 그리고 공칭 탄성계수가 감소하고, 부식레벨은 강연선의 기계적 특성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El-Joukhadar et al. (2023)은 부식된 철근의 잔류 인장강도를 기존에 수행된 신뢰성 있는 여러 연구자의 자연 기후 환경에서 부식된 시편 및 가속부식된 시편의 실험데이터의 회귀분석에
의해 식 (2)와 같이 제안하였고,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강재 관련 제안 식을 준용하고 철근의 평균 질량 감소율과 선형적인 관계로 이를 대체하여 강연선의 인장강도
감소식을 Fig. 7 및 Table 3과 같이 제안하였다.
여기서, $f_{u,\: res}$는 잔류 인장강도, $f_{u}$는 인장강도, 그리고 $x$는 철근의 평균 질량 감소율이다.
모든 강연선 시편들은 1,000 kN UTM을 통해 단조 인장시험을 수행하였고, 얻어진 하중-변위 곡선과 응력-변형률 곡선을 기본으로 부식된 강연선의
잔류인장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7연선인 강연선의 파단은 KS D 7002(KATS 2019)에서 인장하중의 80 %로 규정함을 근거로 시험 시 취성적인 파괴에 의한 안전을 고려하여 인장강도에서 30 % 저하된 점으로 더 낮게 설정하였고,
모든 강연선 직경에 대하여 부식 손상이 증가하면 잔류인장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모든 시편에 대해 기계적 특성이 감소하고 항복 고원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때 응력 수준은 강연선의 공칭 단면적(공학적 응력)과 부식 열화 후의 단면적(유효 응력)을 모두 고려하여 산정할 수 있고,
두 경우 모두 감소하는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유효 응력으로 산정하였다.
강연선의 기계적 특성의 열화 방정식은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 접근 방식에 따라 정의하였으며 특히 선형회귀와 지수회귀가 유효인장응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7은 직경별로 부식되지 않은 강연선의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부식레벨에 따른 잔류인장강도의 비를 나타낸 것으로 부식레벨이 증가할수록 잔류인장강도 비는 2차
식의 형태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선형회귀 방정식의 계수는 데이터의 선형 형태를 가정하여 선형회귀 모델의 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일반
최소제곱(ordinary least square)법을 통해 산정하였다. 이때 잔차의 제곱의 합은 데이터 집합에 근사한 연속함수를 맞추기 위해 최소화되었으며
종축을 무차원 인장강도, 그리고 횡축을 부식레벨로 나타내었고 잔차의 제곱의 합은 최소화하여 강연선에 대한 잔류인장강도의 감소식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의 성능평가 척도인 결정계수 R2는 강연선의 가속부식 실험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국부부식 등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신뢰성 있는 관련 실험결과(El-Joukhadar et al. 2023)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3에는 부식된 강연선의 잔류인장강도를 부식되지 않은 강연선을 기준으로 정규화하여 직경별, 그리고 이를 통합한 결과로 나타내었다. 이때 x는 부식레벨로
3.2절에서 설명한 El-Joukhadar et al. (2023)이 제안한 식 (2)의 철근의 평균 질량 감소율과 선형적인 관계로 이를 대체하여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는 강연선의 부식레벨과 직경을 실험변수로 강연선 시편의 중요한 기계적 특성인 인장강도의 감소를 분석하였는데 Fig. 7과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강도 감소는 직경과 큰 관련성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12.7 mm와 15.2 mm의 총 64개의 부식된 강연선의 특성을 분석하여 잔류인장강도를 부식되지 않은 강연선의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정규화하여 감소계수
형식으로 Fig. 8에 나타내었다.
Fig. 7 Variation in tensile normalized stress with respect to the corrosion level
Fig. 8 Corrosion level versus normalized stress
Table 3 Tensile strength reduction factor for corroded prestressing strand
|
Item
|
Reduction factor
|
|
Prestressing strand
|
12.7 mm
|
y=-0.00003x2-0.0143x+1
|
|
15.2 mm
|
y=-0.0003x2-0.0085x+1
|
|
Combined results
|
y=1-0.0146x
|
4. 결 론
이 논문에서는 노후화 등 열화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내구성과 구조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강연선의 부식특성과 기계적 특성인 인장강도
감소를 파악하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해서 부식레벨과 직경 크기의 변수로 강연선 시편을 제작하였다. 고안한 가속부식 세팅을 이용하여 부식을 촉진하였으며
강연선은 12.7 mm와 15.2 mm의 직경별로 목표 부식레벨은 0 %~30 %까지 2 % 간격으로 설정하였고, 목표 부식 레벨별 시편 개수는 2개씩
총 64개의 시편의 시험결과를 통해 부식특성과 인장강도 감소를 각각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 연구에서는 Faraday 법칙으로부터 유도된 수학적 방정식과 부식촉진 실험결과를 결합하여 강연선의 사용환경에 적합한 부식 정량화 기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통해 부식레벨과 직경 크기의 실험변수 변화에 따른 강연선의 부식량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는 추후 실물 크기 실험체의 부식 모델링 및 환경 변수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고, 공용기간에 따른 부식량 예측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전체적으로 적산전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식레벨도 함께 증가하며 부식레벨이 클 때 실험값이 이론값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인 경향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araday 법칙에 의한 부식량 평가에서 강연선의 경우 1개의 심선 둘레에 측선 6개를 S연으로 꼬아 만든 7연선으로
부식이 강선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몇 개의 강선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부식된 강연선에서 파괴는 대부분 부식구간에서
발생하였으며, 부식된 부분과 그러하지 않은 부분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중요한 기계적 특성인 인장강도는 부식레벨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부식된 직경별 강연선에 대한 인장강도 감소를 측정하였고, 12.7 mm에서 y=-0.00003x2-0.0143x+1, 15.2 mm에서 y=-0.0003x2-0.0085x+1로
부식된 강연선의 인장강도 평가에서 변수로 사용한 강연선 직경별 거동특성은 큰 관련성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4) 부식되지 않은 강연선의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부식레벨에 따른 인장강도의 비는 부식레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고 강연선 직경과 무관한 강도감소비의
제안된 식은 fmax=1–0.0146×Corrosion level (%)이다. 이를 노후화 등 열화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과
내진성능 평가식 등에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추후 연구를 통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실험체로 확장하여 부착된 강연선의 부착특성 등 부식특성과 부식량 및 인장강도 평가, 그리고 실제 환경조건과
촉진조건 사이의 관계 규명을 수행하여 이를 노후화 등 열화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성능평가 등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기본사업(철도 신산업 창출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PK2504B2)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Almusallam, A. A. (2001) Effect of Degree of Corrosion on the Properties of Reinforcing
Steel Bar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5(8), 361-368.

Collins, M. P., and Mitchell, P. (1991)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USA.

Dai, L., Wang, L., Zhang, J., and Zhang, X. (2016) A Global Model for Corrosion-induced
Cracking in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62, 263-275.

Darmawan, M. S., and Stewart, M. G. (2007) Effect of Pitting Corrosion on Capacity
of Prestressing Wires. Magazine Concrete Research 59(2), 131-139.

El-Joukhadar, N., Dameh, F., and Pantazopoulou, S. (2023) Seismic Modelling of Corrod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Engineering Structures 275(A), 115251.

Fricker, S., and Vogel, T. (2006) Site Installation and Testing of a Continuous Acoustic
Monitor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1(3), 501-510.

Jeon, C. H., Lee, J. B., Lon, S., and Shim, C. S. (2019) Equivalent Material Model
of Corroded Prestressing Steel Strand.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and Technology
8(2), 2450-2460.

Jo, S. D., Kwon, S. H., Lee, Y., and Kim, C. Y. (2017) Statistical Analysis on Corrosion
and Estimation of Probability on Fracture for Corroded Strand of a Post-Tensioned
Bridge 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9(6), 545-553. (In Korean)

KATS (2019) Uncoated Stress-Relieved Steel Wires and Strands for Prestressed Concrete
(KS D 7002).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

Kim, T. H. (2024) Analytical Performance Assessment of Deteriorated Prestressed Concrete
Beam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8(1), 175-186.

Lee, S. H., Kim, K. H., and Youn, S. G. (2022) A Study of Impact-Echo Experiments
and Deep Learning Models Applied for Void Investigation within Plastic Duc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4(6), 579-586. (In Korean)

Li, F., Luo, X., and Liu, Z. (2017) Corrosion of Anchorage Head System of Post-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under Chloride Environment. Structural Concrete 18(6),
902-913.

Li, F., Yuan, Y., and Li, C. Q. (2011) Corrosion Propagation of Prestressing Steel
Strands in Concrete Subject to Chloride Attack.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5(10), 3878-3885.

Lignola, G. P., Ludovico, M. D., Prota, A., and Manfredi, G. (2012) FRP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Wiley Encyclopedia of Composites 1-8.

MacDougall, C., and Bartlett, F. M. (2002) Tests of Corroded Unbonded Seven-wire Strands
with Broken Wires. ACI Structural Journal 99(6), 803-810.

Oh, K. S., Moon, J. M., Park, K. T., and Kwon, S. J. (2016) Evaluation of Load Capacity
Reduction in RC Beam with Corroded FRP Hybrid Bar and Ste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2), 10-17. (In Korean)

Ou, Y. C., Susanto, Y. T. T., and Roh, H. (2016) Tensile Behavior of Naturally and
Artificially Corroded Steel Bar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03, 93-104.

Park, S. S., Kwon, S. J., and Jung, S. H. (2012) Analysis Technique for Chloride Penetration
in Cracked Concrete using Equivalent Diffusion and Permea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9, 183-192.

Ramseyer, C., and Kang, T. H. K. (2012) Post-Damage Repair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6(3), 199-207.

Wang, L., Zhang, X., Zhang, Y., Ma, Y., Xiang, Y., and Liu, Y. (2014) Effect of Insufficient
Grouting and Strand Corrosion on Flexural Behavior of PC Beam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53, 213-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