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이화여자대학교 건축도시시스템공학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and Urban Systems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Rep. of Korea)
  2.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 of Korea)



ALC, 유리섬유메쉬, 프리즘, 압축강도, 탄성계수
ALC, glass fiber mesh, prism,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

1. 서 론

증기양생 경량기포콘크리트(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이하 ALC)는 규사에 시멘트와 기포제인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한 다공질 물질을 180 °C, 10기압의 고온고압으로 증기양생시켜 생성된 규산칼슘수화물을 기반으로한 시멘트질 제품이다. ALC는 제작 시 기포제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일반 콘크리트 밀도의 1/4 수준(밀도 500 kg/㎥ 내외)으로 경량재료이다. ALC 블록은 콘크리트벽돌이나 점토벽돌(두께 90×높이 57×길이 190 mm)에 비해 단위 부피당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Fig. 1과 같이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두께 300×높이 200×길이 600 mm) 가능하고 그로 인해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국외에서는 이러한 ALC를 AAC (autoclaved aerated concrete)라고 표현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ALC로 명칭을 통일하였다.

Fig. 1 Dimensions of ALC block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1.png

ALC 블록의 특성을 살펴보면(Kim et al. 2020a), 낮은 재료 밀도로 인하여 압축강도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낮고(3~6 MPa 수준), ALC 블록 사이에 얇은 두께(1~3 mm, MOLIT. 2021a)의 모르타르에 의하여 접합이 이뤄진다. 그에 반해, 콘크리트 및 점토벽돌의 줄눈은 일반적으로 10 mm 두께이다(MOLIT 2021b). 또한, ALC 블록과 모르타르가 접합된 ALC 프리즘은 기존의 콘크리트 및 점토벽돌 프리즘(이하 조적 프리즘)과는 다른 재료적인 특성을 가진다. ALC 프리즘은 Table 1과 같이 ALC 블록의 압축강도가 접착제인 모르타르(11 MPa, 재령 28일 강도 기준)에 비해 낮지만, 일반 조적 프리즘은 조적개체가 모르타르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갖는다.

Table 1 Mechanical properties of a masonry prism presented in current design standards

Type

Compressive strength (MPa)$^{1)}$

Thickness of mortar (mm)

Strength of mortar$^{7)}$

ALC block

Over 2.9~6.9$^{2)}$

1~3$^{5)}$

Over 8 MPa

(7 Day)

Over 11 MPa

(28 day)

Concrete brick

Over 8.0~13$^{3)}$

10$^{6)}$

Clay brick

Over 14.7~24.5$^{4)}$

Note: 1) Different strengths depending on types of blocks and bricks; 2) KS F 2701; 3) KS F 4004; 4) KS L 4201; 5) KCS 41 34 09; 6) KCS 41 34 02; 7) KS L 5220

기존 연구에 따르면(Francis et al. 1971;Zavalis et al. 2014) 조적 프리즘의 압축강도는 조적개체와 모르타르의 강도, 모르타르 두께 등에 영향을 받는다. 모르타르 두께가 얇은 조적 프리즘은 조적개체에 가까운 압축강도를 보이지만, 두꺼운 모르타르가 시공된 조적 프리즘은 조적개체와 모르타르의 강도에 함께 영향을 받는다(Venne1tfoort 1994;Yi et al. 2004). Yi et al.(2004)은 조적개체, 모르타르, 조적프리즘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회귀 분석하여 Table 2와 같은 조적프리즘 압축강도식을 제안하였다.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a masonry prism presented in current design standards and previous studies

Investigators

Compressive strength of masonry prism (MPa)

Elastic modulus of masonry prism (MPa)

Eurocode 6

(CEN, 2005)

$f_{m}^{'}=0.55f_{b}^{0.7}f_{mo}^{0.3}$ for concrete/clay masonry

$f_{m}^{'}=0.80f_{b}^{0.85}$ for ALC masonry

$E_{m}=1,\: 000f_{m}^{'}/(1+\phi_{creep})$

ACI 530-11

$f_{m}^{'}=2.758 +B f_{b}$ for clay masonry

($B$=0.2 for Type N mortar, 0.25 for S or M mortar)

$E_{m}=700f_{m}^{'}$ for clay masonry

$E_{m}=900f_{m}^{'}$ for concrete masonry

$E_{ALC}=888(f_{ALC})^{0.6}$ for ALC masonry

ASCE 41-06

$f_{m}^{'}$=2.1 (poor), 4.1 (fair), 6.2 (good)

$E_{m}=550f_{m}^{'}$

Kim et al. (2001)

-

$E_{m}=100f_{m}^{'}$

Yi et al. (2004)

$f_{m}^{'}=0.46f_{b}+0.16f_{mo}-2.54$ for concrete masonry

$E_{m}=88f_{m}^{'}$ ($f_{m}^{'}$≤25.5 MPa)

$E_{m}=172f_{m}^{'}$ ($f_{m}^{'}$>25.5 MPa)

MOE (2019)

$f_{m}^{'}$=2.1 (poor), 4.1 (fair), 6.2 (good)

$E_{m}=200f_{m}^{'}$

Note: 1) $f_{m}^{'}$: compressive strength of masonry prism; 2) $f_{b}$: compressive strength of bricks and ALC blocks; 3) $f_{mo}^{'}$: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4) $\phi_{creep}$: creep coefficient, 0.5~1.5 for clay and ALC blocks and 1.0~2.0 for concrete block

조적 프리즘 압축강도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을 살펴보면(Table 2 참고), Eurocode 6(CEN, 2005)는 조적개체와 모르타르의 압축강도($f_{b}$, $f_{mo}$)를 변수로 하는 강도식을 제시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모르타르가 시공되는 조적 프리즘(콘크리트와 조적벽돌)에 대해서는 조적개체와 모르타르 압축강도가 함께 고려되지만, 얇은 모르타르로 접합되는 ALC 프리즘에서는 ALC 블록의 압축강도 $f_{b}$만 고려된다. ACI 530 (MSJC 2013)은 점토벽돌 조적 프리즘의 압축강도식만 제시하고 있으며, 조적개체 압축강도 $f_{b}$를 변수로 모르타르 종류에 따라 계수값($B$)을 다르게 한다.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에 대해서는 ALC 블록의 강도 $f_{ALC}$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제시되어 있다. 기존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기준인 ASCE 41-06(2006)과 학교시설 내진성능 평가 및 보강 매뉴얼(MOE 2019)에서는 조적조 압축강도의 최저값(lower bound value)을 조적상태(양호, 보통, 불량)에 따라 2.1~6.2 MPa로 제시하고 있다.

조적 프리즘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갖는 조적개체와 모르타르가 접합되었기 때문에 압축강도뿐만 아니라 탄성계수에서도 조적개체와는 차이를 보인다. 현행 설계기준과 기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국내와 국외기준에 큰 차이를 보인다. 국외기준의 경우에는 Table 2와 같이 조적조 탄성계수 $E_{m}$을 550~1,000$f_{m}^{'}$ 범위로 제시하고 있다. Eurocode 6(CEN, 2005)는 장기 크리프변형 $\phi_{creep}$을 고려하여 탄성계수를 감소시키고 있다. ACI 530에 따르면, 모르타르 두께가 얇은 ALC 조적조 탄성계수는 ALC 재료 자체의 탄성계수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ALC 재료 탄성계수 강도식($E_{ALC}$)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에 반해, 국내 연구 및 국내 지침을 살펴보면 조적조 탄성계수 $E_{m}$는 88~200$f_{m}^{'}$ 범위인데, 이는 해외 기준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이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 수행한 실험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조적조는 생산하는 지역에 따라 형태나 크기, 구성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재료 물성도 달라지고, 국내 조적조는 외국과 상이한 조적개체를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외국에서 제시된 재료특성값을 기본값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Yu 2015).

조적조는 재료특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콘크리트나 강재에 비해 크기 때문에 다양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ALC 조적조에 대한 국내 연구결과는 국외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 실험을 통해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에 대해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ALC 조적조의 구조설계시 활용 가능한 프리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식을 제시하였다.

2. 실험계획

2.1 실험변수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Fig. 2와 같이 유리섬유(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이하 GFRP) 메쉬보강을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보강조적조는 횡력에 취약하기 때문에 FRP(fiber reinforced polymer) 공법이나 TRM (textile reinforced mortar) 공법을 활용하여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GFRP 메쉬는 TRM 공법에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로,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조적 프리즘에 부착하여 조적조의 횡력저항 성능을 향상시킨다. 기존 연구(Prota et al. 2006; Papanicolaou et al. 2007; Papanicolaou et al. 2011; Babaeidarabad et al. 2013; Borri et al. 2014; Gattesco and Boem. 2015; Shabdin et al. 2018)를 살펴보면, 조적조에 FRP를 보강한 TRM 공법은 전단보강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Fig. 2와 같이 벽면과 줄눈에 보강된 GFRP가 ALC 프리즘 압축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Fig. 2 Test variables and interfacial construction of ALC prisms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2.png
Table 3 Test variables and test results of glass fiber reinforced ALC prisms for compressive strength

Specimens

Dry density

(kg/㎥)

GFRP$^{2)}$

$f_{\max}^{'}$$^{3)}$

(MPa)

$f_{\max}^{'}/ f_{ALC}$

$f_{m,\: EC6}^{'}$$^{4)}$

(MPa)

$\dfrac{f_{\max}^{'}}{f_{m,\: EC6}^{'}}$

$E_{m,\: g}$$^{5)}$

(MPa)

$E_{m,\: L}$$^{6)}$

(MPa)

$\dfrac{E_{m,\: L}}{E_{m,\: g}}$

Bed joint

Wall

CS(0.35)UU1

350

($f_{ALC}$$^{1)}$=2.77 MPa)

-

-

1.63

0.59

1.90

0.85

1,762

2,185

1.24

CS(0.35)UU2

-

-

1.63

0.59

0.86

1,760

2,258

1.28

CS(0.35)UF

-

A

1.66

0.60

0.88

1,759

-

-

CS(0.35)FF1

C

A

1.94

0.70

1.02

1,593

-

-

CS(0.35)FF2

C

A

1.81

0.65

0.95

1,798

-

-

CS(0.5)UU1

500

($f_{ALC}$=4.35 MPa)

-

-

3.10

0.71

2.79

1.11

3,092

3,861

1.25

CS(0.5)UU2

-

-

3.21

0.74

1.15

2,824

2,998

1.06

CS(0.5)UF

-

A

3.34

0.77

1.20

3,128

-

-

CS(0.5)FF1

C

A

3.50

0.80

1.25

2,760

-

-

CS(0.5)FF2

C

A

3.21

0.74

1.15

3,178

-

-

Note: 1) $f_{ALC}$: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of ALC blocks by material tests; 2)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mesh; 3) $f_{\max}^{' }$: maximum axial stress of ALC prisms; 4) $f_{m,\: EC6}^{'}$: compressive strength of ALC masonry specified in EC6; 5) $E_{m,\: g}$: elastic modulus of ALC prisms from measurement of strain gauges (V1, V2, V3 in Fig. 3); 6) $E_{m,\: L}$: elastic modulus of ALC prisms from measurement of LVDT (L and R in Fig. 3)

UU 실험체는 블록을 가로, 세로 줄눈 모르타르만으로 부착하였고, UF 실험체는 블록 사이를 줄눈 모르타르로 부착하였고 양쪽 벽면은 GFRP 메쉬 보강 모르타르를 사용하였다. FF 실험체는 줄눈과 벽면 모두 GFRP 메쉬 보강 모르타르를 사용하였다. 줄눈과 벽면에는 서로 다른 GFRP 메쉬를 사용하였는데, 줄눈에는 메쉬 크기가 9.5×8.5 mm인 C형 메쉬(247 g/㎡)를, 벽면에는 메쉬 크기가 4×4 mm이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A형 메쉬(188 g/㎡)를 사용하였다(Kim et al. 2020b).

다른 실험변수로는 Table 3과 같이 ALC 블록의 압축강도를 고려하였다. ALC 블록의 밀도에 따라 재료성능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밀도 350 kg/㎥인 0.35품과 밀도 500 kg/㎥인 0.5품 ALC 블록에 대해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3 Test setup and GFRP meshes used in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3.png

2.2 실험체 상세

ALC 프리즘 압축강도 실험을 위해 Fig. 3(a)와 같이 800× 800×300 mm 크기 조적 프리즘을 제작하였다(ASTM C1314). ALC 블록 접합면은 Fig. 2(d)와 같이 ALC 모르타르를 1~3 mm 두께로 가로줄눈(bed joint)과 세로줄눈(head joint) 모두 시공하였다. ALC 모르타르 두께는 한번 펴바르는 경우 약 1~2 mm 두께인데 시공 기술자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양쪽 벽면은 모르타르 초벌 이후 GFRP 메쉬를 보강하였고 외벽 모르타르는 메쉬 부착을 고려하여 3~5 mm 두께로 계획하였다.

2.3 실험방법

ALC 프리즘에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Fig. 3(a)와 같이 실험체를 세팅하였다. ALC 프리즘 전면에 압축응력을 일정하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프리즘 상부에 철물 지그를 설치하고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분당 1 mm 변위제어로 압축하중을 가하였다.

축방향 변형을 계측하기 위하여 철물 지그와 바닥면 사이 좌/우측면에 LVDT(GL, GR)을 설치하고 ALC 프리즘 최외각면에서 100 mm 떨어진 위치에 전산볼트를 매입하여 LVDT (L, R)을 설치하였다. 푸아송 비(Poisson’s ratio)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력방향에 수직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LVDT(T, B)를 설치하였다. 콘크리트 게이지도 벽면에 부착하여 변형률을 계측하였다.

3. 실험결과

3.1 재료시험

실험체에 사용한 ALC 블록의 평균 압축강도 $f_{ALC}$는 2.77 MPa(0.35품)과 4.35 MPa(0.5품)이었다. ALC 모르타르의 28일 평균 압축강도는 0.35품 ALC 프리즘의 경우 14.4 MPa이고 0.5품 ALC 프리즘의 경우 17.3 MPa이었다. 모르타르 압축강도 차이는 0.35품과 0.5품 ALC 프리즘이 서로 다른 조적공에 의해 다른 환경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재료시험에 사용된 ALC 블록은 100 mm 정육면체 블록(ASTM C1693-11 2017)이고, ALC 모르타르 공시체는 50 mm 정육면체 블록(ASTM C1329 2016)으로 계획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을 살펴보면, MOLIT (2019)에서는 ALC 조적용 모르타르 압축강도는 15 MPa 이상(재령 28일)으로 한다. ASTM C1329 (2016)에서는 28일 강도 기준 6.2 MPa 이상은 N형, 14.5 MPa 이상은 S형, 20.0 MPa 이상은 M형 모르타르로 구분한다. ASTM C270 (2014)MSJC (2013)을 따르면 내력벽에는 N형 모르타르를 추천하고 횡력 저항시스템에는 S형과 M형 모르타를 사용하여야 한다.

GFRP 인장강도는 ASTM D4595 시험방법을 따라 수행하였다. 격자로 형성된 GFRP는 응력 단위로 재료강도를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GFRP 메쉬 폭 50 mm 당 하중(N)으로 나타낸다. 이에 인장시편은 길이 500 mm, 폭 50 mm 크기로 제작하였다. Fig. 3(b)와 같이 GFRP 메쉬 섬유 방향인 경사(warp) 및 위사(weft)에 따라 인장강도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각각 방향에 대해 3개씩 재료시험을 수행하였다. A형 메쉬의 평균 인장강도는 경사방향의 경우 1,267 N/50 mm이었고, 위사방향의 경우 1,976 N/50 mm이었다. C형 메쉬의 평균 인장강도는 경사방향의 경우 1,982 N/50 mm이었고, 위사방향의 경우 3,440 N/50 mm이었다.

3.2 ALC 프리즘의 응력-변형률 관계

ALC 프리즘의 압축응력과 축방향 변형률 관계를 Fig. 4에 나타냈다. 압축응력은 액추에이터 하중을 프리즘 면적으로 나눈 값이고, 축방향 변형률은 평균 축방향 변형(GL과 GR, Fig. 3(a))을 프리즘 높이로 나눈 값이다. 축방향 변형(L과 R)은 최대하중 이후 전산볼트 주변 균열에 의해 제대로 계측되지 않아서 GL과 GR 값을 사용하였다. 탄성계수 평가시에는 L과 R의 변형 계측값을 사용하였다. 최대응력 지점은 원형으로 표시하였고 실험체명과 최대응력값을 함께 표시하였다. 동일한 실험체인 UU1/UU2, FF1/ FF2는 실험결과를 함께 표시하였다.

Fig. 4 Stress - strain relations of ALC prisms in compression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4.png

ALC 블록 압축강도 $f_{ALC}$에 따라 ALC 프리즘 압축강도 $f_{m}^{'}$에 차이를 보였다. $f_{m}^{'}$은 0.35품 ALC 경우($f_{ALC}$=12.77 MPa) 1.63~1.94 MPa이었고 0.5품 ALC 경우($f_{ALC}$=4.35 MPa) 3.10~ 3.50 MPa이었다. $f_{ALC}$가 증가함에 따라 $f_{m}^{'}$가 증가하였다. ALC 블록보다 압축강도가 큰 ALC 모르타르($f_{mo}$=14.4~17.3 MPa)로 접합되었지만 ALC 프리즘은 ALC 블록에 비해 낮은 압축강도를 보였다($f_{m}^{'}$/$f_{ALC}$=0.59~0.8).

GFRP 보강에 따른 압축강도 증가는 크지 않았다. 0.35품 ALC 프리즘은 벽면 GFRP 보강(FU)에 의해 2 %, 벽면과 줄눈 GFRP 보강(FF)에 의해 15 % 증가하였다. 0.5품 ALC 프리즘은 GFRP 보강(UF, FF)에 의해 6 % 증가하였다. 동일한 실험체가 2개인 경우에는 평균값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최대하중 이후 변형능력에도 큰 차이는 없었다. GFRP를 모르타르로 벽면에만 부착하였기 때문에 구속 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3.3 ALC 프리즘의 파괴모드

GFRP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 CS(0.35)UU2의 최대하중 이후 파괴양상은 Fig. 5와 같다. 최대하중 이전에는 외관으로 관찰되는 균열은 거의 없었고, 최대하중 직전에 ALC 블록 모서리에서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최대하중 이후에는 ALC 블록 모서리 균열과 블록을 관통하는 수직균열이 함께 발생하였고 최종적으로(최대하중 이후 0.6~0.7$P_{\max}$) ALC 블록이 압괴되었다.

Fig. 5 Failure patterns of ALC prisms after peak load under compression (CS(0.35)UU2)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5.png

실험체별 최대하중에서의 파괴양상을 Fig. 6에 나타냈다. GFRP 보강이 없는 UU 실험체는 ALC 블록 모서리균열과 블록을 관통하는 수직균열이 함께 발생하였다. UF와 FF 실험체는 GFRP와 모르타르로 벽면을 보강하였지만, ALC 블록 모서리에서 균열이 발생하면서 가로줄눈을 따라 수평균열이 발생하였다.

Fig. 6 Failure modes of ALC prisms at peak loads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6.png

4. 실험분석

4.1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ALC 블록의 압축강도에 따른 프리즘 압축강도의 변화를 Fig. 7에 나타냈다. 삼각형 표식은 0.35품 ALC 프리즘, 원형 표식은 0.5품 ALC 프리즘, 다이아몬드 표식은 Ferretti et al. (2015)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Ferretti et al. (2015)에서 수행한 ALC 프리즘은 625×750×100 mm 크기(모르타르 두께 2~3 mm)이고 ALC 블록은 125×50×100 mm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ALC 블록보다는 작은 ALC 블록이다.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위해 Eurocode 6(CEN 2005)에서 제시하는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식 $f_{m,\: EC6}^{'}$을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Fig. 7 Compressive strength of ALC prisms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7.png

실험결과와 Eurocode 6(CEN 2005)의 예상강도를 비교해보면, ALC 프리즘 압축강도비($f_{\max}^{'}$/$f_{m,\: EC6}^{'}$)는 0.85~1.45으로, 평균은 1.16이고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17 %이다. Eurocode 6(CEN 2005)의 ALC 프리즘 강도식 $f_{m,\: EC6}^{'}$은 두께가 얇은 모르타르의 영향은 무시하고 ALC 블록의 압축강도 $f_{ALC}$에 대한 식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CS(0.35) 실험체에 대해서는 과대평가하였고, CS(0.5) 실험체에 대해서는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erretti et al. (2015) 실험체에 대해서도 과소평가하였다. ACI 530-11에서는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식 $f_{m}^{'}$은 제시되어 있지 않고 ALC 블록의 강도 $f_{ALC}$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언급되어 있다.

4.2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 $E_{m}$는 탄성구간에서의 ALC 벽체의 휨강성과 전단강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방법으로 축방향 변형률을 계측하여 탄성계수를 평가하였다(Fig. 3(a) 참고). 첫번째는 ALC 프리즘 최외각면에서 100 mm 떨어진 위치 사이의 수직변형(L, R)을 바탕으로 계산하였고, 두번째는 벽면에 콘크리트 변형률 게이지($V_{1},\: V_{2},\: V_{3}$)를 부착하여 평균 변형률을 직접 계측하였다. 탄성계수 $E_{m}$은 Fig. 8과 같이 ALC 프리즘의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최대응력의 33 % 지점과 5 % 지점사이의 기울기로 평가하였다(ASTM C1314).

실험체별 탄성계수는 Table 3에 나타냈다. GFRP 보강없는 UU 실험체는 Fig. 8과 같이 LVDT 계측값(점선)으로 평가한 탄성계수 $E_{m,\: L}$와 콘크리트 게이지 변형률(실선)로 평가한 탄성계수 $E_{m,\: g}$이 거의 유사하였다($E_{m,\: L}$/$E_{m,\: g}$=1.06~1.28). 그에 반해, CS(0.5)UF의$E_{m,\: L}$/$E_{m,\: g}$는 9.0으로, GFRP가 보강된 경우 LVDT에 의한 변형률 계측이 잘 이뤄지지 않았다. 벽면 GFRP를 보강한 UF와 FF 실험체의 $E_{m,\: L}$는 실험체별로 큰 차이를 보여 신뢰성 문제가 있어 UU 실험체에 대해서만 Table 3에 나타냈다.

GFRP가 보강된 UF와 FF 실험체의 탄성계수 $E_{m,\: g}$는 UU 실험체의 0.96~1.06 수준으로 GFRP 보강 여부와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탄성계수를 보였다. 이는 벽면과 줄눈 GFRP 보강이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 8 Measurements of elastic modulus of ALC prisms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8.png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ALC 블록의 압축강도 $f_{ALC}$에 따른 탄성계수 $E_{m}$의 변화를 Fig. 9에 나타냈다. 탄성계수 실험값은 콘크리트 게이지 변형률로 평가한 $E_{m,\: g}$를 사용하였다. 삼각형 표식은 0.35품 ALC 프리즘, 원형 표식은 0.5품 ALC 프리즘, 다이아몬드 표식은 Ferretti et al. (2015)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위해 Eurocode 6와 ACI 530-11에서 제시하는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 $E_{m,\: EC6}$와 $E_{m,\: ACI}$를 각각 파선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Table 4 참고). ACI 530-11에 따르면,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는 주로 ALC 블록의 탄성계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ALC 블록의 탄성계수식($E_{ALC}$)을 프리즘 탄성계수식($E_{m,\: ACI}$)으로 사용한다.

Fig. 9 Elastic modulus of ALC prisms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9.png
Table 4 Elastic modulus and shear modulus of ALC prisms

Specimens

Dry density

(kg/㎥)

$E_{m,\: g}$$^{1)}$

(MPa)

Eurocode 6

ACI 530

Proposed method

Poisson’s ratio $v$

$G_{m}$

(MPa)

$E_{m,\: EC6}$

Ratio$^{2)}$

$E_{m,\: ACI}$

Ratio

$E_{m,\: Prop}$

Ratio

CS(0.35)UU1

350

($f_{ALC}$=2.77 MPa)

1,762

1,902

0.93

1,636

1.08

1,662

1.06

0.17

753

CS(0.35)UU2

1,760

0.93

1.08

1.06

0.26

698

CS(0.35)UF

1,759

0.92

1.07

1.06

0.28

687

CS(0.35)FF1

1,593

0.84

0.97

0.96

0.31

608

CS(0.35)FF2

1,798

0.95

1.10

1.08

0.28

702

CS(0.5)UU1

500

($f_{ALC}$=4.35 MPa)

3,092

2,791

1.11

2,145

1.44

2,610

1.18

0.18

1,310

CS(0.5)UU2

2,824

1.01

1.32

1.08

0.37

1,031

CS(0.5)UF

3,128

1.12

1.46

1.20

0.27

1,231

CS(0.5)FF1

2,760

0.99

1.29

1.06

0.43

965

CS(0.5)FF2

3,178

1.14

1.48

1.22

0.41

1,127

Ferretti #2

($f_{ALC}$=2.8 MPa)$^{3)}$

1,417

1,919

0.74

1,647

0.86

1,680

0.84

0.32

537

Ferretti #3

1,392

0.73

0.85

0.83

0.38

504

Ferretti #4

1,346

0.70

0.82

0.80

0.29

522

Note: 1) $E_{m,\: g}$: elastic modulus of ALC prisms from measurement of strain gauges (V1, V2, V3 in Fig. 3); 2) test to prediction ratio of elastic modulus ($E_{m,\: g}$/$E_{m,\: EC6}$); 3) test results from Ferretti et al. (2015)

Eurocode 6(CEN 2005)의 탄성계수비($E_{m}$/$E_{m,\: EC6}$)는 평균 0.93, 변동계수 16 %로 탄성계수를 과대평가하였다. 특히, 블록 압축강도가 작은 0.35품 ALC 프리즘과 Ferretti et al. (2015)의 탄성계수를 과대평가하였다. 반대로, ACI 530은 평균 1.14, 변동계수 21 %로 탄성계수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식을 아래 식 (1)과 같이 제안하였다.

(1)
$E_{m,\: proposed}=600f_{ALC}$

제안한 탄성계수식은 ALC 블록의 압축강도 $f_{ALC}$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식으로 Table 2와 같이 기존 조적 프리즘의 탄성계수식과 비슷한 형식이다. ALC 프리즘 탄성계수 평가의 용이성을 위하여 ALC 프리즘 압축강도 $f_{m}^{'}$대신 $f_{ALC}$를 사용하였다. 제안식의 예측결과를 살펴보면, 평균 1.03, 변동 계수 13 %로 Eurocode 6(CEN 2005)와 ACI 530에 비하여 더 정확하게 평가하였다.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에 대한 실험결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제안식 검증이 필요하다.

4.3 ALC 프리즘의 푸아송 비와 전단 탄성계수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 실험을 바탕으로 전단 탄성계수 $G_{m}$을 직접 산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Fig. 10과 같이 실험체의 푸아송 비($v$)를 계측하여 전단 탄성계수를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변형률 게이지를 통해 계측한 수직방향 변형률 $ε_{v}$과 수평방향 변형률 $ε_{h}$을 바탕으로, 기울기 일정 구간에서 푸아송 비를 계산하였다. 실험체별 푸아송 비는 Table 4에 나타냈다.

선형 탄성체의 전단 탄성계수 $G$는 푸아송 비 $v$와 탄성계수 $E$로 계산할 수 있다(식 (2)).

Fig. 10 Measurements of vertical and horizontal strains to evaluate Poisson’s ratio of ALC prisms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10.png
(2)
$G=\dfrac{E}{2(1+v)}$

ALC 프리즘의 전단 탄성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Fig. 11에 실험체에서 계측된 탄성계수 $E_{m}$ 대비 전단 탄성계수 $G_{m}$을 나타냈다. 전단 탄성계수는 식 (2)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현행 설계기준(CEN 2005;MSJC 2013;MOE 2019)에서는 조적조의 전단탄성계수 $G_{m}$를 탄성계수 $E_{m}$의 40 %로 제시하고 있으며, Fig. 11에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Fig. 11 Shear modulus of ALC prisms (Eq. (2))
../../Resources/KCI/JKCI.2022.34.2.173/fig11.png

현행 설계기준 예측결과는 평균 0.96, 변동계수 6 %로 ALC 프리즘의 전단 탄성계수를 적절히 평가하였다. ALC 프리즘의 전단 탄성계수 $G_{m}$를 탄성계수 $E_{m}$의 40 %로 산정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ALC 프리즘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ALC 블록 압축강도와 GFRP 보강을 주요 변수로 압축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ALC 프리즘 압축강도 $f_{m}^{'}$는 ALC 블록 압축강도 $f_{ALC}$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f_{m}^{'}$=0.59~0.8$f_{ALC}$). 콘크리트 조적 프리즘과 달리 ALC 프리즘의 줄눈 모르타르 두께는 1~3 mm로, 줄눈 모르타르의 강도가 프리즘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Eurocode 6(CEN 2005)에서 제시하는 ALC 프리즘 압축강도식은 0.35품 실험체에 대해서는 과대평가하였고, 0.5품 실험체에 대해서는 과소평가하였다.

2) 벽면과 줄눈에 보강된 GFRP는 ALC 프리즘의 압축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압축강도는 2~15 % 증가하였고, 최대하중 이후 GFRP 보강 여부에 따른 변형능력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GFRP를 모르타르로 벽면에만 부착하였기 때문에 GFRP에 의한 구속 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GFRP는 프리즘 탄성계수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 $E_{m}$는 ALC 블록의 압축강도 $f_{ALC}$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를 제안하였다($E_{m}$=600$f_{ALC}$). 제안식은 현행 기준인 Eurocode 6(CEN 2005)와 ACI 530-11(MSJC 2013)보다 더 정확한 예측결과를 보였다. ALC 프리즘의 탄성계수에 대한 실험결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추가실험을 통해 제안식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4) ALC 프리즘의 축방향 변형률 산정방법에 따라 탄성계수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프리즘 압축실험 계획 시 정밀한 계측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LVDT와 콘크리트 변형률 게이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5) ALC 프리즘 실험체에서 계측한 푸아송 비는 0.17~0.43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단 탄성계수 $G_{m}$을 평가해보면 현행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0.4$E_{m}$은 적절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7년도 한국 ALC협회에서 대한건축학회로 발주한 용역과제와 한국연구재단의 2020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2020R1F1A1049971)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SCE/SEI 41-06 , 2006, Seismic Rehabilitation of Existing Buildings, Reston, Virgini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Google Search
2 
ASTM C1314 . ,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Masonry Prism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3 
ASTM C1329 . , 2016, Standard Specification for Mortar Cement,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4 
ASTM C1693-11 . , 2017, Standard Specification for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DOI
5 
ASTM C270-14 . , 2014, Standard Specification for Mortar for Unit Masonry,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DOI
6 
ASTM D4595 . ,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Geotextiles by the Wide-Width Strip Method,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DOI
7 
Babaeidarabad S., Caso F. D., Nanni A., 2014, URM Walls Strengthened with Fabric-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Composite Subjected to Diagonal Compression,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18, No. 2, pp. 04013045-1-9DOI
8 
Borri A., Castori G., Corradi M., Sisti R., 2014, Masonry Wall Panels with GFRP and Steel-Cord Strengthening Subjected to Cyclic Shear: An Experimental Stud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56, pp. 63-73DOI
9 
CEN . , 2005, Eurocode 6 - Design of Masonry Structures - Part 1-1: General Rules for Reinforced and Unreinforced Masonry Structures, EN 1996-1-1. London, UK;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British Standards Institute (BSI)Google Search
10 
Ferretti D., Michelini E., Rosati G., 2015,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Autoclaved Aerated Concrete Masonry Subjected to In-Plane Loading: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Fe Model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98, pp. 353-365DOI
11 
Francis A. J., Horman C. B., Jerrems L. E., 1971, The Effect of Joint Thickness and Other Factor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rickwork, Proceedings of 2nd International Brick Masonry Conference, pp. 31-37URL
12 
Gattesco N., Boem I., 2015,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Plane Reinforcement for Masonry Walls Using GFRP Mesh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88, pp. 94-104DOI
13 
KATS . , 2017, Autoclaved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Block (KS F 2701),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In Korean)Google Search
14 
KATS. , 2018a, Concrete Bricks (KS F 4004,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In Korean)Google Search
15 
KATS. , 2018b, Dry Ready Mixed Cement Mortar (KS L 5220),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In Korean)Google Search
16 
KATS. , 2020, Clay Brick (KS L 4201),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In Korean)Google Search
17 
Kim C., Park H., Kim Y., 2020a, Mechancal Properties of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Block,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2, No. 2, pp. 145-153DOI
18 
Kim C., Park H., Kim Y., 2020b, Flexural Tensile Strength of ALC Blocks Strengthend with Glass Fiber Mesh,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2, No. 3, pp. 213-223DOI
19 
Kim H., Kim K Park J., Hong W., 2001, Experimental Study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Unreinforced Masonry Considering Earthquake Load,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5, No. 2, pp. 93-101Google Search
20 
MOE . , 2019,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trofit Manual for School Facilities, Sejong, Korea; Ministry of Education (MOE). (In Korean)Google Search
21 
MOLIT . , 2019,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Standard for SmallMasonry Building Structure (KCS 41 90 34),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 Korean)Google Search
22 
MOLIT. , 2021a,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Construction for ALC Block (KCS 41 34 09),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 Korean)Google Search
23 
MOLIT. , 2021b,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Construction for Brick (KCS 41 34 02),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 Korean)Google Search
24 
MSJC . , 2013, Building Code Requirements and Specification for Masonry Structures (TMS 402-13/ACI 530-13/ASCE 5-13), Masonry Standards Joint Committee (MSJC)Google Search
25 
Papanicolaou C. G., Triantafillou T. C., Karlos K., Papathanasiou M., 2007, Textile-Reinforced Mortar (TRM) Versus FRP as Strengthening Material of URM Walls: In-Plane Cyclic Loading,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40, pp. 1081-1097DOI
26 
Papanicolaou C., Triantafillou T., Lekka M., 2011, Externally Bonded Grids as Strengthening and Seismic Retrofitting Materials of Masonry Panel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5, pp. 504-514DOI
27 
Prota A., Marcari G., Fabbrocino G., Manfredi G., Aldea C., 2006, Experimental In-Plane Behavior of Tuff Masonry Strengthened with Cementitious Matrix-Grid Composite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10, No. 3, pp. 223-233DOI
28 
Shabdin M., Zargaran M., Attari N. K., 2018, Experimental Diagonal Tension (Shear) Test of Un-Reinforced Masonry (URM) Walls Strengthened with Textile Reinforced Mortar (TRM),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64, pp. 704-715DOI
29 
Venne1tfoort A. T., 1994, Compression Properties of Masonry and its Components, Proceedings of 10th IB2MAC Conference, pp. 1433-1442URL
30 
Venne1tfoort A. T., 1994, Compression Properties of Masonry and its Components, Proceedings of 10th IB2MAC Conference, pp. 1433-1442URL
31 
Yi W., Lee J., Kang D., Yang W., 2004, An Experimental Study of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rick Masonry,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0, No. 12, pp. 45-52Google Search
32 
Yu E., 2015, Seismic Performance and Retrofit of Masonry- Infilled Fram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7, No. 6, pp. 41-45DOI
33 
Zavalis R., Jonaitis B., Lourenço P. B., 2014, Analysis of Bed Joint Influence on Masonry Modulus of Elasticity, Proceedings of 9th International Masonry Conference, pp. 1-11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