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School of Agricultural Civil and Bio-Industri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Rep. of Korea)
  2.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Agricultural Civil and Bio-Industri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Rep. of Korea)



강섬유보강콘크리트, 초고강성능콘크리트, 이방향 RC슬래브, 낙하추 충격 실험, 소산에너지
SFRC, UHPC, two-way slab, drop-weight impact test, energy dissipating capacity

1. 서 론

최근 RC 구조물의 충격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Wu et al. 2015; Kim et al. 2016; Park and Kim 2017; Naraganti et al. 2019; Yoo and Banthia 2019; Vivas et al. 2020; Jemimah Carmichael and Prince Arulraj 2021; Youm and Hong 2021). 많은 연구들이 강섬유 혼입으로 인해 향상된 충격저항성능을 관측하기 위해 RC 보를 대상으로 충격실험을 수행하였다.

Yoo et al. (2015)는 100 mm×100 mm×400 mm RC 보에 대한 낙하추 충격 실험을 수행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강섬유 혼입률이 RC 보의 충격저항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압축강도(49, 90, 180 MPa)와 강섬유 혼입률(0, 0.5, 1.0, 2.0 vol%)을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강섬유 혼입률의 증가가 RC 보의 충격저항성능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Kim et al. (2014)은 강섬유(0~2 vol%)를 혼입한 3가지의 두께(30, 50, 70 mm)를 가진 콘크리트패널(200 mm×200 mm×70 mm)을 제작하여 구형의 강체를 활용한 충격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해당 연구에서 RC 패널의 가장 효율적인 강섬유 혼입률이 1 %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Lee et al. (2018)는 125 mm×250 mm×2,438 mm RC 보에 대해 낙하추 충격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강섬유를 혼입한 RC 보가 연성거동, 전단에너지, 에너지 흡수능력, 최대 및 잔류 처짐 감소 측면에서 향상된 충격 저항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극한 하중을 받는 RC 구조의 설계 시에는 스터럽과 강섬유를 같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였다.

상기의 선행 연구들을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RC 부재에 대한 충격 실험 연구는 다양한 실험적 한계로 인해 대부분 보 부재를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충격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경우, 벽체나 슬래브와 같은 면부재에 충격하중이 가해질 확률이 높다. 또한 보는 슬래브에서 나타나는 punching shear와 같은 전단파괴양상을 관측할 수 없다(Theodorakopoulos and Swamy 2002; Hrynyk and Vecchio 2014). 따라서 충격하중을 받는 다양한 RC 구조부재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RC 슬래브에 대한 충격실험 또한 수행될 필요가 있다.

Tuğrul Erdem(2021)은 두께 60 mm의 이방향 RC 슬래브를 제작하여 낙하추 충격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험체의 치수가 커질수록 충격하중과 변위 측면에서 충격저항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해석적으로 도출하였다. Said and Mabrook Mouwainea(2022)는 1,800 mm×1,800 mm×100 mm의 RC 슬래브를 제작하여 낙하추 충격 실험을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콘크리트 압축강도(30, 40, 50 MPa)와 주철근비(0.58, 0.8, 1.0)를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주철근비의 증가가 충격저항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Xiao et al. (2017)은 1,200 mm×1,200 mm×150 mm의 RC 슬래브를 제작하여 낙하추 충격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변수로는 콘크리트 압축강도(25, 35, 45 MPa), 주철근비(0.21~0.66), 슬래브의 두께(100, 150 mm)와 낙하추의 직경(50, 100, 200 mm)가 고려되었다. 실험을 통해 콘크리트 압축강도, 낙하추의 직경, 슬래브 두께의 증가가 RC 슬래브의 에너지 소산능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시험체에 강섬유를 혼입하지 않았으며 실험적 어려움으로 인해 반력하중을 측정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에 사용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유사하여 더 큰 콘크리트 압축강도에서의 결과를 알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더 큰 압축강도와 강섬유의 혼입이 RC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철근이 배근된 이방향 RC 슬래브를 제작하여 강섬유의 혼입률과 압축강도변수가 충격저항성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낙하추 충격 실험을 수행하였다.

2. 재료특성 및 실험 방법

2.1 실험변수 및 배합비

본 실험은 슬래브의 콘크리트 강도변수와 강섬유 혼입률을 변수로 고려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의 강도 변수는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라 보통콘크리트(normal concrete, NC)와 초고성능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로 나뉘어지며 보통콘크리트(NC)의 경우 25 MPa, 45 MPa, 60 MPa을 사용하였고 초고성능콘크리트(UHPC)는 100 MPa, 140 MPa, 180 MPa을 사용하였다. 보통콘크리트에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되었으며 굵은 골재 치수는 13 mm이고 잔골재는 세척사를 사용하였다. 초고성능콘크리트는 굵은 골재를 혼입하지 않은 시멘트 복합체이다. 일반콘크리트와 초고성능콘크리트의 섬유보강에는 각각 후크형과 직선형 강섬유가 사용되었으며 변수별로 콘크리트 체적의 0.0 %와 2.0 %를 혼입하였다. 강섬유의 재료특성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실험 변수에 대한 표기는 콘크리트 종류, 콘크리트 강도, 강섬유 혼입률 순으로 나타내었다. 콘크리트의 종류는 보통콘크리트와 초고성능콘크리트를 각각 N(25, 45, 60 MPa)과 U(100, 140, 180 MPa)로 구분하였고 강섬유의 혼입률은 F0, F2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강섬유가 2.0 vol.% 혼입된 45 MPa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N45-F2와 같이 표기하였다. 본 실험적 연구에서는 총 11개의 슬래브를 제작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 변수를 분석의 목적에 따라 Series 1~3으로 구분하였다. Series 1은 강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변수로 고려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증가가 RC 슬래브의 충격저항 성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Series 2에서는 보통콘크리트와 초고성능콘크리트의 강섬유 혼입 여부를 변수로 하여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라 강섬유의 혼입이 RC 슬래브의 충격저항 성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 하였다. Seires 3은 강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변수로 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섬유의 혼입이 RC 슬래브의 충격저항 성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배합표는 Series 별로 Table 2~4에 나타내었다.

Table 1 Properties of steel fiber

Type

Length

(mm)

Diameter

(mm)

Aspect ratio

(d/L)

Density

(g/㎤)

Tensile strength

(MPa)

Elastic modulus

(GPa)

Steel fiber

(straight)

19.5

0.20

95

7.8

2,500

200

Steel fiber

(hook)

35.0

0.55

65

7.85

1,196

200

Note: d: diameter of fiber; L: length of fiber
Table 2 Mix proportion of series 1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w/o fibers)

Variables

W/B

(%)

Steel

fiber

(%)

Unit weighty (kg/㎥)

W

C

G

S

SF

U180-F0

13.4

0.0

164.0

788.5

0.0

867.4

197.1

N60-F0

35.9

0.0

163.0

454.0

992.0

707.0

0.0

N25-F0

50.0

0.0

180.0

360.0

938.0

798.0

0.0

Note: SF: silica fume
Table 3 Mix proportion of series 2 (fiber proportion)

Variables

W/B

(%)

Steel

fiber

(%)

Unit weighty (kg/㎥)

W

C

G

S

SF

U180-F2

13.4

2.0

164.0

788.5

0.0

867.4

197.1

U180-F0

13.4

0.0

164.0

788.5

0.0

867.4

197.1

N60-F2

35.9

2.0

163.0

454.0

992.0

707.0

0.0

N60-F0

35.9

0.0

163.0

454.0

992.0

707.0

0.0

Note: SF: silica fume
Table 4 Mix proportion of series 3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w/ fibers)

Variables

W/B

(%)

Steel

fiber

(%)

Unit weighty (kg/㎥)

W

C

G

S

SF

U180-F2

13.4

2.0

164.0

788.5

0.0

867.4

197.1

U140-F2

22.5

2.0

231.0

734.9

0.0

808.4

73.5

U100-F2

29.1

2.0

262.8

694.0

0.0

832.9

69.4

N60-F2

35.9

2.0

163.0

454.0

992.0

707.0

0.0

N45-F2

45.0

2.0

163.0

362.0

962.0

854.0

0.0

Note: SF: silica fume

2.2 실험 부재 상세

본 실험에서 이방향 RC 슬래브의 규격은 KDS 14 20(MOLIT 2021)에 따라 1,600 mm×1,600 mm×105 mm로 제작되었다. 슬래브에 배근된 철근은 공칭지름 9.53 mm의 D10 철근이 사용되었고 배근 간격은 240 mm로 하였다. 실험에서 낙하추의 충격하중이 가해져 가장 많은 변형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슬래브의 중앙부에 총 4개의 철근게이지를 부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이방향 RC 슬래브의 상세는 Fig. 1과 같다.

Fig. 1 Specimen detail for impact resistance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1.png

2.3 재료 특성 평가 실험

낙하추 충격 실험(drop-weight impact test)에 앞서 재료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압축강도실험과 휨강도실험을 수행하였다. KS F 2405(KATS 2017) 및 KS F 2566(KATS 2019) 규정에 따라 압축공시체와 휨공시체를 $\Phi$100 mm×200 mm, 100 mm× 100 mm×400 mm 크기로 제작하여 상온에서 기중 양생하였다. 단, 초고성능콘크리트 공시체는 강도 발현을 위해 90 °C에서 72시간 증기양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재료 특성 평가 실험은 공시체 재령 28일에 최대용량 2,500 kN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시험체 3개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Fig. 2에 나타내었다.

Fig. 2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2.png

2.4 낙하추 충격 실험(Drop-weight impact test)

Fig. 34에 나타난 낙하추 충격 실험 장치를 활용하여 RC 슬래브의 충격 저항 성능을 평가하였다. 동일한 충격하중에서 보이는 시험체간의 구조 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단계별로 충격에너지를 점진적으로 높여가며 반복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는 500 kg의 낙하추를 사용하였으며 단계에 따른 낙하 높이와 충격 에너지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첫 번째 낙하 높이는 500 mm이며 낙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250 mm씩 단계적으로 증가시켰다. 최대 낙하 높이 2,000 mm에 도달한 이후부터는 낙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실험을 반복하였다. 각 실험의 종료 시점은 실험체에 심각한 국부손상이 발생하였을 때와 실험체가 최종 파괴되어 반력하중이 급격히 감소할 때로 결정하였다. 슬래브의 국부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 shear plug의 크기 및 균열 폭을 단계별로 측정하여 슬래브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동적 충격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Fig. 3에 나타난 동적 데이터 로거(DEWE- oft), 로드셀, 레이져 변위계, 포텐소미터를 사용하여 충격하중, 중앙부 변위, 지점 반력 하중을 측정하였다.

Fig. 3 Test instrumentation for impact resistance evaluation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3.png
Fig. 4 Detail of impact resistance estimation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4.png
Table 5 Impact height and energy

Blow No.

1

2

3

4

5

6

7~11

Height

(mm)

500

750

1,000

1,250

1,500

1,750

2,000

$E_{p}$

(kJ)

2.45

3.68

4.91

6.13

7.36

8.58

9.81

Note: $E_{p}$ : impact energy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재료 특성 평가

RC 슬래브 시험체에 사용된 배합변수별 재료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모든 배합변수는 목표 압축강도를 만족하며 강섬유의 혼입에 따라 압축강도가 미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N60-F0과 N180-F0은 휨강도가 8.18 MPa, 15.57 MPa로 나타난 반면 강섬유를 2 vol% 혼입한 N60-F2와 U180-F2는 휨강도가 각각 18.06 MPa, 47.16 MPa로 약 121 %, 203 % 증가하였다. U180 시험체에서 강섬유 혼입에 따른 휨강도의 증가가 N60에 비해 크게 나타난 것은 섬유 종류 및 형상비의 차이와 강섬유와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강도에 의한 영향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3.2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이방향 RC슬래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른 충격 저항 성능 평가(Series 1)

3.2.1 파괴양상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이방향 RC 슬래브의 충격저항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N25-F0, N60-F0, U180-F0 시험체에 대한 낙하추 충격실험을 수행하였다. 충격하중을 받은 모든 시험체는 최종적으로 뚫림 전단파괴가 발생하였다. 시험체의 최종 파괴양상은 Fig. 56을 통해 나타내었다.

Fig. 5 Failure modes of specimens (series 1)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5.png
Fig. 6 Damaged rear surface of N25-F0 (blow No. 1)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6.png

모든 시험체에서 뚫림 전단파괴가 발생한 원인은 Fig. 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낙하추 텁(tub)의 형상이 구형으로 제작되어 짧은 시간동안 큰 충격하중이 집중되어 시험처에 가해졌기 때문이다(Sevkat et al. 2013; Xiao et al. 2017). 가해진 충격파의 전달 속도가 균열의 진전 속도보다 빠를 때 콘크리트 시험체에는 균열의 경사 각도가 큰 원뿔 형태의 전단 균열인 shear plug가 발생하게 된다(Dinic and Perry 1990; Yankelevsky 1997).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더 작은 N25-F0에서 더 확연한 shear plug가 확인된 반면 중앙부 방사형 균열은 다른 시험체에 비해 적게 발생하였다. Fig. 5(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압축강도가 큰 N60-F0과 U180-F0에서도 shear plug의 형성과 함께 최종적으로는 뚫림 전단 파괴가 발생하였으나 N25-F0과 비교하여 더 많은 방사형 균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시험체에서 뚫림 전단 파괴가 발생하였지만 배근된 철근의 파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시험체 중앙부 콘크리트의 심각한 국부손상이 발생한 후에도 철근을 통해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Test instrumentation and data acquisition system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7.png

3.2.2 균열폭

N25-F0, N60-F0, U180-F0 시험체에서 발생한 균열은 약 0.5 mm의 유사한 최대 균열폭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시험체에서 국부적인 shear plug가 지배적인 파괴 메커니즘으로 작용하여 유사한 균열을 발생시켰기 때문이다. 시험체의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슬래브 중심으로부터 더 많은 방사형 균열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별 타격 횟수에 따른 균열폭은 Table 6에 나타내었다.

Table 6 Maximum crack width by blow number

Blow No.

25 MPa

60 MPa

180 MPa

1.

0.6 mm

0.5 mm

0.5 mm

2.

Punching shear failure

Punching shear failure

Punching shear failure

3.2.3 충격 하중 및 최대 반력 하중

충돌의 종류는 충돌체의 특성에 따라 연성 충돌과 강성 충돌로 나뉘어진다. 연성 충돌은 강도와 강성이 작은 물체가 충돌하였을 때 물체의 충격면에서 충격에 의한 변형 에너지의 방출이 발생하고 물체의 재료 손상이 동반되어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강성 충돌은 강도와 강성이 큰 물체가 충돌하였을 때 물체의 충격면에서 충격에 의한 변형 에너지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으며 재료의 손상에 의한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발생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Rigueiro et al. 2017; Prabowo et al. 2018). 서로 다른 시험체에 동일한 에너지의 충격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시험체의 강도 및 강성에 따라 충돌의 종류가 달라져 서로 다른 충격 하중(impact force)과 최대 반력 하중(reaction force)이 나타날 수 있다. N25-F0, N60-F0, U180-F0 시험체는 동일한 에너지의 충격하중(impact force)이 가해졌으나 측정된 최대 충격하중은 각각 263.89 kN, 303.62 kN, 321.18 kN으로 측정되었다. 다른 시험체들에 비해 충격 하중이 가장 작게 측정된 N25-F0 시험체의 충돌 양상은 연성 충돌로 보인다. 그 이유는 가해진 충격하중에 의해 시험체에 국부 손상이 발생하게 되어 콘크리트의 변형 및 파괴로 인해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N60-F0, U180-F0 시험체는 충돌의 양상이 강성 충돌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N25-F0 시험체보다 충격 하중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N60-F0, U180-F0 시험체가 N25-F0 시험체에 비해 더 큰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있어 충격 에너지에 의한 재료 손상이 적게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N25-F0, N60-F0, U180-F0 시험체의 최대 반력 하중은 각각 118.70kN, 136.26 kN, 139.11 kN로 측정되었다. Fig.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시험체의 중앙부에서 뚫림 전단파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에너지의 충격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어 전단 균열인 shear plug가 확연하게 형성되지 않아 하중이 지점부까지 전달 되어 더 많은 방사형 균열이 관측되었다. Series 1에서 나타난 punching shear를 통해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증가가 충격 저항 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측정된 최대 반력 하중이 유사한 수치를 보이는 것은 충격하중이 슬래브에 배근된 철근에 의해 지점부로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타격횟수에 따른 실험체의 충격 하중 및 반력 하중은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Impact and Reaction force by blow number

Specimens

Blow No.

$H$ (mm)

$F_{i}$ (kN)

$F_{r}$ (kN)

U180-F0

1.

500

321.18

146.95

2.

750

164.42

139.11

N60-F0

1.

500

303.62

145.38

2.

750

172.74

136.26

N25-F0

1.

500

263.89

123.61

2.

750

248.39

118.70

Note: $F_{i}$: impact force; $F_{r}$: reaction force

3.3 NC와 UHPC의 강섬유 혼입에 따른 충격 저항 성능 평가(Series 2)

3.3.1 파괴양상

강섬유 혼입이 보통콘크리트와 초고성능콘크리트의 충격 저항 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N60-F2, U180-F2 시험체에 대한 낙하추 충격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N60-F2, U180-F2 시험체는 강섬유 혼입이 되어있지 않은 N60-F0, U180-F0 시험체에 비해 명확한 뚫림 전단파괴 및 배면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강섬유의 혼입은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및 인성(toughness)을 증가시켜 콘크리트 구조의 에너지 흡수 능력 향상과 연성적 거동을 유도한다(Cánovas and Gaitan 2012; Okay and Engin 2012; Ou et al. 2012; Wu et al. 2016; Ulzurrun and Zanuy 2017; Yoo et al. 2017). 본 실험에서 강섬유가 혼입된 시험체는 충격하중 재하 시 연성적 거동을 보이며 향상된 충격저항 성능을 나타냈다. N60-F0, U180-F0 시험체는 2회 타격 후 심각한 국부 손상이 발생하여 실험이 종료된 반면 N60-F2, U180-F2 시험체의 경우는 2회 타격 시 뚫림 전단 파괴 및 배면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각각 6회, 11회까지 충격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U180-F2 시험체에서는 많은 미세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타격 횟수가 증가할수록 미세 균열 폭이 증가하며 Fig. 8(d)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방사형 균열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미세 균열의 발생은 충격하중의 분산을 유도하여 응력집중에 의한 국부손상을 억제 하였다(Khaloo and Afshari 2005; Pakravan et al. 2017; Yin et al. 2018; Hong and Jung 2019).

Fig. 8 Failure modes of specimens (series 2)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8.png

3.3.2 균열폭 및 처짐

Fig.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섬유를 혼입한 N60-F2, U180- F2 시험체는 4회 이전까지 동일한 타격 횟수에서 유사한 최대 균열폭이 측정되었다.

실험으로 관측된 최대 처짐 및 잔류 처짐은 Fig. 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N60-F2, U180-F2 시험체는 강섬유의 혼입으로 인해 최대 처짐과 잔류 처짐의 감소가 나타났다. 강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최대 처짐과 잔류 처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강섬유를 혼입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차이에 따른 최대 및 잔류처짐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Fig. 9 Maximum crack width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9.png
Fig. 10 Maximum and residual deflection (series 2)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10.png

3.3.3 충격 하중 및 최대 반력 하중

낙하추 충격 실험을 통해 N60-F0, N60-F2 시험체의 충격하중은 303.62 kN에서 349.24 kN으로 약 15 % 증가하였고 U180-F0, U180-F2 시험체의 충격하중은 321.18 kN에서 446.36 kN으로 약 39 % 증가하였다. 이러한 충격하중의 증가는 강성충돌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N60-F2 시험체와 U180-F2 시험체의 최대 반력 하중은 235.70 kN과 300.32 kN으로 측정되었으며 강섬유 혼입 전의 최대 반력 하중인 145.38 kN, 146.95 kN에 비해 각각 62 %, 104 % 증가하였다. 이는 강섬유의 혼입으로 인해 콘크리트 인장강도와 인성의 증가로 에너지 흡수 능력이 향상되어 뚫림 전단파괴가 발생하지 않고 지점부로 더 많은 하중이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측정된 충격 및 반력 하중은 Table 8에 나타내었다.

Table 8 Impact and Reaction force by blow number

Specimens

Blow No.

$H$ (mm)

$F_{i}$ (kN)

$F_{r}$ (kN)

U180-F2

1

500

446.36

192.10

2

750

543.13

222.62

3

1,000

634.44

262.48

4

1,250

553.56

283.47

5

1,500

548.86

289.67

6

1,750

551.96

292.40

7

2,000

569.96

300.32

8

2,000

527.46

295.63

9

2,000

353.79

284.52

10

2,000

336.73

280.46

11

2,000

-

214.94

U180-F0

1

500

321.18

146.95

2

750

164.42

139.11

U140-F2

1

500

397.58

164.28

2

750

455.21

202.93

3

1,000

488.74

224.59

4

1,250

459.54

236.24

5

1,500

466.34

236.19

6

1,750

432.34

225.27

7

2,000

444.65

246.68

8

2,000

340.60

212.01

U100-F2

1

500

380.44

160.42

2

750

474.33

211.14

3

1,000

490.25

238.38

4

1,250

455.32

256.49

5

1,500

456.65

268.26

6

1,750

396.56

261.04

7

2,000

357.04

240.19

N60-F2

1

500

333.87

154.94

2

750

379.32

203.04

3

1,000

345.32

218.81

4

1,250

293.28

235.70

5

1,500

228.54

185.78

6

1,750

-

203.54

N60-F0

1

500

303.62

145.38

2

750

172.74

136.26

N45-F2

1

500

268.88

150.68

2

750

269.55

183.11

3

1,000

216.64

192.26

4

1,250

219.41

199.42

5

1,500

197.54

154.78

Note: $F_{i}$: impact force; $F_{r}$: reaction force

3.4 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른 충격 저항 성능 평가(Series 3)

3.4.1 파괴양상

강섬유를 혼입한 시험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차이가 충격 저항 성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N45-F2, N60-F2 U100-F2, U140-F2, U180-F2 시험체에 대한 낙하추 충격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시험체에서는 섬유보강으로 인해 전단 뚫림파괴와 배면박리와 같은 심각한 국부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사형 균열의 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45-F2, N60-F2 U100-F2, U140-F2, U180-F2 시험체의 실험 종료 시점은 5회, 6회, 7회, 8회, 11회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콘크리트와 강섬유의 부착강도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비례하기 때문이며, 증가된 부착강도는 콘크리트 부재의 에너지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Fig. 11 Failure modes of specimens (series 3)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11.png

3.4.2 균열폭 및 처짐

타격 횟수에 따른 시험체의 최대 균열폭은 Fig. 9에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체는 4회 타격까지 미세균열의 생성과 함께 균열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5회 타격부터는 새로운 균열의 생성 없이 기존 균열의 폭이 증가하였다. 미세균열의 생성 및 확장은 Fig. 12에 나타내었다.

강섬유를 혼입한 시험체는 시험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및 잔류처짐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모든 시험체는 강섬유혼입으로 혼입전에 비해 최대 및 잔류처짐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른 편차는 크지않았다. 시험체의 최대 및 잔류처짐은 Fig. 13을 통해 나타내었다.

Fig. 12 Expansion of micro cracks (U180-F2)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12.png
Fig. 13 Maximum and residual deflection (series 3)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13.png

3.4.3 충격 하중 및 최대 반력 하중

Table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N45-F2, N60-F2, U100-F2, U140-F2, U180-F2 시험체의 충격 하중은 268.88 kN, 333.87 kN, 380.44 kN, 397.58 kN, 446.36 kN으로 측정되었으며 시험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N45-F2 시험체의 충격하중에 비해 약 19.5 %, 29.3 %, 32.4 %, 39.8 %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강성충돌의 영향으로 보이며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강도와 강성이 증가하여 낙하추 충격으로 인한 재료파괴가 적게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N45-F2, N60-F2, U100-F2, U140-F2 U180-F2 시험체의 최대 반력 하중은 199.42 kN, 235.70 kN, 268.26 kN, 236.24 kN, 300.32 kN으로 측정되었다. 강섬유를 혼입한 시험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반력 하중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증가는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충격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충격 저항 성능의 향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Fig. 14에 나타낸 것처럼 타격 횟수에 따른 하중-변위 그래프의 최고점을 연결하여 소산 에너지의 양을 계산하였다(Lee et al. 2020). 압축강도 별 소산 에너지는 Fig. 15를 통해 나타내었다. N45-F2, N60-F2, U100-F2 시험체의 소산 에너지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U140-F2, U180-F2 시험체의 소산 에너지는 N45-F2 시험체의 소산에너지 양의 비해 60.8 %, 78.5 % 크게 나타났다. 강섬유 혼입 시험체의 소산에너지 증가는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140 MPa 이상일 때부터 크게 나타났다.

Fig. 14 Typical energy dissipating capacity from force-displacement curves (U180-F2)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14.png
Fig. 15 Energy dissipating capacity of specimens (series 2, 3)
../../Resources/KCI/JKCI.2022.34.3.265/fig15.png

4. 결 론

본 실험을 통해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강섬유의 혼입이 이방향 RC슬래브의 충격 저항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강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이방향 RC슬래브는 낙하추 충격으로 뚫림 전단파괴 및 배면박리와 같은 심각한 국부손상이 발생하였고 모든 시험체의 최대반력하중이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증가는 강섬유를 보강하지 않은 이방향 RC 슬래브의 충격 저항 성능의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강섬유를 보강하지 않은 이방향 RC슬래브의 충격 저항 성능은 배근된 철근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2) 강섬유를 혼입한 이방향 RC 슬래브는 낙하추 충격에 의한 뚫림 전단파괴 및 배면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모든 시험체에서 강섬유 혼입으로 인한 에너지 흡수 능력이 향상되어 최대반력하중과 낙하추 충격 횟수의 증가가 나타났다. 특히,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큰 UHPC 시험체에서 더 많은 충격저항성능의 향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강섬유 혼입으로 인한 처짐은 모든 시험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3) 강섬유를 혼입한 이방향 RC슬래브의 충격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하중-변위 그래프를 이용해 시험 변수 별 충격 에너지 소산능력을 도출하였다. 압축강도 140 MPa의 시험체부터 급격한 소산 에너지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섬유보강된 RC슬래브의 에너지 소산능력또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압축강도와 에너지 소산 능력의 선형적 비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9학년도 신임교수정착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Cánovas M. F., Gaitan V. H., 2012, Behavior of Steel Fiber High Strength Concrete under Impact of Projectiles, Materiales de Construcción, Vol. 62, No. 307, pp. 381-396URL
2 
Dinic G., Perry S. H., 1990, Shear Plug Formation in Concrete Slabs Subjected to Hard Impact, Engineering Fracture Mechanics, Vol. 35, No. 1-3, pp. 343-350DOI
3 
Hong G.-H., Jung S.-W., 2019, Evaluation of Flexural Stiffness Considering Flexural Tensile Strength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35, pp. 131-138DOI
4 
Hrynyk T., Vecchio F. J., 2014,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labs under Impact Load,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1, No. 5, pp. 1213-1224URL
5 
Jemimah Carmichael M., Prince Arulraj G., 2021, Impact Resistance of Concrete with Nano Materials, Materials Today: Proceedings, Vol. 37, pp. 677-684DOI
6 
KATS ,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Google Search
7 
KATS , 2019,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KS F 2566,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Google Search
8 
Khaloo A. R., Afshari M., 2005, Flexural Behaviour of Small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Slab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7, No. 1, pp. 141-149DOI
9 
Kim D. H., Kim K. D., Yoo D. Y., Yoon Y. S., 2016, Evaluation of Impact Resistance of UHPC Slab according to Strength Variation, KCI 2016 Fall Conference. 2-4 November 2016. Sokcho.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Vol. 28, No. 2, pp. 91-92Google Search
10 
Kim S.-H., Kang T. H. K., Hong S.-G., Kim G.-Y., Yun H.-D., 2014, Impact Resistance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Panels Under High Velocity Impact-Load,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6, No. 6, pp. 731-739DOI
11 
Lee J.-Y., Shin H.-O., Yoo D.-Y., Yoon Y.-S., 2018, Structural Response of Steel-Fiber-Reinforced Concrete Beams under Various Loading Rates, Engineering Structures, Vol. 156, pp. 271-283DOI
12 
Lee J.-Y., Yuan T., Shin H.-O., Yoon Y.-S., 2020, Strategic use of Steel Fibers and Stirrups on Enhancing Impact Resistance of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Beam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107, pp. 103499DOI
13 
MOLIT , 2021, Design Standard of Concrete Sturctural (KDS 14 20,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Google Search
14 
Naraganti S. R., Pannem R. M. R., Putta J., 2019, Impact Resistance of Hybrid Fibre Reinforced Concrete Containing Sisal Fibres, Ain Shams Engineering Journal, Vol. 10, No. 2, pp. 297-305DOI
15 
Okay F., Engin S., 2012, Torsional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8, No. 1, pp. 269-275DOI
16 
Ou Y.-C., Tsai M.-S., Liu K.-Y., Chang K.-C., 2012, Compressive Behavior of Steel-Fiber-Reinforced Concrete with a High Reinforcing Index,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24, No. 2, pp. 207-215DOI
17 
Pakravan H. R., Latifi M., Jamshidi M., 2017, Hybrid Short Fiber Reinforcement System in Concrete: A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42, pp. 280-294DOI
18 
Park J. K., Kim D. J., 2017, Pullout Behavior of Steel Fiber Embedded in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at High Loading Rate, KCI 2017 Fall Conference. 10-12 May 2017. Je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Vol. 29, No. 2, pp. 109-110Google Search
19 
Prabowo A. R., Sohn J. M., Bae D. M., Zakki A. F., Harsritanto B. I., 2018, Investigating Crashworthy Single and Double Skin Structures Against Accidental Ship-to-Ship Interaction, Curved and Layered Structures, Vol. 5, No. 1, pp. 180-189DOI
20 
Rigueiro C., Ribeiro J., Santiago A., 2017, Numerical Assessment of the Behaviour of a Fixed Offshore Platform Subjected to Ship Collision, Procedia Engineering, Vol. 199, pp. 2494-2499DOI
21 
Said A. M. I., Mabrook Mouwainea E., 2022, Experimental Iinvestigation on Reinforced Concrete Slabs under High- Mass Low Velocity Repeated Impact Loads, Structures, Vol. 35, pp. 314-324DOI
22 
Sevkat E., Liaw B., Delale F., 2013, Drop-Weight Impact Response of Hybrid Composites Impacted by Impactor of Various Geometries, Materials & Design (1980-2015), Vol. 52, pp. 67-77DOI
23 
Theodorakopoulos D. D., Swamy R. N., 2002, Ultimate Punching Shear Strength Analysis of Slab–Column Connection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4, No. 6, pp. 509-521DOI
24 
Tuğrul Erdem R., 2021, Dynamic Responses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under Sudden Impact Loading, Revista de la Construcción, Vol. 20, No. 2, pp. 346-358DOI
25 
Ulzurrun G. S. D., Zanuy C., 2017, Enhancement of Impact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out Stirrups by Adding Steel Fiber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45, pp. 166-182DOI
26 
Vivas J. C., Zerbino R., Torrijos M. C., Giaccio G., 2020, Effect of the Fibre Type on Concrete Impact Resistanc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64, pp. 120200DOI
27 
Wu H., Fang Q., Gong J., Liu J. Z., Zhang J. H., Gong Z. M., 2015, Projectile Impact Resistance of Corundum Aggregated UHP-SFRC,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84, pp. 38-53DOI
28 
Wu Z., Shi C., He W., Wu L., 2016, Effects of Steel Fiber Content and Shap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03, pp. 8-14DOI
29 
Xiao Y., Li B., Fujikake K., 2017,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under Low Velocity Impact,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4, No. 3, pp. 643-658DOI
30 
Yankelevsky D. Z., 1997, Local Response of Concrete Slabs to Low Velocity Missile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19, No. 4, pp. 331-343DOI
31 
Yin H., Shirai K., Teo W., 2018, Prediction of Shear Capacity of UHPC–Concrete Composite Structural Members Based on Existing Codes,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24, No. 8, pp. 607-618DOI
32 
Yoo D.-Y., Banthia N., 2019, Impact Resist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A Review,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104, pp. 103389DOI
33 
Yoo D.-Y., Banthia N., Yoon Y.-S., 2017, Impact Resistance of Reinforced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Beams with Different Steel Fibers,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4, No. 1, pp. 113-124DOI
34 
Yoo D.-Y., Yoon Y.-S., Banthia N., 2015, Flexural Response of Steel-Fiber-Reinforced Concrete Beams: Effects of Strength, Fiber Content, Strain-Ra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64, pp. 84-92DOI
35 
Youm H.-S., Hong S.-G., 2021, Tensile Behavior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Reinforced with Textile Reinforc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3, No. 4, pp. 399-410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