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국세라믹기술원 탄소중립소재센터 연구원 (Researcher, Carbon Neutral Materials Center,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Jinju 52851, Rep. of Korea)
  2. 한국세라믹기술원 탄소중립소재센터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Carbon Neutral Materials Center,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Jinju 52851, Rep. of Korea)
  3. 한국세라믹기술원 탄소중립소재센터 수석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Carbon Neutral Materials Center,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Osong 28160, Rep. of Korea)



탄소섬유 보강근, 기공율, 인장강도, 탄성계수, 미세구조분석
CFRP rebar, porosity, tensile strength, elastic modulus, microstructure analysis

1. 서 론

최근 열악한 환경에 의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18). 일반적으로 철근은 알칼리성 콘크리트(pH>12) 내부에 위치하여 부식 저항성이 발현되나, 환경 조건이 열악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pH가 빠른 속도로 감소하며,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킨다(Monteiro 2006). 특히 교량 바닥판은 단면의 높이가 낮고 그에 따른 피복두께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염해 및 제설제 환경에서 염소이온의 침투로 인한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 부식이 가속화된다. 미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구축된 60만 개의 교량 중 약 10만 개 이상이 심각한 철근 부식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매년 이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 약 70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을 투입한다고 알려져 있다(Erki and Rizkalla 1993).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높은 인장강도, 경량성 및 부식 저항성 등이 우수한 고성능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보강근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폭넓게 적용하는 사례 및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Hawileh et al. 2014; Dong et al. 2021).

철근 대체재로 사용이 가능한 FRP 보강근은 1970년대 후반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겨울철 과도한 제설제가 사용되는 교량 바닥판에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해양 환경 구조물 등 부식 환경에 노출된 구조물을 대상으로도 FRP 보강근을 적용 중이다(Yuan et al. 2020; Lou et al. 2022). FRP 보강근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달라지는데, 주원료로는 다양한 종류의 섬유(유리섬유, 현무암 섬유 및 탄소섬유)가 사용되며, 에폭시 폴리에스티 및 비닐에스터 수지 등이 섬유를 접착시키는 재료로 사용된다. 최근 철근 대체용 FRP 보강근은 주로 유리섬유 보강근이 생산・판매되고 있으며, 유리섬유 보강근 관련 연구도 다수 진행되기도 하였다(Park and Won 2004; Benmokrane et al. 2018).

한편 유리섬유 보강근 대비 우수한 인장강도(유리섬유 보강근 약 1,000 MPa 및 탄소섬유 보강근 약 2,200 MPa) 및 탄성계수(탄소섬유 보강근 약 120 GPa 및 유리섬유 보강근 약 50 GPa)를 갖고 파괴 시 연신율도 소폭 우수하다고 알려진 탄소섬유 보강근도 건설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 중이다(Benmokrane et al. 2000). 하지만, 탄소섬유 보강근의 경우 유리섬유 대비 경제성이 낮아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철근 대비 인장강도는 매우 우수하나 탄성계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진다(Saad and Lengyel 2022). 따라서 탄소섬유 보강근을 건설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경제성 문제를 해결하고, 철근과 비슷한 수준의 탄성계수를 발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더욱이 탄소섬유 보강근의 경우 원료 선정, 배합조건 및 생산공정 최적화 등에 따라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최적 공정 제조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일롯 제조 설비의 공정 조건을 달리하여 탄소섬유 보강근을 제조하였으며, 그에 따른 물리적 특성 및 미세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공정 조건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 특성을 X-ray CT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공정 조건 변경이 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으며, 보강근의 인장강도와 기공 특성 간의 상관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2. 실험 방법

2.1 사용 재료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보강근 제조를 위해 코어용 탄소섬유는 국내 H사의 24K 탄소섬유를, 코어를 감아주는 리브용 유리섬유는 중국 C사의 4,400TEX를 사용하였다. 탄소섬유 접착용 수지는 국내 K사의 비스페놀 F 계열 에폭시 수지와 저점도형 경화제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물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epoxy resin and hardener at 25 °C

Epoxy resin

Hardener

Equivalent weight (g/eq)

160~180

165~175

Density (g/mL)

1.0~1.2

0.8~1.0

Viscosity (cps)

2,000~3,000

107

2.2 탄소섬유 보강근 제조 과정

상기 원료들을 사용한 탄소섬유 보강근 제조를 위해 Fig. 1과 같은 인발성형 방식의 파일롯 설비를 사용하였다. 파일롯 설비는 크게 8단계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소섬유 거치용 보빈 랙, 수지 함침조, 탄소섬유 보강근 성형부, 리브 와인딩 부, 경화부, 냉각부, 인발부 및 절단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2와 같이 탄소섬유 보강근 제조 공정 변수를 설정한 뒤 지름 5 mm의 탄소섬유 보강근을 제조하였다. 실험 변수는 리브 유무 및 경화온도 제어 및 수지 함침부 온도 및 경화시간/온도 제어 등이며, No. 1 탄소섬유 보강근은 리브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 외의 보강근 샘플들은 모두 리브가 존재한다. 또한, 수지 함침부 온도는 30 °C, 45 °C 및 60 °C이며, 경화로는 4구역으로 구성하여 각기 다른 온도를 적용하였으며, 경화로의 최대 온도는 195 °C이다. 탄소섬유 보강근의 경화시간은 파일롯 설비의 후단에 설치된 캐터필러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여 제어하였다.

Fig. 1 The pilot plant process for CFRP rebar fabrication
../../Resources/KCI/JKCI.2023.35.2.207/fig1.png
Table 2 The control conditions of the pilot plant process

No.

Resin bath temp. (°C)

Hardening temp. (°C)

Hardening time

(min.)

Control factor

1 area

2 area

3 area

4 area

1

30

170

175

175

170

5

With, without rib and hardening temp.

2

30

170

175

175

170

5

3

30

190

195

195

190

5

4

45

100

150

150

150

15

Resin bath temp. and

hardening temp./time

5

60

100

150

150

150

15

6

45

100

150

150

150

30

7

45

100

170

170

170

30

Note: Sample No.1 has no ribs, while the other samples have ribs

2.3 탄소섬유 보강근 특성 실험

다양한 조건으로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를 ASTM D 7205(2016)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제조 공정별로 세 개의 샘플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한 뒤 평균값을 결과로 사용하였다.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 측정에 사용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총 길이는 1,280 mm이며, 양끝단에는 500 mm의 그립을 에폭시를 이용하여 부착하였으며, 실험을 위한 보강근의 실제 노출 길이는 280 mm이었다.

탄소섬유 보강근의 미세구조 관찰 및 기공률 등을 분석하기 위해 G사의 X-ray CT와 O사의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였다. X-ray CT 분석에는 50 mm 길이의 샘플이 사용되었으며, 실험 조건은 촬영 전압 120 kV, 전류 100 A, 복셀 크기(voxel size)는 3 µm로 설정하였다. 복셀 크기는 부피를 나타내는 픽셀로 3차원 영상 신호의 최소 단위를 의미하는데 설정 변 길이의 2배 크기부터 측정이 가능하며 기공을 구형으로 가정할 경우 113 µm$^{3}$ 이상부터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작된 탄소섬유 보강근 샘플에 대해 종방향, 횡방향 단층 촬영을 전체 부피에 걸쳐 수행한 후 이를 정합하여 3차원 정보로 나타낸 뒤 샘플의 기공률을 산정하였다. 광학현미경의 경우 25 mm 길이의 탄소섬유 보강근 샘플의 단면을 다양한 배율(400 µm, 200 µm, 50 µm)로 측정한 뒤 Fig. 2와 같이 DS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촬영 이미지를 변환한 뒤 기공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 공정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근의 인장강도와 기공률 간의 상관관계를 OriginPro 8.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Fig. 2 Pore analysis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DSX program
../../Resources/KCI/JKCI.2023.35.2.207/fig2.png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X-ray CT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탄소섬유 보강근 미세구조 분석

파일롯 공정 조건 변화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미세구조 분석을 X-ray CT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3Fig. 4와 같다. 미세구조 분석은 리브 유무 및 경화 온도가 변수인 No. 1~No. 3 샘플을 대표로 분석하였다. X-ray CT의 경우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종단면 및 횡단면 이미지를 촬영한 뒤 이를 3차원으로 정합한 뒤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모든 탄소섬유 보강근에서 기공이 관찰되었으며, 이 외에도 3차원 구조에서는 리브 접착 부분에서의 기공도 관찰되었다. 리브 접착부분에서 기공이 관찰된 이유는 수지 미코팅 리브가 코어부에 존재하는 수지를 흡착하여 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어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No. 1~No. 3 샘플에 대해 미세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탄소섬유 보강근의 단면을 다양한 배율로 확인한 결과 탄소섬유는 흰색의 원형으로, 경화 수지는 탄소섬유 사이의 회색, 공극은 검은색으로 판단되었다(Ivey et al. 2018). 모든 샘플에서 기공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극의 크기나 그 양은 제조 공정에 따라 상이하였다. 또한, 리브가 있는 샘플의 경우 리브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공극(약 20~200 µm)이 일부 확인되었는데, 이는 리브에 수지가 코팅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성되었다고 판단되었다.

한편, 측정 방법(X-ray CT 및 광학현미경)에 따라 관찰할 수 있는 샘플의 단면, 공극의 크기 및 양 등이 상이하였는데 그 이유는 측정 방법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X-ray CT의 경우 샘플 전체를 종단면 및 횡단면으로 촬영한 뒤 이를 3차원으로 정합하기 때문에 샘플의 전반적인 관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셀 크기에 따라 관측 가능한 공극의 크기가 달라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반면 광학현미경의 경우 샘플의 특정 단면을 2차원으로 촬영한 뒤 그에 따른 공극을 분석하기 때문에 샘플의 특정 부분만 촬영이 가능하며 배율에 따라 분석 가능한 공극의 크기가 달라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탄소섬유 보강근의 미세구조분석 및 공극 분석을 수행할 경우 제조 조건, 탄소섬유 보강근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거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Fig. 3 X-ray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s of CFRP rebar with/without rib along with hardening temperature
../../Resources/KCI/JKCI.2023.35.2.207/fig3.png
Fig. 4 Optical microscope images of CFRP rebar as fabrication condition
../../Resources/KCI/JKCI.2023.35.2.207/fig4.png

3.2 X-ray CT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탄소섬유 보강근 기공률 분석

각각의 파일롯 공정 조건 변화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률을 X-ray CT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기공률 측정 결과 파일롯 공정 조건 변화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률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공정 조건이 탄소섬유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Ivey et al. 2018).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이라도 기공률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른 기공률이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X-ray CT와 광학현미경의 측정 방법, 측정 가능한 기공의 크기, 기공률 산정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인 것 같다.

Table 3 Porosity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measurement method

Sample no.

Porosity results (%)

X-ray CT

Optical microscope

1

2.47

6.89

2

0.90

5.02

3

1.05

6.64

4

3.27

6.51

5

2.49

5.12

6

3.64

5.24

7

3.22

2.88

X-ray CT를 이용하여 측정한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률 차이를 공정 조건 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먼저, 리브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리브가 존재하지 않는 No. 1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률은 2.47 %이었으며, 리브가 조재하는 탄소섬유 보강근(No. 2)에서는 0.90 %이었다. No. 1 샘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공률이 측정된 이유는 리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탄소섬유가 존재하는 코어부를 단단하게 압축할 수 없어 보강근 생성 과정 중 내부 기공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인 것 같다. 이어 수지 함침부 온도에 따른 분석 결과, 수지 함침부 온도를 45 °C(No. 4)에서 60 °C(No. 5)로 증가시킬 경우, 기공률은 3.27 %에서 2.49 %로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지 함침부의 온도가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대 경화 온도가 150 °C(No. 6)에서 170 °C(No. 7)로 증가할 경우 기공률이 3.64 %에서 3.22 %로 소폭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섬유 보강근 제조에 있어 수지의 종류에 따른 점성, 경화시간, 온도 등이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Zaman et al. 2013). 수지 함침부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지의 점성이 낮아져 탄소섬유 보강근의 매트릭스를 더욱 밀실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경화온도 또한 수지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탄소섬유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끼친 것 같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탄소섬유 보강근의 리브 유무 및 제조 조건에 따라 기공률은 변화될 수 있으며, 특히 수지 함침부 온도는 기공률을 변화시킬 수 있는 주요 인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탄소섬유 보강근의 제조 조건별 기공률을 DS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하였으며, X-ray CT와 동일하게 리브가 존재하는 탄소섬유 보강근이 리브가 존재하지 않는 탄소섬유 보강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기공률이 측정되었다. 또한, 수지 함침부 온도 및 경화 온도 변화에 따라서도 기공률 변화가 관측되었으며 X-ray CT 결과와 동일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이라도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할 때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기공률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X-ray CT와 광학현미경이 측정할 수 있는 기공의 크기가 달랐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또한, X-ray CT의 경우 탄소섬유 보강근을 3차원으로 분석하나, 광학현미경의 경우 특정 부분의 단면을 분석하기 때문에 측정 위치에 따라 기공률 값이 일부 달라질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3.3 인장강도 특성

탄소섬유 보강근의 파일롯 제조 조건을 다르게 하여 제작한 탄소섬유 보강근의 인장강도와 탄성계수를 실험 결과를 Table 4와 같이 나타내었으며, 탄소섬유 보강근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 범위는 각각 2,979~3,430 MPa 및 165~195 GPa 이였다.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pilot plant process conditions

No.

Pilot process condition

Tensile strength (MPa)

Elastic modulus (GPa)

1

With, without rib and hardening temp.

3,044

166

2

2,993

165

3

2,979

195

4

Resin bath temp. and

hardening temp./time

3,028

170

5

3,430

172

6

3,400

170

7

3,300

183

리브 유무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No. 1(리브 무) 및 No. 2(리브 유)의 인장강도는 각각 3,044 MPa 및 2,993 MPa로 유사하였으며, 탄성계수도 유사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리브 유무에 따라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You et al. 2015). 수지 함침부 온도를 동일(30 °C)하게 유지하고, 경화로 최대 온도를 175 °C(No. 2)에서 195 °C(No. 3)로 상승시킬 경우, 인장강도는 유사하였으나, 탄성계수는 경화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화로 온도를 동일(150 °C)하게 유지하고 수지 함침부 온도를 45 °C(No. 4)에서 60 °C(No. 5)로 증가시킬 경우, 인장강도가 약 13 % 증가하였으나 비슷한 수준의 탄성계수가 측정되었다. 또한, 경화로 최대 온도가 유사한(No. 2-175 °C, No. 7-170 °C) 경우, 수지 함침부 온도가 30 °C에서 45 °C로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2,993 MPa에서 3,300 MPa로 증가, 탄성계수도 165 MPa에서 183 MPa로 증가하였다. 수지 함침부 온도와 경화로 최대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경화시간을 15분(No. 4)에서 30분(No. 6)으로 증가시킬 경우, 인장강도가 372 MPa 증가하였으며, 이때 인장강도 증가율은 12.3 % 수준이었다. 상기와 같이 파일롯 설비 공정 제어 시험을 통해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는 수지 함침부 온도, 경화 시간 및 경화 온도 등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탄소섬유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은 제조 공정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될 수 있어, 인장강도 등의 극대화 방안 도출은 최적 공정 조건 확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최대 인장강도는 3,430 MPa이었으며, 이때 탄성계수는 172 GPa이었다. 이는 기존 탄소섬유 보강근(일반적으로 인장강도≒2,200 MPa, 탄성계수≒120 GPa)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Zhou et al. 2019),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존 대비 상승률은 인장강도 약 56 %, 탄성계수 약 43 % 수준이었다.

3.4 기공과 인장강도의 상관성

일반적으로 기공은 강도와 반비례 관계이며, 기공률뿐만 아니라 기공 크기에 의해서도 강도는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다(Monteiro 2006). 하지만 탄소섬유 보강근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기공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인장강도와 기공의 상관성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X-ray CT 기공률과 인장강도의 상관성을 도출하기는 매우 어려웠으나, 광학현미경(Origin Pro8.5 프로그램) 기공률과의 상관관계는 일정부분 존재하였다. X-ray CT 기공률과 인장강도 간의 상관관계 도출이 어려운 이유는 Voxel 크기가 10 µm인 X-ray CT 측정법으로는 미세 기공 측정이 매우 어려워, 전체 기공의 영향을 모두 고려해 주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광학현미경 관찰 시에는 10 µm 이하 기공도 측정이 가능하여, 평균적 기공 분포를 관찰 및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학현미경 기공률과 인장강도의 상관성 도출이 좀 더 용이하다고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탄소섬유 보강근 인장강도와 광학현미경 기공률의 상관관계계수는 -0.58이었으며, 상관관계방정식은 아래 식 (1)과 같이 계산되었다. Fig. 5는 기공률(X축)과 인장강도(Y축)의 상관성을 도식화한 것이며, Fig. 5와 같이 기공률과 인장강도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y=-82x+3,\: 612,\: R=-0.58$$x$

여기서, $y$ : 인장강도, $x$ : 기공률

일반적으로 상관관계계수(절대값)가 1.0~0.7은 강한 선형관계, 0.7~0.3은 뚜렷한 선형관계, 0.3~0.1은 약한 선형관계라고 표현되고 있다(Johnson and Bhattacharyya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인장강도와 기공률은 뚜렷한 선형관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제조된 보강근의 인장강도와 탄송계수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기에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샘플의 개수가 다소 적으며, 광학현미경의 경우 특정 단면의 기공률만 확인할 수 있기때문에 추후 연구를 통해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률과 인장강도 간의 상관관계를 추가로 연구할 예정이다.

Fig. 5 Correlation between tensile strength and porosity
../../Resources/KCI/JKCI.2023.35.2.207/fig5.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보강근 제조 공정이 탄소섬유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 변수를 설정하여 탄소섬유 보강근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장강도, 탄성계수 및 기공률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측정된 인장강도와 기공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X-ray CT 및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해 모든 탄소섬유 보강근에서 기공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탄소섬유 사이에서 다수의 기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리브 접착부에서도 기공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수지가 코팅되지 않은 리브가 코어부에 존재하는 수지를 흡착하여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실험 변수에 따른 기공률 분석 결과 수지 함침부 온도 및 경화로 최대 온도 상승에 따라 기공률이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조 공정이 탄소섬유 보강근의 기공률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이여도 측정 방법에 따라 상이한 기공률이 측정되었다. 이는 X-ray CT의 경우 특정 복셀 크기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분석하는 반면, 광학현미경은 시험편의 특정 단면을 2차원으로 분석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4) 다양한 공정을 통해 제조된 탄소섬유 보강근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는 각각 2,979~3,430 MPa 및 165~195 GPa 범위에 존재하였으며, 기존의 탄소섬유 보강근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5)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 실험을 통해 탄소섬유 보강근의 물리적 특성이 수지 함침부 온도, 경화 시간 및 경화 온도에 따라 변하였으므로 특정 물리적 특성을 만족하는 탄소섬유 보강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를 고려한 최적 공정 조건이 확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6) 탄소섬유 보강근 인장강도와 광학현미경 기공률의 상관관계계수가 -0.58이었으며, 인장강도와 기공률은 뚜렷한 선형관계를 나타낸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실험 결과를 확보하여 인장강도와 선형률 간의 선형관계를 추가로 연구할 예정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탄소 고분자 부식 제로 철근대체재 기술개발 사업 연구비 지원(RS- 2021-KA163381)을 통해 수행되었습니다. 연구비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STM D7205/D7205M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Polymer Matrix Composite Bar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2 
Benmokrane, B., Nazair, C., Loranger, M.-A., and Manalo, A. (2018) A Field Durability Study of Vinylester-Based GFRP Rebars in Concrete Bridge Barriers.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2), 04018094.DOI
3 
Benmokrane, B., Zhang, B., and Chennouf, A. (2000) Tensile Properties and Pullout Behaviour of AFRP and CFRP Rods for Grouted Anchor Application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4), 157-170.DOI
4 
Dong, B., Liu, W., Zhang, T., and Bantukul, W. (2021) Corrosion Failure Analysis of Low Alloy Steel and Carbon Steel Rebar in Tropical Marine Atmospheric Environment: Outdoor Exposure and Indoor Test.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129, 105720.DOI
5 
Erki, M. A., and Rizkalla, S. H. (1993) FRP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Concrete International (15), 48-53.URL
6 
Hawileh, R. A., Rasheed, H. A., Abdalla, J. A., and Al-Tamimi, A. K. (2014)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Externally Bonded Hybrid Fiber Reinforced Polymer Systems. Materials and Desing (53), 972-982.DOI
7 
Ivey, M. A., Carey, J. P., and Ayranci, C. (2018)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Braidtruded 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Polymer Composites 39(2), 337-350.DOI
8 
Johnson. R. A., and Bhattacharyya, G. K. (2019) Statistics: Principles and Methods. John Wiley and Sons.URL
9 
Kim, G. T., Kim, S. J., Park, H. K., and Choi, Y. C. (2018) Evaluation of Flexural Bond Performance of Hybrid Concrete Repair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2(6), 176-181. (In Korean)URL
10 
Lou, T., Li, Z., and Pang, M. (2022) Behavior of Externally Prestressed Continuous Beams with FRP/steel Rebars under Symmetrical/Unsymmetrical Loading: Numerical Study.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17.DOI
11 
Monteiro, P., (2006) Concrete: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McGraw-Hill Publishing.URL
12 
Park, C. G., and Won, J. P. (2004) Tensile Behavior and Fracture Properties of Ductile Hybrid FRP Reinforcing Bar for Concrete Reinforc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6(1), 41-51. (In Korean)DOI
13 
Saad, K., and Lengyel, A. (2022) Strengthening Timber Structural Members with CFRP and GFRP: A State-of-the Art Review. Polymers (12), 2381.DOI
14 
You, Y. J., Kim, J. H., Kim, S. J., and Park, Y. H. (2015) Methods to Enhance the Guranteed Tensile Strength of GFRP Rebar to 900 MPa with General Fiber Volume Frac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75, 54-62.DOI
15 
Yuan, H., Hu, W., and Li, Y. (2020)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on Application of FRP for Strengthening of Bridge Structures.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20), 21.DOI
16 
Zaman, A., Gutub, S. A., and Wafa, M. A. (2013) A Review on FRP Composites Applications and Durability Concerns in the Construction Sector.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s and Composites 32(24), 1966-1988.DOI
17 
Zhou, F., Zhang, J., Song, S., Yang, D., and Wang, C. (2019) Effect of Temperature on Materi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Tendons: Experiments and Model Assessment. Materials 12(7), 1025.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