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숭실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School of Architecture, Soongsil University, Seoul 06978, Rep. of Korea)
  2.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Soongsil University, Seoul 06978, Rep. of Korea )



비접촉 초음파, 응결, 탄성계수, 관입 저항침 시험, 콘크리트
air-coupled ultrasonics, setting, modulus of elasticity, pin penetration test, concrete

1. 서 론

콘크리트는 건축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써 콘크리트의 품질이 구조물의 내구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콘크리트의 품질은 수화 초기의 굳지 않은 상태에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품질 관리를 위해 초기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Park et al. 2011; Lee and Yim 2017). 초기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이 혼합하여 화학 반응을 하면서 수화물을 생성하며, 이때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응결(setting) 및 경화(hardening)가 발생한다. 특히, 생성된 수화물은 빈 공극을 채워나가며 매트릭스를 형성하게 되고 매트릭스가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및 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이 급격하게 증가한다(Mindess and Young 2002).

현재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는 기준 방법으로는 관입 저항침 시험이 대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ASTM C 403). 관입 저항침 시험은 측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콘크리트가 아닌 습식 체가름을 한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환경적 변화에 영향을 받는 수화반응의 특성 상 실험실내에서 진행되는 관입 저항침 시험은 현장 조건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초기 굳지 않은 시멘트계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다양한 비파괴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초음파를 이용한 기술은 수화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입자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면, 음파의 전달 및 반사와 같은 파동의 거동이 변화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초음파 펄스 속도(ultrasonic pulse velocity, UPV)를 측정하여 기존 방법 적용의 한계가 있는 재료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Lee and Lee(2002)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이 점성이 커서 모르타르를 추출하기 어려운 경우, 초음파 펄스 속도 측정이 응결을 측정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화 반응의 미세구조 변화와 초음파의 속도 증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Lee et al.(2004)은 침투 이론(percolation theory)를 적용하여 신호를 분석하기도 하였다. 또한, 플라이 애쉬와 같은 혼화재의 혼입률에 따라 변화하는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려는 연구가 De Beile et al.(2008)에 의해 수행되었다. 플라이 애쉬의 혼입률의 증가는 초음파 펄스 속도의 증가 시점을 지연시키며 이는 강도 발현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초음파 펄스 속도 측정의 유효성 판단을 위해 다른 비파괴 기술을 적용하여 검증하려는 노력 또한 수행되었다. Lee and Lee(2020)는 거푸집 탈형 조건인 5 MPa의 압축 강도 예측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초음파 펄스 속도 측정 외에 성숙도법과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Yim et al.(2021)은 전기 비저항 측정으로 이를 대체하기도 하였다. 초음파의 전파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간편하고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지만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주보는 두 면에서의 접근이 필수적이다. 이는 제한적인 현장 접근성에 있어 여전히 측정에 대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초음파 반사 방법(ultrasonic wave reflection, UWR)은 시멘트계 재료로 구성된 매질의 한쪽 표면에 버퍼(buffer)를 부착하고 버퍼를 매개체로 초음파를 가진 및 계측하는 기법으로, 초음파 펄스 속도 측정에 대한 대안으로 한쪽 면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 고안되었다. 버퍼와 시멘트계 재료의 기계적 임피던스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계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반사량이 재료의 기계적 특성과 연관이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Öztürk et al. 2006; Yim et al. 2014). 더 나아가 반사 계수와 강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Subramaniam et al. 2002; Sun et al. 2005; Trtnik et al. 2013). 하지만 연구의 주의할 점으로 Suraneni et al.(2015)는 버퍼의 재료와 가진된 주파수에 따라서도 음파의 반사량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Yim et al.(2014)은 시멘트 수화반응의 주파수 의존성에 대해서 언급하기도 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조기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제안되었으나 여전히 표본을 추출한 실험실 규모의 실험 방법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현장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비접촉 초음파를 이용하여 응결 시점을 정의하는 연구가 Choi et al.(2016)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Choi et al.(2016)은 표면파가 액체 상태의 콘크리트에서는 전파되지 않고 응결이 진행됨에 따라 전파가 시작되어 누설된 표면파가 계측된다는 특징을 활용하여 비접촉 초음파를 통한 응결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기법은 한쪽 면에서의 측정과 계측을 수행하여 누설된 표면파의 계측 여부로 응결 시점을 정의 내리고자 하는 기법으로, 콘크리트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에 현장적용이 가능하다. Hong et al.(2020)은 성숙도를 통해 비접촉 초음파를 통한 응결 측정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Hong and Choi(2021)은 이를 통해 초속경 시멘트의 탄성계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와 공기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유사성을 이론적,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론적으로 탄성파의 거동을 해석하여 콘크리트의 기계적 특성인 탄성계수와 발생하는 표면파의 속도 상관관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비접촉 초음파로 정의한 종결이 의미하는 콘크리트의 기계적 특성인 탄성계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콘크리트 계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종결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적 우수성 입증뿐만 아니라 종결이 내포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기계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유체-고체 계면에서 전파되는 탄성파동의 특성

Fig. 1과 같이 유체-고체의 이차원 반 무한체 공간(joint-half space)에서 계면에 입사된 파동($F$)은 경계 조건에 따라 반사파($F'$)와 굴절파($P$파, $S$파)가 형성된다. 이때, 고체로 굴절된 P파($\Phi$), S파($Η$)와 유체 내에 전달되는 음파($P$)는 식(1)~(3)과 같이 파동 방정식으로 전개된다.

Fig. 1. Fluid-Solid joint half space diagram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1.png

(1)
$\Phi =[B]e^{-i\alpha y}e^{i\omega t-i\xi x}aty>0$

(2)
$H =[D]e^{-i\beta y}e^{i\omega t-i\xi x}aty>0$

(3)
$P=[Fe^{-i\gamma y}+F'e^{i\gamma y}]e^{i\omega t-i\xi x}aty<0$

여기서, $\Phi$와 $Η$는 각각 P파와 S파의 입자 속도이며 $P$는 유체의 압력을 나타낸다. 또한 $B,\: D,\: F,\: F'$은 파동의 진폭, $\omega$는 각주파수를 의미하며, $\alpha ,\:\beta ,\:\gamma ,\:\xi$는 파수(wave number)로써 다음 식(4)~(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즉, $\xi$는 계면에서 $x$축으로 전달되는 파동의 파수이다.

(4)
$\alpha =\sqrt{\dfrac{\omega^{2}}{C_{L}^{2}}-\xi^{2}}$

(5)
$\beta =\sqrt{\dfrac{\omega^{2}}{C_{T}^{2}}-\xi^{2}}$

(6)
$\gamma =\sqrt{\dfrac{\omega^{2}}{C_{Fluid}^{2}}-\xi^{2}}$

(7)
$\xi =\dfrac{\omega}{C}$

이때, $C_{L}$과 $C_{T}$는 고체에서의 P파와 S파의 속도, $C_{Fluid}$는 유체에서 음파의 속도, $C$는 계면에서 $x$축으로 전달되는 파동의 속도이다. 식(7)의 $C$가 누설표면파의 속도가 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고체에서의 파동 속도를 의미하는 $C_{L}$과 $C_{T}$는 재료의 밀도, 푸아송비 및 탄성계수로 정의된다.

유체-고체에서 형성되는 누설파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계면($y=0$)의 물리적 연속성(continuity) 조건을 다음식 (8)~(10)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1) 유체의 변위와 고체의 변위가 동일하며, 2) 유체에서의 압력은 고체에서의 축응력과 같으며, 3) 유체에서는 전단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8)
$u_{y,Fuid}=u_{y,Solid}$

at

$y=0$

(9)
$\sigma_{yy}=-P$

at

$y=0$

(10)
$\sigma_{xy}=0$

at

$y=0$

명시된 세 가지 적합조건을 식(1)~(3)에 대입하면 식(11)과 같은 특성 방정식(characteristic equation)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정의된 행렬 M(식(12))은 자명한 해(trivial solution)가 되지 않기 위해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 식(13)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Viktorov 1967; Achenbach 2012; Graff 2012). 표면파가 흘러갈 수 있는 조건은 $\alpha ,\:\beta$가 음수의 허수이고 $\gamma$가 양수의 허수를 갖을 때이며, 유체에서 반사되는 파동 $P$는 사라지고 표면파가 흘러가는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특히 $\xi$가 허수를 갖을 때 계면에서 전달되는 파동이 유체로 발산하는 누설파의 성질을 띄게 된다. 위와 같은 파수의 조건은 실험적으로 입사각의 조절로 만족시킬 수 있다.

(11)
$[M]\begin{bmatrix}B\\D\\F'\end{bmatrix}=\begin{bmatrix}-\dfrac{\gamma}{\rho_{fluid}\omega^{2}}\\-1\\0\end{bmatrix}[F]$

(12)
$[M]=\begin{bmatrix}-\alpha &\xi &-\dfrac{\gamma}{\rho_{fluid}\omega^{2}}\\ 2\mu\xi^{2}-\rho_{solid}\omega^{2}&2\mu\xi\beta &1 \\ 2\alpha\xi &\beta^{2}-\xi^{2}&0\end{bmatrix}$

(13)
$\det(M)=0$

식(13)의 조건에서 비점성 유체인 공기의 물리적 상수($\rho =1.2$ kg/m3, $C_{Fluid}=343$ m/s)를 대입하고 고체의 경우 콘크리트의 밀도($\rho =2,\:400$ kg/m3)와 푸아송비($\nu =0.2$)를 적용시킨 결과가 다음 Fig. 2와 같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1~50 GPa로 증가할 때, 식(13)을 만족시키는 $\xi$를 도출할 수 있으며, 두 가지 다른 해(solution)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약 900 m-1의 파수에서 한점으로 수렴하는 근의 경우 공기의 속도와 유사한 Scholte파의 발생조건을 의미한다. Scholte파는 음파의 속도와 유사하면서도 그 진폭이 매우 작아 실제 계측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Graff 2012). 두 번째로 약 110~820 m-1의 범위를 갖는 근의 경우 탄성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는 누설 표면파의 발생 조건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인 50 kHz($\omega =3.14\times 10^{5}$ rad/s)를 기반으로 도출된 파수($\xi$)를 식(7)에 대입하여 누설 표면파의 속도($C_{LR}$)를 도출할 수 있다.

Fig. 2. Results of angular wave number-det(M)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2.png

2.2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관계

공기-콘크리트 계면에서 발생하는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속도를 탄성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한 결과를 Fig. 3에 나타냈다. 표면파의 속도($C_{R}$)는 매질의 재료적 상수에 따라 식(14)로 정의된다.

Fig. 3. Relationship of Rayleigh wave and leaky-Rayleigh wave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3.png

(14)
$C_{R}=\dfrac{(0.87+1.12\nu)}{(1+\nu)}\sqrt{\dfrac{E}{2\rho(1+\nu)}}$

Fig. 3에서 확인이 가능하듯,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속도는 거의 유사하며 탄성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는 파동의 거동 또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속도 차이를 Fig. 4와 같이 계산한 결과, 공기-콘크리트 조건에서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오차는 0.2 % 미만이다. 즉, 공기 중으로 누설되는 누설 표면파의 속도를 계측하여 탄성계수로 변환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론식의 해석 결과 누설 표면파와 탄성계수의 상관관계는 다음 식(15)로 정의 내릴 수 있다.

(15)
$C_{LR}=379.63E_{d}^{0.4998}$

여기서, $E_{d}$는 (동)탄성계수이며 단위는 GPa이다.

3. 실험 개요

제안된 이론의 실험적 검증을 위하여 관입 저항침 시험과 제안한 비접촉 초음파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접촉 초음파 실험은 1)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 거동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구성과 2) 누설 표면파 측정으로 시멘트계 재료의 응결 시점에 탄성계수를 정의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 수행되었다.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비교 실험은 모르타르(A)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관입 저항침 시험이 동반되었다. 누설 표면파의 측정으로 기계적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실험은 시멘트 페이스트(B), 모르타르(C, D) 및 콘크리트(E)에서 각각 수행되었다. 시편 및 재료에 대한 설명은 Table 1과 같다.

Fig. 4. Difference between Rayleigh wave and leaky-Rayleigh wave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4.png

Table 1. Mix proportions and experimental plan

Specimens

Type of

cement

Type of specimen

S/a (%)

W/C (%)

Mix proportions (kg/m3)

Methods

Cement

Water

Fine aggregate

Coarse aggregate

Pin-penetration test

Air-coupled ultrasonic test

A

Type I

Mortar

-

35

849

297

1,018

-

O

O

B

Type I

Cement paste

-

50

1,168

584

-

-

-

O

C

Type I

Mortar

-

45

654

294

1,178

-

-

O

D

Type I

Mortar

-

50

602

301

1,204

-

-

O

E

Type III

Concrete

50

40

558

223

722

735

-

O

3.1 관입 저항침 시험

실험체의 모양과 크기가 관입 저항침 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세 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몰드를 준비하였으며, 실험체의 사진을 Fig. 5에 나타냈다. 관입 저항침 시험의 표준 규격인 지름 150 mm, 높이 150 mm의 실린더 실험체 이외에 세 변의 크기가 50 mm인 큐빅 몰드와 500 mm(가로)×300 mm(세로)×100 mm(높이)의 빔 실험체를 추가로 준비하였다. 모든 시험체에 대한 시험은 ASTM C 403(2016)에 따라 수행되었다. 측정 간격의 경우 실린더와 큐빅 실험체는 모르타르 배합 후 약 2시간 이내에, 빔 실험체는 초결 이후 측정이 시작되며 30분 간격으로 관입 저항 수치를 확인하였다.

Fig. 5. Prepared pin penetration tes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5.png

3.2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 비교 실험

Fig. 6은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비교 실험을 위한 실험 구성도이다. 실험은 모르타르 실험체에서 발생되는 표면파와 누설된 표면파를 계측하기 위해 50 k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진하는 Senscomp, PID-615089를 사용하였다. 표면파는 접촉식의 가속도계(PCB, 352C15)를 표면에 부착하여 측정하였으며, 누설 표면파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비접촉식 MEMS array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MEMS array(Knowles Acoustics, SPU0410LR5H-QB)는 8개의 센서가 5 mm의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내장된 증폭회로를 통하여 50 kHz의 주파수에서 가장 높은 46 dB의 민감도를 갖도록 설계하였다(Hong and Choi 2021). 계측된 신호는 Signal conditioner(PCB, 482C)에 의해 100배 증폭되어 Digitizer(NI USB-6366)를 통해 수집된다. 신호의 시간 분해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계측에 사용된 샘플링 주파수는 2 MHz이며, 한 신호당 총 2,000개의 데이터를 계측하게 설정하였다. 센서의 위치는 가진원으로부터 200 mm이며, 센서와 가진원은 실험체 표면으로부터 10 mm와 20 mm의 높이에 위치하였다. 가진원은 표면파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입사각 5°를 사용하였다. 신호는 처음 물을 혼합한 뒤 30분 이내로 총 24시간동안 모니터링 하였다. 신호의 계측은 미리 구성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5분 간격으로 자동으로 계측된다.

Fig. 6. Air-coupled ultrasonic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6.png

3.3 누설 표면파 계측을 통한 시멘트계 재료의 탄성계수 예측 실험

누설 표면파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센서를 따라 신호를 계측하기 때문에 신호의 공간 및 시간 정보를 알 수 있다. 신호의 공간 및 시간 정보는 측정 시간대의 파동의 전파속도로의 변환이 가능하다(Hong and Choi 2021). 유효 신호를 추출하기 위하여 적용된 Bandpass filter는 가진 주파수 대역만 추출하기 위하여 45 kHz~60 kHz의 대역폭으로 필터링 하였으며, Windowing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속도 분석에 사용된 시편은 총 4개로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Table 1).

4. 실험 결과 및 토의

4.1 관입 저항침 시험 결과

실험체의 모양과 크기에 따른 관입 저항침 실험 결과를 Fig. 7에 나타냈으며, 초결 및 종결 시간은 Table 2에 요약하였다. 초결의 경우 큐빅 실험체가, 종결의 경우 빔 실험체가 약 220분과 360분으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이때 초결은 실험체별로 최대 50분 종결은 최대 40분의 편차 확인이 가능하였다. 실험 결과, 동일한 재료를 동일한 수행자가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관입 저항 수치에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각각 다른 몰드의 경계조건이 압력을 받는 매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추가적으로 몰드 내 잔여 공간에 따라서 이전 수행된 관입 저항침 흔적이 이후 수행될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샘플을 채취하는 방식으로는 굳지 않은 시멘트계 재료의 초기 거동의 일관적으로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Fig. 7. Results of pin penetration test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7.png

Table 2. Results of pin penetration test

Specimens

Time (min)

Cylinder (standard)

Cubic

Beam

Initial setting

272

223

258

Final setting

387

405

362

4.2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 비교 실험 결과

Fig. 8은 A실험체에 대해서 재령별로 측정된 신호의 진폭을 색으로 표현한 그림(B-scan)으로 40 kHz의 고역필터(high pass filter)를 사용하여 저주파 잡음을 제거한 결과이다. x축은 가진기와 계측기 사이에서 음파가 도달한 시간(µs)을 y축은 재령(min)을 각각 의미한다. 진폭의 색이 밝게 표현된 부분이 신호가 계측됨을 나타내며 약 7시간 이전에는 계측되지 않다가 그 이후 표면파가 전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신호 계측이 시작된다. 이 계측 시작 시점이 비접촉 초음파를 통하여 정의할 수 있는 응결이다. 누설표면파의 계측 시작 시점은 신호의 누적 에너지가 24시간 양생 후 에너지를 기준으로 5 % 이상 높아지는 시점으로 규정하였다(Hong et al. 2020). 가속도계를 통해 측정한 표면파(Fig. 8(a))와 MEMS array를 통해 측정한 누설 표면파 결과(Fig. 8(b))를 비교하였을 때, 이론적 분석과 동일하게 동시에 계측이 시작됨을 확인할 수 있다. MEMS array를 통해 측정된 나머지 센서에서도 동일한 계측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과는 부록에 나타냈다.

Fig. 8. Initiation of the leaky-Rayleigh wave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8.png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계측은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으로 계측되기 때문에 초기 시멘트계 재료의 응결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자가 장기간 대기할 필요가 없다. 또한 관입 저항침 실험 중 핀에 대한 선택과 같은 수행자의 주관적 판단도 배제할 수 있기에 보다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누설 표면파의 경우, 비접촉 방식으로 계측되기 때문에 샘플을 채취하지 않고 타설된 재료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표면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블리딩과 같은 조건을 변수로 추가하여 비접촉 계측에 대한 추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4.3 누설 표면파 계측을 통한 시멘트계 재료의 탄성계수 예측 실험 결과

계측된 누설 표면파의 속도를 통하여 식(15)를 기반으로 도출된 탄성계수를 Fig. 9에 나타내었다. Fig. 9(a)는 서로 다른 배합의 4가지 실험체로부터 도출된 결과이며, 배합 및 수화반응 조건에 따라 누설 표면파의 계측 시점 및 속도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특히, 3종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시편(E)의 경우 응결 시작이 300분으로 다른 시편에 비하여 매우 빠르게 도출되었다. 각 시편의 응결 시작은 다르지만 Fig. 9(b)에 나타내었듯 누설 표면파의 측정이 시작된 시점에서의 탄성계수는 모든 시편에서 5~8 GPa 정도로 수렴하였다. 상응하는 누설 표면파의 속도는 속도는 800~1,100 m/s이다. 이는 서로 다른 배합 및 수화반응 조건으로 인해 탄성계수가 발현되는 양상은 다르지만 누설 표면파 계측으로 정의된 응결은 일정한 탄성계수의 범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관입 저항침 시험이 응결 시점에서의 정량적인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것과 달리 누설 표면파의 계측은 일관된 탄성계수로 정의될 수 있다.

Fig. 9. Results of air-coupled ultrasonic test

../../Resources/kci/JKCI.2022.34.1.051/fig9.png

5. 결 론

본 연구는 비접촉 초음파를 이용하여 누설 표면파 계측을 통해 시멘트계 재료의 초기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탄성파 이론에 의거하여 누설 표면파의 해석법을 도출한 결과와 실험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공기-콘크리트의 반 무한체 공간에서 탄성파 이론을 기반으로 수학적 해석법을 도출한 결과 0.2 % 미만의 오차로 누설 표면파와 표면파의 속도가 동일하였으며, 누설 표면파와 동탄성계수와의 상관 관계 수식을 제안하였다.

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는 기준 방법인 관입 저항침 시험 결과, 초결과 종결에서 최대 50분의 오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행자의 핀에 대한 주관적 선택 및 실험체의 크기 조건에 따라서 응결 시간에 대한 조건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표면파와 누설 표면파의 비교 실험 결과, 두 파동의 계측 시점이 동일 하였으며, 관입 저항침으로 정의된 종결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누설 표면파의 계측은 비접촉 방식을 활용하여 샘플 채취가 필요 없기에 수화반응 조건을 고려한 현장 계측에 많은 장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실험 결과, 누설 표면파의 계측 시작 시점에서의 속도는 800~1,100 m/s으로 이는 이론적으로 동탄성계수 5~8 GPa 범주로 확인된다. 따라서, 계측된 누설 표면파 속도를 통해 일정한 범주 내에서 시멘트계 재료의 응결을 정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부 록

Appendix. Initiation of leaky-Rayleigh wave from MEMS array

../../Resources/kci/JKCI.2022.34.1.051/Appendix.png

감사의 글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1R1A4A3030117)(No. 2021R1A6A3A13045886).

References

1 
Achenbach J. D., 2012, Wave Propagation in Elastic Solids, New York Elsevier, pp. 21-26Google Search
2 
ASTM C403/C403M-16 ,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Time of Setting of Concrete Mixtures by Penetration Resistanc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3 
Choi H., Song H., Tran Q., Roesler J. R., Popovics J. S., 2016, Contactless System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Early-Age Concrete Properties, Concrete International, Vol. 38, No. 9, pp. 35-41Google Search
4 
De Belie N., Grosse C., Baert G., 2008, Ultrasonic Transmission to Monitor Setting and Hardening of Fly Ash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 105, No. 3, pp. 221Google Search
5 
Graff K. F., 2012, Wave Motion in Elastic Solids, New York: Courier Corporation, pp. 311-393Google Search
6 
Hong J., Choi H., 2021, Monitoring Hardening Behavior of Cementitious Materials Using Contactless Ultrasonic Method, Sensors, Vol. 21, No. 10, pp. 3421Google Search
7 
Hong J., Kim R., Lee C. H., Choi H., 2020, Evaluation of Stiffening Behavior of Concrete Based on Contactless Ultrasonic System and Maturity Method,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62, pp. 120717DOI
8 
Lee H. J., Yim H. J., 2017, Setting Time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9, No. 4, pp. 361-369DOI
9 
Lee H. K., Lee K. M., 2002, Setting Assessment of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4, No. 6, pp. 973-981Google Search
10 
Lee H., Lee K., Kim Y., Yim H., Bae D., 2004, Ultrasonic In-Situ Monitoring of Setting Process of High-Performance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4, No. 4, pp. 631-640DOI
11 
Lee T., Lee J., 2020,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Model of Concrete by Nondestructive Ultrasonic Pulse Velocity Testing at Early Ag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52, pp. 119027DOI
12 
Mindess S., Young J. F., 2002, Concrete, Upper Saddle River, Vol. nj: prentice hallGoogle Search
13 
Öztürk T., Kroggel O., Grübl P., Popovics J., 2006, Improved Ultrasonic Wave Reflection Technique to Monitor the Setting of Cement-Based Materials, NDT & E International, Vol. 39, No. 4, pp. 258-263DOI
14 
Park S. H., Kim D. J., Hong S. I., Lee C. G., 2011, A Study on Applicability of Embedded Smart Sensor for Concrete Curing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2, pp. 219-224DOI
15 
Subramaniam K. V., Mohsen J., Shaw C., Shah S. P., 2002, Ultrasonic Technique for Monitoring Concrete Strength Gain at Early Age, Materials Journal, Vol. 99, No. 5, pp. 458-462Google Search
16 
Sun Z., Voigt T., Shah S. P., 2005, Temperature Effects on Strength Evaluation of Cement-Based Materials with Ultrasonic Wave Reflection Technique, Materials Journal, Vol. 102, No. 4, pp. 272-278Google Search
17 
Suraneni P., Struble L. J., Popovics J. S., Chung C.-W., 2015, Set Time Measurements of Self-Compacting Pastes and Concretes Using Ultrasonic Wave Reflection,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27, No. 1, pp. 04014117Google Search
18 
Trtnik G., Valič M. I., Turk G., 2013, Measurement of Setting Process of Cement Pastes Using Non-Destructive Ultrasonic Shear Wave Reflection Technique, NDT & E International, Vol. 56, pp. 65-75DOI
19 
Viktorov I., 1967, Rayleigh and Lamb Waves: Physical Theory and Applications, New York: Dover, pp. 311-393Google Search
20 
Yim H. J., Bae Y. H., Jun Y., 2021, Hydration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Early-Age Cement Paste with Ultrasonic Wave Velocity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303, pp. 124508Google Search
21 
Yim H. J., Kim J. H., Shah S. P., 2014, Ultrasonic Monitoring of the Setting of Cement-Based Materials: Frequency Dependenc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65, pp. 518-525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