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수료생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Rep. of Korea)
  2.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수료생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Rep. of Korea)
  3.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Rep. of Korea)



성능평가, 유지관리, 도로교량, 사용성능
performance evaluation, management, road bridge, serviceability

1. 서 론

국내 도로교량의 공용연수가 30년 이상인 노후교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MOLIT, 2023)에서 제공한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정보시스템(bridge and tunnel information system, BTI system)의 자료에 의하면 2022년 기준 국내 전체 도로교량의 약 20 %가 준공 후 30년 이상이 경과한 상태이다. 이에 2030년에는 전체 교량 중 51 %가 사용연수 30년 이상인 노후 교량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Park 2023). 노후된 교량에서는 콘크리트 균열과 열화, 철근 및 강재 부식 등으로 인해 성능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노후 도로교량의 급증은 유지관리비용과 안전사고 위험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교량의 성능을 개선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국민 안전과 서비스 품질의 향상이 필요하다.

과거부터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정밀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시설물의 외관 조사를 통한 상태평가와 안전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 등급을 부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설물은 사용성 측면에서 평가받기 어렵다. 그러나 노후 교량에 적용된 설계 및 시공기준이 현재의 기준과 큰 차이가 있으며, 대중의 생활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삶의 질 개선 측면에서 사용성능 평가는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교량의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해 국민이 느끼는 안전 인식도가 급격히 낮아진 상태로 시설물 전반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3년 4월에 발생한 분당 정자교의 교량 측면 보도부 붕괴사고로 인해 2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며 노후 교량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Park 2023).

또한 도로교량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시설이기 때문에 유지관리 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집중호우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국내에서는 집중호우 및 태풍에 대한 시설물 안전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Lim et al. 2021). 잦은 집중호우 발생 및 장기화로 인한 교량붕괴 등 교량월류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2019년 태풍 미탁에 의한 집중호우로 인한 송천교 부분붕괴와 2020년 태풍 마이삭으로 인해 성황교, 부추밭교의 교량 붕괴 및 유실사고가 있다(Fig. 1). 따라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시급성이 증대하고 있다.

2018년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개정되면서, 안전성능, 내구성능, 사용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능평가가 도입되었다. 현행 시설물 성능평가에서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지표는 주로 관리자의 편의성을 고려하므로, 도로교량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 및 기후변화를 반영한 추가적인 사용성능 평가지표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량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평가를 위한 추가적인 사용성능 세부지표를 제안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 최근 개정된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 내용을 검토하고, 미국과 일본의 도로교량 사용성능 평가체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검토 내용을 기반으로 도로교량 노후화의 원인과 도로교량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안감 요인을 고려한 신규 사용성능 평가지표를 제안한다.

Fig. 1 Examples of bridge collapse due to heavy rain and typhoons(Lim et al. 2021)
../../Resources/KCI/JKCI.2023.35.6.665/fig1.png

2. 국내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평가 조사

현행 시설물 성능평가에서 사용성능은 시설물의 예상 수요를 고려하여 공용연수 동안 확보해야 할 사용자 편의성 및 계획 당시의 설계기준에 근거한 사용 목적을 만족하기 위한 구조물의 성능으로 정의된다(MOLIT 2019). 도로교량의 성능평가 내용을 보면, 사용성능은 사용자의 만족도 측면에서 고려한 사용성(serviceability)과 시설물의 기능 유지를 고려한 기능성(functionality)으로 구분 지어 세부 지표가 선정되었다. 사용성 측면에서는 포장 상태, 교량 조명, 진동 사용성을 평가하는 반면에, 기능성 측면에서는 유지관리성과 수요 및 용량의 세부지표로 각각 점검시설과 교통량을 평가한다. Table 1에 사용성능의 평가항목을 정리하였다.

사용성능의 등급을 계산하기 위해 각 세부지표의 평가결과에 가중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해당 가중치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사용자의 만족도를 고려하는 포장 상태, 교량조명, 진동사용성에 60 %, 기능 유지 측면의 점검시설과 교통량에 40 %의 가중치가 부여되어있다.

Table 1 Evaluation items and weighting factors for the serviceability of roadway bridge(MOLIT 2019)

Classifications

Sub-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Weighting factors

Serviceability

Serviceability

Pavement condition

0.247

Lighting condition

0.150

Vibration serviceability

0.202

Functionality

Management

Inspection equipment

0.206

Demand/ Capacity

Traffic volume

0.195

3. 국외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평가 조사

국외 도로교량 시설물의 평가항목 중 사용성능과 관련된 세부지표들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과 일본의 평가체계를 조사하였다.

3.1 미국, FHWA

미국 연방도로청(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은 교량의 유지관리 전략으로 성능 기반의 유지관리 지표를 사용한다. 교량의 구조 및 서비스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Table 2에 있는 항목들의 충족도 점수(sufficient rating, SR)을 계산한다. SR을 계산하기 위한 주요 영향인자 중 사용성 및 기능성(serviceability and functional obsolescence)과 일반 사용자의 편의성(essentiality for public use)이 국내 성능평가 지침의 사용성능과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교량 성능 평가를 통해 구조적인 성능뿐만 아니라 기능성과 사용자 측면의 편의성을 함께 고려하여 향후 확장 및 개축과 관련된 평가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able 2 Summary of sufficiency rating factors(FHWA 1995)

Classifications

Weighting

Description

Serviceability and functional obsolescence

30 % Max.

Lanes on structure

Average daily traffic

Approach roadway width

Structure type

Bridge roadway width

Vertical clearance over deck

Deck condition

Structural evaluation

Deck geometry

Underclearances

Waterway adequacy

Approach road alignment

Essentiality for public use

15 % Max.

Detour length

Average daily traffic

3.2 미국, NCDOT

North Carolina 주 교통국(North Caroli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NCDOT)은 기존 SR 방법을 개선하여 교량의 서비스 수준에 따른 교량의 유지보수 및 보강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모듈(level of service prioritization program, LOSAP)을 개발하였다. 서비스 수준은 Johnston and Zia (1984)에 의해 17,300개의 교량을 조사하면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확립되었다. LOSAP에서는 서비스 수준을 총 4개의 평가항목(내하력, 교폭, 수직 통과높이, 잔존수명)에 근거한 전체결함점수(deficiency point, DP)로 평가한다. 전체결함점수(DP)는 0에서 100 사이의 값이며, 이 값이 0일 경우 문제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각각의 평가항목과 그에 대응하는 가중치 및 세부지표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4개의 평가항목 중 교폭, 수직 통과높이, 잔존수명이 기존 성능평가 지침서의 ‘사용성능’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각 결함점수는 기능적 분류, 사용성 목표 등과 관련된 항목들을 평가한 뒤, 계산식에 적용하여 산정한다. NCDOT의 교량 평가지표는 FHWA와 유사한 평가지표를 가지며, 잔존수명 평가항목이 추가되었다.

Table 3 Major serviceability-related factors of deficiency point (NCDOT) fromJohnston and Zia (1984)

Priority

Weighting

Description

Width priority, WP

12

WG

Width goal (ft)

CDW

Present clear deck width (ft)

ADTO

Average daily traffic of over route

WW

Width weighting

Vertical clearance priority, VP

12

UG

Underclearance goal (ft)

VCLU

Present vertical underclearance (ft)

ADTU

Average daily traffic of under route

OG

Overclearance goal (ft)

VCLO

Present vertical overclearance (ft)

Life priority, LP

6

RL

Estimated remaining life (years)

3.3 일본, JSCE

일본토목학회(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SCE)는 콘크리트, 강재 및 합성구조 도로교량 시설물을 구분하여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요구성능을 각각 제시하였으나, 요구성능별 가중치는 제시하지 않았다(JSCE 2007, 2009). 콘크리트 시설물의 사용성능 평가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구조물의 성능을 고려하였다. 강재 및 합성구조 시설물에 대한 사용성능 평가항목은 시설물의 활용 패턴에 기반하여 차량 주행 성능(vehicle operating performance)과 보행자 편의성(pedestrian comfort)을 고려하였다. [3]JSCE(2007, 2009)에서 제시한 구조물 형식에 따른 사용성능 평가항목은 Table 4Table 5에 나타내었다.

Table 4 Required performance for serviceability of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JSCE 2009)

Classifications

Evaluation items

Vehicle operating performance

Soundness of the road

Road unevenness

Friction coefficient

Stiffness of the road

Deflection

Operating visibility

Forward visibility

Pedestrian comfort

Condition of pavement

Flatness of surface

Slip resistance coefficient

Gradient of surface

Vibration during walking

Velocity

Acceleration

Natural frequencies

Visibility during walking

Forward visibility

Brightness of pavement surface

Brightness differential of steps

Guide blocks and environs

Table 5 Required performance for service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JSCE 2007)

Classifications

Evaluation items

Amenity

Comfort of drivers

Comfort of pedestrians

Performance determined by the function of the structure

Water-tightness

Permeability

Sound proofing

Moisture proofing

Protection from cold or heat

4. 신규 사용성능 평가지표 제안

앞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국외의 도로교량 평가체계에서는 사용성능과 관련된 지표들이 국내 지표에 비해 훨씬 다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의 요구 기능성은 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고속국도 교량은 실제 교통량에 따른 충분한 차선 확보 여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JSCE 2007). 또한 구조물의 과도한 변형 및 외관 손상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사용자를 위한 성능 항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JSCE 2009). 따라서 국내 도로교량 시설물의 사용성능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기 위해 신규 사용성능 평가지표를 제안하는 바이다.

4.1 배수시설

교량 배수시설은 강우 및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교면의 침수를 방지하여 교통 체증이나 교통사고를 방지하여 교량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구조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효율성을 위해 설치된다. 배수 불량으로 인한 누수 및 체수는 교량 노후화의 주원인 중 하나이므로 배수시설의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국지성 호우 빈도가 증가하면서 배수시설의 설계 유량을 초과하는 강우량으로 인해 급작스러운 교면 침수가 발생하여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Lee et al. 2021). 노후 교량의 경우, 건설 당시 설계기준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충분한 통수단면적 확보가 어려워지며,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량 증가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Lee et al. 2021). 또한 설계기준 이하의 강우 시에도 각종 오염물로 인한 배수구 막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Lee et al. 2021). 이렇듯 배수시설이 적절한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Fig. 2와 같이 배수구 오염 및 막힘부 식물 생육 등으로 인해 교량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Lee et al. 2014).

국토교통부는 배수시설을 대상 지역의 강우특성과 유출계수, 도달시간, 배수면적 등을 고려한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설계빈도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로교량 시설물의 평균 강수량 및 교량 단면에서의 유속을 파악하여 배수시설의 설계홍수량과 비교함으로써 교량 배수시설을 사용성능 지표로 추가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Fig. 2 Problems with existing drainage facilities(Lee et al. 2021)
../../Resources/KCI/JKCI.2023.35.6.665/fig2.png

4.2 차선 시인성

도로 위 노면표시는 도로 사용자들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한다. 노면표시 중 차선은 도로 위의 차량들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선형 경로로 유도하고 차량의 주행 동선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우천이나 안개 등으로 인한 기상 악천후 및 야간 시 차선 구분에 어려움이 생긴다면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하는데 시각적인 제약을 줄 수 있다. 시인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으면 주행 안정성 저하와 교통흐름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차대차 사고 또는 주행차선 이탈사고와 같은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Park et al. 2014). Fig. 3은 악천후 시 차선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기능 차선을 설치하기 전후를 나타낸 것이다. 실제로 고기능 차선을 설치하였을 때 41.7 %의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15).

Fig.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로부터 수집한 기상 상태별 교통사고 치사율 자료에 따르면 맑은 날의 평균 치사율보다 강우/강설/안개 등의 기상악화로 인한 평균 치사율이 약 1.3~5.1배 높게 나타났다. 치사율이 높은 악천후 시 교통사고 발생의 다양한 원인 중 시인성 악화로 인한 운전자 시야 확보의 어려움이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다(Park et al. 2021). 이러한 시인성 문제는 주행 차로를 구분하면서 안전 운행을 지원하는 차선 표시 부분에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Lee et al. 2015). 또한 자율주행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의 차선 인식성 향상을 위해 차선의 시인성 개선이 필요해지고 있다(Oh et al. 2017). 이처럼 차선 시인성은 주・야간 또는 기상 여건에 상관없이 도로 사용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주로 차선의 시인성과 관련된 기준은 재귀반사성능을 사용한다(KNPA 2022). 재귀반사성능은 차량의 전조등이 노면표시를 비추었을 때 반사되는 밝기를 측정하여 파악하며 단위는 mcd/m2・lux를 사용한다. KS M 6080(KATS 2022)은 노면 표지 색상(흰색 및 노란색), 노면 상태(건조 및 젖은 상태, 비가 올 때) 및 표면 유형(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에 따라 최소 재귀반사성능 계수를 계산하고 그에 상응하는 등급을 결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유지관리 시 차선의 재귀반사성능을 평가하여 차선의 시인성을 고려한 사용성능 지표를 추가함으로써 도로 사용자들의 안전과 편의성을 개선하고 도로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3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ilot project for application of high-quality and long-life pavement marking materials(Lee et al. 2015)
../../Resources/KCI/JKCI.2023.35.6.665/fig3.png
Fig. 4 Traffic accident fatality rates related to weather conditions between 2018 and 2022
../../Resources/KCI/JKCI.2023.35.6.665/fig4.png

4.3 중차량 비율

중차량은 도로포장과 교량의 수명을 감소시키므로 교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요인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피로 균열이다(Kim et al. 2017). 1994년 발생한 성수대교 붕괴사고는 원인 중 하나는 중차량 통행으로 인해 누적된 피로균열이라는 점에서 중차량 통행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Kim and Yoon 2018).

중차량 통행 시 큰 진동이 발생하여 도로 이용자들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일부 강교의 경우 인근 주민들의 민원 제기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중차량의 차량 운행 능력은 일반적으로 승용차보다 떨어지고 승용차 운전자에게 물리적, 심리적 영향을 끼치므로 중차량이 승용차 교통류에 들어오면 속도가 떨어지고 도로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Fig. 5TAAS (2023)로부터 수집한 최근 5년간 교량 위에서 발생한 승용차와 화물차의 교통사고 치사율을 비교한 것이다. 교통사고 전체 사망자 수는 승용차가 가장 많았으나, 5년간 평균 치사율은 화물차가 4.7 %, 승용차가 3.0 %로 화물차의 평균 치사율이 1.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중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로 이용자들의 심리적 불안감 및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교통사고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중차량 비율을 도로교량의 신규 사용성능 지표로 제안하는 바이다.

Fig. 5 Traffic accident fatality rates of trucks between 2018 and 2022
../../Resources/KCI/JKCI.2023.35.6.665/fig5.png

4.4 교통사고 치사율

교량 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대피와 대응이 어렵고 연결부는 노면 결빙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Fig. 6은 TAAS로부터 수집한 최근 5년간 교량 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치사율을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과 비교한 것이다. 연평균 교통사고 치사율은 교량 위가 3.5로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 1.5보다 약 2.4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많은 지자체에서 고령자운전면허반납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Fig. 7과 같이 도로교통공단(KoRoad)에서 시행한 ‘고령자 교통안전 및 사고 인식 설문조사’(2023)에 따르면 고령운전자가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통사고 위험 및 불안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통사고는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사용자의 안전 및 심리적 증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지표로 교통사고 치사율을 추가한다면 도로교량 사용자의 만족도 및 편의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6 Traffic accident fatality rates at bridges between 2018 and 2022
../../Resources/KCI/JKCI.2023.35.6.665/fig6.png
Fig. 7 Reasons for elderly drivers considering license surrender(KoRoad 2023)
../../Resources/KCI/JKCI.2023.35.6.665/fig7.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평가를 개선하고 교량의 안전, 편의성, 및 성능 개선을 위한 새로운 사용성능 지표를 제안하였다. 현재 국내 도로교량의 노후화 문제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노후 교량으로 인한 안전사고와 유지관리 비용 문제는 국민 안전과 경제적 부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노후 도로교량의 증가와 급격한 기후변화, 국민의 삶의 수준 향상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도로교량 사용성능이 요구되고 있어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평가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국외 도로교량 사용성능 평가지표를 조사하고 도로교량 이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새로운 사용성능 세부지표를 제안함으로써 기존 평가 방법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교량의 배수시설, 차선 시인성, 중차량 비율, 그리고 교통사고 치사율과 같은 측면에서 도로교량의 사용성능을 다양하게 고려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신규 사용성능 평가지표의 적용을 통해 도로교량 사용자들의 안전과 편의성을 개선하고 유지관리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효과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이러한 신규 지표를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평가 과정에서 적용되는 평가체계와 평가기준의 확립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기존 지표와 신규 지표의 가중치 조정과 평가체계 및 평가기준을 강화하고 정교화시킬 필요가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연구비 지원(사업명: 기반시설 첨단관리 기술개발, 사업번호 RS-2022-00142566)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FHWA (1995) Recording and Coding Guide for the Structure Inventory and Appraisal of the Nation’s Bridges (FHWA PD-96-001). Washington, D. C.: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URL
2 
Johnston, D., and Zia, P. (1984) Level-of-Service System for Bridge Evalu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URL
3 
JSCE (2007)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ncrete Structures. JSCE Guidelines for Maintena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s. Tokyo, Japan: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S CE).URL
4 
JSCE (2009) Standard Specifications for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JSCE Guidelines for Maintena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s. Tokyo, Japan: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SCE).URL
5 
KATS (2022) Road Marking Materials (KS M 6080).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6 
Kim, J. H., Kim, S. I., and Kim, K. H. (2017) Estimation of Fatigure Life at Asphalt Concrete Using Adaptive FE Mesh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9(5), 465-470. (In Korean)URL
7 
Kim, S. J., and Yoon, M. O.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 of Bridge Safety Management Through Public-Private Govern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gration 18(1), 145-156. (In Korean)DOI
8 
KNPA (2022) Traffic Road Marking Installation・Maintenance Guidelines. Seoul, Korea: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KNPA). (In Korean)URL
9 
KoRoad (2023) 3 out of 10 Elderly Drivers are considering Returning Their Driver’s Licenses due to Anxiety about Traffic Accidents. [Press release]. https://www.koroad.or.kr/main/board/6/89084/board_view.do Accessed 04 October 2023.URL
10 
Lee, J. H., Choi, S. K., Lee, H. W., Lee, J. H., and Park, Y. C. (2014) Design and Maintenance About the Bridge Drainag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6(4), 26-34. (In Korean)URL
11 
Lee, M. H., Choi, K. C., and Oh, I. S. (2015)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Reduction Performance of High-quality and Long- life Pavement Marking Material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4), 921-99. (In Korean)DOI
12 
Lee, M. S., Kim, J. S., and Yoo, I. G. (2021) Analysis of Interception Capability of the Bridge Linear Drainage System.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9(2), 25-37. (In Korean)DOI
13 
Lim, C. S., Kim, D. J, Hwang, K. R., Shin, B. K., Park, K. S., Oh, H. S., and Lee, S. W. (2021)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for Infrastructure Safety Management Systems against Climate Change. Jinju: Korea Authority of Land & Infrastructure Safety (KALIS), Seoul: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SMI) (In Korean)URL
14 
MOLIT (2019) Guidelines for Maintena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s.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 Korean)URL
15 
MOLIT (2023) Bridge and Tunnel Information System. https://bti.kict.re.kr/ Accessed 19 June 2023.URL
16 
Oh, S. H., Park, J. I., and Yoon, T. K. (2017) A Study on the Smart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Policy to Respond to of the Age of an Autonomous Vehicle. Sejong,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In Korean)URL
17 
Park, J. J., Lee, C. Y., Lee, C. G., and Seo, I. K.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uminescent Lanes of Expresswa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CRI). (In Korean)URL
18 
Park, W. I., Kim, Y. S., Park, K. S., and Lee, S. K. (2021) Visibility Evaluation of Luminescent Lane in case of Adverse Weather at Nightti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12), 859-867. (In Korean)DOI
19 
Park, Y. S. (2023)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of Aging Road Bridges.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http://www.cerik.re.kr/report/highlight/detail/2734. Accessed 29 September 2023. (In Korean)URL
20 
TAAS (2023) https://taas.koroad.or.kr/web/bdm/srs/selectStaticalReportsList.do?menuId=WEB_KMP_IDA_SRS_TAA.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 Accessed 16 October 2023. (In Korean)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