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 of Korea)



비상관 지반운동, 불규칙진동이론, 추계학적 해석, 지진응답해석, 원자력 시설
incoherent seismic waves, random vibration theory, stochastic analysis,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nuclear facility

1. 서 론

원자력 시설의 구조적 파괴는 사람과 주변 환경에 큰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설의 지진 응답에 대해서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ASCE 1999, 2017). 일반적으로 원자력시설에 작용하는 지진지반운동은 수직으로 전파하는 평면 전단파와 압축파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상관 지반운동을 가정하는 것은 보수적인 구조 응답을 초래한다. 특히 관련된 구조물, 계통 및 기기에 대해 유의미하게 보수적인 내진 설계가 고진동수 운동에 대해 도입될 수 있다(ASCE 2017).

그러나 지진지반운동은 수평 방향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비상관성을 가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ASCE 1999, 2017). 지진파가 전파되는 매질의 불규칙적인 이질성과 지반을 가로지르는 지진파의 도달 시간의 차이로 인해 비상관 지반운동이 발생한다. 지진파의 비상관성은 암반 및 토사 부지에 있는 구조물의 지진 응답을 고진동수 영역에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진동수 운동에 대해 보수적일 수 있는 상관 지반운동에 근거한 내진설계가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을 고려할 때 완화될 수 있다.

상관된 지진지반운동의 가정은 보수적인 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에, 지진파의 비상관성에 의한 지진응답의 감소를 지반응답스펙트럼에 대한 감소계수로 추정하기도 하였다 (EPRI 1991, 1994; ASCE 1999). 그러나, 지진파의 비상관성을 고려한 기초운동 및 지진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단순한 감소계수를 적용하는 것은 비상관 지진파의 복잡성으로 인해 원자력 시설의 동적 해석에 허용되지 않고(ASCE 2017), 최근 확률론적 지진 안전성 평가 관련 EPRI 보고서에서는 지진 요구량을 평가하기 위해 단순 감소계수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였다(EPRI 2018). 대신,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해석 시 비상관 지진파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정교한 수치 모델이 권장되고, 전통적인 코드 CLASSI 및 SASSI에서는 비상관 지반운동의 영향을 고려하기도 하였다(EPRI 2007; Johnson et al. 2007).

추계학적 동적 해석은 지진 등에 의한 불규칙 가진이 동적 시스템에 적용될 때 유용하다. 그러므로, 불규칙진동이론(random vibration theory, RVT)에 기반한 확률론적 부지응답해석 기법이 평균 부지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ASCE/SEI 4-16 표준에 규정되어 있다(ASCE 2017). 응답이력(response history, RH)에 기반한 방법론에서는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부합하는 지반운동 시간이력을 사용하여 부지응답을 계산하지만, RVT 방법론에서는 입력지반운동의 파워스펙트럼밀도(power spectral density, PSD) 함수를 사용하여 부지응답의 PSD 함수를 추계학적 동적 해석에 의해 얻고, 그 응답의 평균 및 백분위수 값을 최고값 계수(peak factor)를 사용하여 추정한다. RH 방법론에서는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부합하는 많은 수의 입력지반운동을 구현하고 각 입력지반운동에 대해 응답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계산이 필요하지만, RVT 방법론에서는 입력지반운동의 구현없이 PSD 함수를 사용하여 1회의 계산만으로도 임의 가진으로 인한 부지응답의 통계적 특성을 충분히 결정할 수 있다. Deng and Ostadan (2008, 2011), Rathje and Ozbey(2006), Nguyen and Lee(2021)는 RVT 방법론을 기반으로 확률론적 부지응답해석을 수행했다. 또한, RVT 방법론은 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시스템의 지진응답 계산에도 적용되기도 하였다(Deng and Ostadan 2012; Zenter 2018).

비상관 지반운동은 상관함수에 기반한 PSD 함수에 의해 표현된다(ASCE 2017). 그러므로, 비상관 지반운동에 의한 구조물의 응답은 RVT 방법론에 기반한 추계학적 동적 해석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원자력 시설의 지진응답 해석기법을 RVT 방법론에 기반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비상관 지반운동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RH 방법론을 사용하였고(EPRI 2007; Johnson et al. 2007), RVT 방법론을 사용한 원자력 시설의 지진응답해석은 상관 지반운동에만 국한되어 있었다(Deng and Ostadan 2012; Zenter 2018). 즉,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방법론은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되는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단, 이 연구에서 구조물은 강체 기초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비상관 지반운동의 상관함수를 사용하여 6자유도 강체기초운동의 PSD 행렬을 산정한다. 이로부터 구조물의 임의의 층에 설치되는 기기의 유사가속도에 대한 PSD 함수를 도출하고, 불규칙 진동의 최고값 계수를 사용하여 기기의 스펙트럼 가속도, 즉 구조응답스펙트럼(in-structure response spectrum, ISRS)을 추정하고자 한다. 제안된 추계학적 지진응답 해석기법을 예제 원전 구조물에 적용하여 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할 때의 ISRS를 RH 방법론에 기반한 방법과 비교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한다. 또한,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할 때의 ISRS를 추정하여, 고진동수 영역에서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이 구조물의 ISRS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2. 비상관 지진지반운동을 고려한 추계학적 지진응답해석

강체 기초를 가진 구조물에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경우의 추계학적 해석기법을 정식화한다. $N$개의 관측점에서 비상관 지반운동의 PSD 행렬 $[G_{g}(\omega)]$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a)
$[G_{g}(\omega)]=[G(\omega)]^{1/2}[\gamma(\omega)][G(\omega)]^{1/2}$
(1b)
$[G(\omega)]^{1 / 2}=\left[\begin{array}{llll} \sqrt{G_{11}(\omega)} & & \\ & \sqrt{G_{22}(\omega)} & \\ & \ddots & \\ & & \sqrt{G_{N N}(\omega)} \end{array}\right]$
(1c)
$[\gamma(\omega)]=\begin{bmatrix}1&\gamma_{12}(\omega)&\cdots &\gamma_{1N}(\omega)\\\gamma_{21}(\omega)&1&\cdots &\gamma_{2N}(\omega)\\\vdots &\vdots &\ddot{s}&\vdots \\\gamma_{N1}(\omega)&\gamma_{N2}(\omega)&\cdots &1\end{bmatrix}$

여기서, 행렬 $[G_{g}(\omega)]$의 요소는 $G_{ij}(\omega)=\gamma_{ij}(\omega)\sqrt{G_{ii}(\omega)G_{jj}(\omega)}$이고, $G_{ii}(\omega)$는 $i$번째 관측점의 auto-PSD 함수, $\gamma_{ij}(\omega)$는 $i$번째와 $j$번째 관측점 간의 상관함수이다. 이 연구에서는, ASCE/SEI 4-16 표준의 상관함수를 사용한다(ASCE 2017).

(2a)
$ \begin{align*} \gamma_{ij}(\omega)= &\left[1+\left(\dfrac{\omega\tan h(a_{3}\xi)}{2\pi a_{1}f_{c}(\xi)}\right)^{n_{1}(\xi)}\right]^{-\dfrac{1}{2}}\\ &\times\left[1+\left(\dfrac{\omega\tan h(a_{3}\xi)}{2\pi a_{2}}\right)^{n_{2}}\right]^{-1/2} \end{align*}$
(2b)
$n_{1}(\xi)= 3.80-0.040\ln(\xi +1)+0.0105[\ln(\xi +1)-3.6]^{2}$
(2c)
$f_{c}(\xi)=27.9-4.82\ln(\xi +1)+1.24[\ln(\xi +1)-3.6]^{2}$

여기서, $a_{1}=1.0$, $a_{2}=40$, $a_{3}=0.4$, $n_{2}=16.4$이고, $\xi$는 두 관측점 간의 거리(m)이다.

(1)의 PSD 행렬을 가진 비상관 지진파가 강체 기초에 입사하면, 기초의 6자유도 강체운동에 대해 다음의 PSD 행렬을 갖는 기초운동이 생성된다(EPRI 2007).
(3a)
$[G_{0}^{g}(\omega)]=[F][G_{g}(\omega)][F]^{H}$
(3b)
$[F]=([\alpha]^{T}[\alpha])^{-1}[\alpha]^{T}$

여기서, $[F]$는 비상관 지반운동을 6자유도 기초강체운동과 연관시키는 $(6×3N)$ 크기의 행렬, $[\alpha]$는 6자유도 기초강체운동을 지반운동과 연관시키는 $(3N×6)$ 크기의 행렬이고, 위첨자 $H$는 Hermitian 행렬을 의미한다.

(3)의 PSD 행렬을 가진 강체기초운동에 대한 상부구조물의 응답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4)
$[G_{u}(\omega)]=[H(\omega)][G_{0}^{g}(\omega)][H(\omega)]^{H}$

여기서, $[H(\omega)]$는 6자유도 강체기초운동에 대한 상부구조물 지진응답의 전달함수이다. 기기를 나타내는 단자유도 시스템이 구조물의 임의의 층에 설치될 때, 단자유도 시스템의 유사가속도(pseudo-acceleration)에 대한 PSD 함수는 다음과 같다.

(5a)
$G(\omega)=\omega_{n}^{4}\left | H_{SDF}(\omega)\right |^{2}G_{u}(\omega)$
(5b)
$ \begin{align*} H_{SDF}(\omega ;\omega_{n},\: \xi) & =\dfrac{\omega^{2}}{-\omega^{2}+\omega_{n}^{2}+2i\xi\omega_{n}\omega}\\ & =\dfrac{(\omega /\omega_{n})^{2}}{1-(\omega /\omega_{n})^{2}+2i\xi(\omega /\omega_{n})} \end{align*}$

여기서, $\omega_{n}$과 $\xi$는 각각 단자유도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감쇠비이고, $G_{u}(\omega)$는 식 (4)로부터 얻어지는 해당 층의 동적 응답에 대한 PSD 함수이다.

3. 구조응답스펙트럼을 산정하기 위한 최고값 계수

단자유도 시스템 유사가속도의 최고값은 감쇠비 $\xi$에 대한 해당 진동수 $\omega_{n}$에서의 스펙트럼 가속도 또는 ISRS의 세로 좌표를 제공한다. 유사가속도에 대한 PSD 함수는 식 (5)와 같이 주어지고 이로부터 최고값의 통계적 특성을 최고값 계수로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최고값 계수가 제안되었지만, 이 연구에서는 Gasparini and Vanmarcke(1976)에 의해 제안된 최고값 계수를 사용할 것이다.

임의의 응답에 대한 $p$ 백분위수 응답 $R_{p}$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6)
$R_{p}=\eta_{p}\sigma_{R}$

여기서, $\eta_{p}$는 $p$ 백분위수 응답에 대한 최고값 계수이고 $\sigma_{R}$은 고려하는 응답의 표준편차이다. 최고값 계수 $\eta_{p}$에 대하여 다음의 식이 제안되었다(Gasparini and Vanmarcke 1976; Zenter 2018).

(7a)
$\eta_{p}^{2}=2\ln\left(2n_{p}\left[1-\exp\left(-\delta^{1.2}\sqrt{\pi\ln(2n_{p})}\right)\right]\right)$
(7b)
$n_{p}=\nu_{0}\tau(-\ln p)^{-1}$
(7c)
$\nu_{0}=\dfrac{1}{2\pi}\sqrt{\dfrac{\lambda_{2}}{\lambda_{0}}}$
(7d)
$\delta =\sqrt{1-\dfrac{\lambda_{1}^{2}}{\lambda_{0}\lambda_{2}}}$
(7e)
$\lambda_{n}=\int_{0}^{\infty}\omega^{n}G(\omega)d\omega$

여기서, $\tau$는 고려하는 응답의 등가 정상상태응답 지속시간(equivalent stationary response duration)이다. 표준편차 $\sigma_{R}$은 응답의 PSD 함수 $G(\omeg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8)
$\sigma_{R}=\sqrt{\lambda_{0}}=\int_{0}^{\infty}G(\omega)d\omega$

위의 식 (6)~(8)은 정상상태응답에 관한 식을 과도응답(transient response)을 고려하여 도출한 근사식이다. 지진응답에 대해 이 식들을 적용할 때는, $\tau$의 정의에 대해 주의를 요한다. Zenter (2018)에서는 운동의 누적에너지가 총에너지의 5 %에서 95 %에 이르는 시간을 사용하였지만, ASCE(2017)에서는 75 %에 이르는 시간을 제안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ASCE (2017)의 정의를 사용할 것이다.

(5)에 주어진 단자유도 시스템 유사가속도의 PSD 함수에 대응하는 최고값 계수 $\eta_{p}$와 표준편차 $\sigma_{R}$을 각각 식 (7)(8)로부터 얻을 수 있고, 식 (6)을 사용하여 유사가속도의 최고값 또는 스펙트럼 가속도, 즉 대상 구조물의 ISRS를 얻을 수 있다.

4. 적용 예제

이 연구에서는 비상관 지진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원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RVT 방법론에 근거하여 산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원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RH 방법론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하고, 제안된 해석기법을 사용하여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원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계산한다.

Fig. 1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 and internal buildings subjected to incoherent seismic waves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1.png

Fig. 1은 대상 원전 구조물을 나타낸다. 구조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3.368 GPa, 포아송비는 0.2778, 감쇠비는 4 %로 가정한다. 감쇠는 복소수 강성을 사용하여 고려한다. 격납건물과 내부구조물은 빔-스틱 모델을 사용하여 모델링하는데, 각 절점에 집중된 질량과 요소의 단면 계수는 Lee et al. (2016)에 주어져 있다. 해당 구조물은 반지름 20 m의 강체 원형 기초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은 무시한다. 구조해석으로부터 얻은 격납건물과 내부구조물의 고유진동수는 각각 5.26 Hz와 11.95 Hz이다. 입력지반운동으로는 대한전기협회 전력산업기술기준 STB 2.3.2.1에 규정된 PSD 함수(Fig. 2)에 부합하는 지반운동을 사용한다(KEA 2020).

Fig. 2 Power spectral density function for input ground motions (blue: target, red: mean of simulations)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2.png

4.1 상관 지반운동에 대한 ISRS

3장에서 제안한 RVT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원전 구조물의 ISRS를 산정한 후 이를 RH 방법론의 결과와 비교한다.

RH 방법론에서는 입력지반운동의 시간이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공지진 생성 프로그램 SIMQKE(Gasparini and Vanmarcke 1976)를 사용하여 Fig. 2의 목표 PSD 함수에 부합하는 인공지진 가속도시간이력을 30개 생성하였다. 인공지진 생성을 위해 상승시간 2초, 강진지속시간 $\tau$ 13초, 감소시간 9초의 포락함수를 사용하였다(ASCE 1999). Fig. 2는 생성된 인공지진의 PSD 함수도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목표 함수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생성된 지반운동을 사용하여 대상 구조물의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한후, 내부구조물과 격납건물 최상단에서의 ISRS를 산정하였다. Fig. 3은 산정된 30개의 ISRS와 평균 및 평균±표준편차의 ISRS를 보여주고 있다.

Fig. 3 ISRS from the RH methodology: coherent motion (upper dashed: NEP 84.1 %, solid: NEP 50 %, lower dashed: NEP 15.9 %)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3.png

Fig. 2의 목표 PSD 함수를 사용하여 2장과 3장의 RVT 방법론을 적용하고 ISRS를 산정하였다. 단, 상관 지반운동을 고려하기 때문에 모든 관측점에 대해 $\gamma_{ij}(\omega)=1$이다.

Fig. 4는 RVT 방법론에 의해 산정된 ISRS를 Fig. 3의 RH 방법론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RVT 방법론의 결과는 50 % 및 84.1 %, 15.9 % 비초과확률(nonexceedance probability, NEP)의 ISRS이다. RVT 방법론은 RH 방법론과 유사한 결과를 산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 연구에서 제안한 RVT 방법론을 사용하여 지진지반운동이 작용하는 구조물의 ISRS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 특히, RH 방법론은 충분한 수의 인공지진을 생성하고 동해석을 수행해야 하지만, RVT 방법론은 단 1회의 계산만으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지진응답해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Fig. 4 ISRS from the RH and RVT methodologis: coherent motion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4.png

4.2 비상관 지반운동에 대한 ISRS

3장에서 제안한 최고값 계수를 이용한 RVT 방법론을 이용하여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원전 구조물의 ISRS를 산정하고, 비상관 지반운동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비상관 지반운동의 상관함수는 ASCE/SEI 4-16 표준에 주어진 식 (2)의 상관함수를 사용한다(ASCE 2017). 3장의 최고값 계수를 사용하여 스펙트럼 가속도 또는 ISRS를 산정하기 위해 $\tau$는 13초로 가정한다.

RVT 방법론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4.1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H 방법론을 사용하여 대상 구조물의 ISRS를 계산하였다. Fig. 5는 30개의 비상관 인공지진 지반운동에 대한 ISRS를 보여주고 있고, Fig. 6은 RH 방법론에 의해 산정된 ISRS를 RVT 방법론에 의해 산정된 ISRS와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비상관 지반운동에 대해서도 두가지 방법론은 유사한 결과를 산출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ISRS from the RH methodology: incoherent motion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5.png

Fig. 7은 상관 지반운동과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할 때 RVT 방법론을 사용하여 산정한 ISRS를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식 (2)의 상관함수는 가진진동수 $\omega$와 두 관측점 간의 거리 $\xi$가 증가할수록 그 값이 감소한다. 즉, 고진동수 성분의 운동에 대해서는 비상관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고진동수 성분의 응답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Fig. 7에서 관찰할 수 있다. 기본진동수가 11.96 Hz인 내부구조물의 ISRS는 기본진동수 근방과 그 이상에서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에 의해서 감소하게 되지만, 기본진동수가 5.31 Hz인 격납건물의 ISRS는 거의 변화가 없다. 하지만, 격납건물의 ISRS도 2차 진동수 근방에서는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Fig. 8은 이러한 감소를 정량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비상관 지반운동에 의한 응답의 감소가 10 Hz 이상의 고진동수 영역에서 분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는 30개의 합성지반운동 중 하나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초입력운동과 내부구조물 및 격납건물의 가속도 응답의 시간이력을 보여주고 있다. Fig. 9의 시간이력에서도 비상관 지반운동에 의해 구조물의 지진응답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Fig. 6 ISRS from the RH and RVT methodologies: incoherent motion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6.png
Fig. 7 ISRS from the RVT methodology: coherent and incoherent motions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7.png
Fig. 8 Response reduction due to the incoherent motion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8.png
Fig. 9 Acceleration from the RH methodology
../../Resources/KCI/JKCI.2022.34.3.275/fig9.png

일반적으로 상관 지반운동을 가정하는 것은 비상관 지반운동을 가정하는 경우보다 고진동수 운동에 대해 보수적인 지진응답을 산출하고, 이는 관련된 구조물, 계통 및 기기에 대해 보수적인 내진 설계를 초래하게 된다(ASCE 2017). 하지만, 이 적용 예제에서 확인하였듯이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은 고진동수 성분의 지진응답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고려하면 고진동수 운동에 대해 보수적일 수 있는 내진설계가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RVT 방법론에 기반한 추계학적 해석기법의 장점은 RH 방법론보다 적은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비상관 지반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관함수의 고유모드를 사용하여 지반의 각 관측점 별로 비상관 지반운동을 다수 생성해야 한다(EPRI 2007). 하지만, 2장의 추계학적 해석기법에서는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으로 인한 기초입력운동 PSD 함수의 변화만 고려하여 1회의 계산만 수행하면 된다. 즉, 다수의 비상관 지반운동 생성이 필요한 RH 방법론과 비교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한 RVT 방법론을 사용하면 계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하는 강체 기초를 가진 원자력 시설의 지진응답 해석기법을 RVT 방법론에 기반하여 제안하였다. 비상관 지반운동의 상관함수를 사용하여 6자유도 강체기초운동의 PSD 행렬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구조물의 임의의 층에 설치되는 기기의 유사가속도에 대한 PSD 함수를 도출하였다. 불규칙 진동의 최고값 계수를 사용하여 기기의 스펙트럼 가속도, 즉 ISRS를 추정하였다. 제안된 RVT 방법론을 예제 원전 구조물에 적용하여 상관 및 비상관 지반운동이 작용할 때의 ISRS를 산정하고, 이를 RH 방법론에 기반한 방법과 비교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고진동수 영역에서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이 구조물의 ISRS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기법을 활용하면, 상관 지반운동으로 인한 고진동수 영역의 보수적인 내진 설계를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을 영향을 고려하여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RH 방법론은 다수의 비상관 지반운동의 생성이 필요하지만, 이 연구에서 제안한 RVT 방법론에 기반한 해석기법은 지반운동의 비상관성으로 인한 기초입력운동 PSD 함수의 변화만 고려하여 1회의 계산만 수행하면 되므로, 계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그 활용성이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No. 20201510100020).

References

1 
ASCE , 1999, Seismic Analysis of Safety-Related Nuclear Structures (ASCE 4-98), Rest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Google Search
2 
ASCE , 2017, Seismic Analysis of Safety-Related Nuclear Structures (ASCE/SEI 4-16), Rest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Google Search
3 
Deng N., Ostadan F., 2008, Random Vibration Theory Based Seismic Site Response Analysis, 14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Beijing, China., Vol. beijing, No. chinaURL
4 
Deng N., Ostadan F., 2011, Probabilistic Seismic Site Response Analysis,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Santiago, Chile.Google Search
5 
Deng N., Ostadan F., 2012, Random Vibration Theory- Based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15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Lisbon, Portugal.URL
6 
EPRI , 1991, A Methodology for Assessment of Nuclear Power Plant Seismic Margin (Revision 1) (NP-6041-SLR1), Californi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Google Search
7 
EPRI , 1994, Methodology for Developing Seismic Fragilities (TR-103959), Californi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Google Search
8 
EPRI , 2007, Program on Technology Innovation: Validation of CLASSI and SASSI Codes to Treat Seismic Wave Incoherence in Soil-Structure Interaction (SSI) Analysis of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s (1015111), Californi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Google Search
9 
EPRI , 2018, Seismic Fragility and Seismic Margin Guidance for Seismic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s (3002012994), Californi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Google Search
10 
Gasparini D. A., Vanmarcke E. H., 1976, Simulated Earthqauke Motions Compatible with Prescribed Response Spectra, Massachuset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76-4.Google Search
11 
Johnson J. J., Short S. A., Hardy G. S., 2007, Modeling Seismic Incoherence Effects on NPP Structures: Unifying CLASSI and SASSI Approaches,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ructural Mechanics in Reactor Technology. Toronto, Canada.URL
12 
KEA , 2020,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STB Seismic Analysis and Seismic Capacity Evaluation for Nuclear Facilities. Korea Electric Association (KEA).Google Search
13 
Lee J. H., Kim J. H., Kim J. K., 2016, Perfectly Matched Discrete Layers for Three-Dimensional Nonlinear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Computers and Structures, Vol. 165, pp. 34-47DOI
14 
Nguyen V. H., Lee J. H., 2021, Probabilistic Site Response Analysis for Nuclear Facilities Considering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and its Effects on Uniform Hazard Response Spectra and Ground Motion Response Spectra,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150, pp. 106953DOI
15 
Rathje E., Ozbey M. C., 2006, Site-Specific Validation of Random Vibration Theory-Based Seismic Site Response Analysi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2, pp. 911-922DOI
16 
Zentner I., 2018, Use of RVT for Computation for In-Structure Response Spectra and Peak Responses and Comparison to Time History and Response Spectrum Analysis, Earthquake Spectra, Vol. 34, pp. 1913-193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