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북대학교 건설방재공학부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angju 37224, Rep. of Korea)
  2.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콘크리트-에폭시 계면, 크리프, 온도, 파괴모드, 이미지분석
concrete-epoxy interface, creep, temperature, failure mode, image analysis

1. 서 론

구조물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 재료의 상호보완작용을 통해 우수한 내구성능을 발휘하는 구조물이다. 공용연수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로 인한 열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수・보강 기술은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 적용해 왔다. FRP(fiber-reinforced polymer) 시트를 활용한 외부 부착공법은 열화 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기법으로 건설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FRP 시트 외부 부착을 통한 구조물의 보강 효과는 1990년대 이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Mander et al. 1988; Chang et al. 2012; Kim et al. 2014, 2019, 2021; ACI 440.2R-17 2017). FRP 시트로 외부 부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은 FRP의 인장성능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와 레진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에폭시 사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에폭시 계면(concrete-epoxy interface, CEI) 거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Coronado and Lopez 2008)(Fig. 1).

FRP 시트와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의해 형성되며 구조물의 하중은 형성된 계면을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기존의 많은 연구는 실험을 통해 계면의 부착 강도 예측 모델을 정립하였다(Chen and Teng 2001; Toutanji et al. 2007). 최근에는 다양한 극한 환경 노출에 따른 부착 거동(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거동)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Kim et al. 2008; Gullapalli et al. 2009; Biscaia et al. 2014; Tartar and Hamilton 2016; Zhou et al. 2020). 하지만 아직 많은 연구에서 환경하중(예, 온도, 습도, 지속하중 등)에 노출된 FRP 부착 실험체의 거동에 관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FRP 부착 실험체의 부착 성능 변화에 관해서는 명확한 정립은 없는 상태이다.

Fig. 1. Concrete-epoxy interface (CEI) formed during strengthening by FRPs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1.png

FRP 시트를 사용하여 외부 부착한 실험체(예, 일면전단실험체)의 파괴모드를 분석하면 크게 세 개의 파괴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콘크리트면내파괴(cohesive failure in concrete, CC), 계면부착파괴(interfacial failure, IF), 에폭시면내파괴(cohesive failure in epoxy, CE)(Fig. 2(a)). 이와 유사하게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이 형성되는 휨 실험체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파괴모드가 관찰 된다(Fig. 2(b)).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에서 발견되는 3가지의 파괴모드는 에폭시, 콘크리트, FRP(일면전단실험체에 한함)의 재료적 물성치 뿐만 아니라 환경 영향(예, 온도, 습도, 지속하중 등)에 따라 결정된다. 그 중에서도 콘크리트면내파괴가 파괴모드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Smith and Teng 2001). 하지만 기존 문헌(Wan et al. 2006; Lau and Buyukozturk 2010; Dash et al. 2013; Jeong et al. 2016; Zhou et al. 2017, 2020)에 따르면 환경하중(예, 온도, 습도, 지속하중 등)에 의해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내구성이 저하됨에 따라 계면파괴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환경하중에 대하여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성능에 대한 연구가 실험적으로 많이 진행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계면의 부착성능에 대한 명확한 정립은 없는 상태이다.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 양상에 대한 정량적인 접근 또한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2종의 콘크리트-에폭시 실험체(예, 일면전단실험, 휨 실험체)를 제작하여 크리프 실험 및 크리프 실험 종료 후 전단강도실험 및 부착파괴에너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단강도실험 및 부착파괴에너지 실험 이후 형성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면 이미지를 활용하여 파괴모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계면의 부착강도 및 부착파괴에너지 측정을 통해 계면의 부착성능에 대한 환경하중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Fig. 2. Potential failure modes in concrete-epoxy interface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2.png

2. 실 험

2.1 실험 개요

CFRP(carbon fiber-reinforced polymer) 시트로 휨 보강된 보의 경우 계면의 전단응력이 휨거동을 지배하며 계면의 박리응력(CFRP 시트의 표면의 직각인 응력) 또한 계면전단응력만큼이나 응력전달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한다(Teng et al. 2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에 대한 환경하중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CFRP 시트를 부착한 일면전단실험체와 휨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지속하중을 가력 하는 크리프실험과 크리프실험 종료 후 부착강도 및 부착파괴에너지에 대한 변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전단 실험 및 휨 실험으로 총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일면전단실험체 제작은 압축강도 34 MPa(28일 강도)의 콘크리트 블록(127×127×254 mm)을 사용하여 총 24개(총 8개 종류의 실험체, 각 실험체별 3개)를 제작하였다. 25 mm 폭의 CFRP 시트를 에폭시에 함침 시켜 콘크리트 블록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며, 실험에서 사용된 CFRP 시트 및 에폭시의 재료 물성치는 Table 1에 정리하였다.

Table 1. Mechanical properties of CFRP and epoxy used in experimental program

Property

CFRP

Epoxy

Yield strength

-

54 MPa

Yield strain

-

2.5 %

Tensile strength

3.8 GPa

55.2 MPa

Elastic modulus

227 GPa

3.0 GPa

Ultimate elongation

1.67 %

3.5 %

Poisson’s ratio

-

0.4

Fig. 3. CEI specimens for experimental program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3.png

Table 2. Specimens used during experimental program

Specimen

type

Specimen ID

Number of specimens

Epoxy curing time (day)

Temperature during sustained loading or dwell period (°C)

Sustained loading or dwell period (day)

Single-lap shear (SLS) specimen

SLS-7d-30C

3

7

30

75

SLS-7d-30C-CR75d

3

30

75

SLS-7d-21C

3

21

31

SLS-7d-21C-CR30d

3

21

31

SLS-90d-30C

3

90

30

79

SLS-90d-30C-CR75d

3

30

79

SLS-90d-21C

3

21

153

SLS-90d-21C-CR150d

3

21

153

Three-point bending (TPB) specimen

TPB-7d

3

7

-

-

TPB-7d-30C-CR30d

2

30

30

TPB-7d-30C-CR75d

2

30

75

TPB-7d-30C-CR180d

2

30

180

TPB-7d-21C-CR30d

2

21

30

TPB-7d-21C-CR75d

2

21

75

TPB-7d-21C-CR180d

2

21

180

TPB-90d

3

90

-

-

TPB-90d-30C-CR30d

2

30

30

TPB-90d-30C-CR75d

2

30

75

TPB-90d-30C-CR180d

2

30

180

TPB-90d-21C-CR30d

2

21

30

TPB-90d-21C-CR75d

2

21

75

TPB-90d-21C-CR180d

2

21

180

휨 실험체는 일면전단실험체와 동일한 재료 물성치를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콘크리트 블록(152×152×255 mm) 두 개를 에폭시를 활용하여 붙여 152× 152×510 mm 크기의 휨 실험체 30개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조건 및 실험체 상세는 Fig. 3Table 2와 같다.

에폭시의 양생기간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지속 하중을 가력하기 전까지 항온・항습실(상대습도 35 %, 21 °C)에서 7일 또는 90일 동안 에폭시 양생 후 지속 하중을 도입하였다. 여기서 에폭시 양생기간은 본 실험과 함께 병행한 에폭시 열역학적 시험의 양생조건과 동일하게 설정 되었다(Jaipuriar 2011). 그리고 실험체명 A-B-C-D의 A는 실험체 종류(SLS는 일면전단실험체 그리고 TPB는 휨실험체), B는 에폭시 양생기간(7d는 7일 그리고 90d는 90일), C는 지속하중 동안의 온도(21C는 21 °C 그리고 30C는 30 °C), D는 지속하중기간(CR30d는 30일, CR75d는 75일, 그리고 CR180d는 180일, 여기서 CR은 CREEP의 앞 두 철자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D 항목이 없는 경우는 지속하중을 가력하지 않은 실험체이다.

2.2 크리프실험

제작한 2종의 실험체(예, 일면전단실험, 휨 실험체)에 다음과 같이 지속하중을 도입하였다(Fig. 4).

Fig. 4. Creep test setups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4.png

일면전단실험체에 지속 하중을 가력하기 위하여 Fig. 4(a)와 같이 강재 프레임과 스프링을 사용하여 지속 하중을 도입하였다. 지속 하중의 크기는 SLS-7d-21C 실험체의 계면전단강도실험 평균부착파괴하중의 47 %인 2.69 kN을 가력하였다. 지속하중 도입 후 일부 실험체는 상대습도 35 %, 21 °C의 조건에 노출시켰고 나머지 실험체는 상대습도 25 %, 30 °C의 조건에 노출시켰다(Fig. 4(a)).

휨 실험체의 경우 휨 실험체 중간에 스프링과 강재 프레임을 Fig. 4(b)와 같이 위치시켜 지속하중을 도입하였다. 지속하중의 크기는 4.67 kN이며 이는 TPB-7d 휨강도의 38 %, TPB-90d 휨강도의 45 %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스프링과 강재 프레임을 활용하여 휨 실험체에 지속하중을 도입하는 특성상(Fig. 4(b)) 하부에 위치한 휨 실험체가 상부 실험체의 자중만큼 더 많이 받게 되어 있다. 상부 실험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로 환산해 보면 18 N・m만큼 더 많이 가력되며 이는 스프링에 의한 휨모멘트(534 N・m)의 3.3 % 수준이다. 따라서 크리프 변형결과에 대해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실험체의 휨모멘트 차이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2.3 전단강도실험 및 부착파괴에너지 실험

일면전단실험체의 전단강도 실험은 크리프 실험 기간 종료 후 시행되었다. 지속하중시간 종료 후 일면전단실험체의 지속 하중을 제거하고 전단강도실험을 실시하여 온도와 지속 하중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Fig. 5는 계면전단 실험의 상세를 보여주고 있다.

휨 실험체에 대한 부착파괴에너지 실험은 크리프 실험 종료 후 지속하중을 제거하고 시행되었다. 여기서 부착파괴에너지는 균열의 발생, 진전, 그리고 파괴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필요한 단위면적당 외부에너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파괴에너지 측정을 위해 휨 실험체에 대한 3점 휨 실험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파괴에너지 추정은 Hillerborg(1985)의 the work-of- fracture method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휨 실험체에 대한 3점 휨 실험은 RILEM(2007)에서 제시한 방법을 준용하였다. 부착파괴에너지는 3점 휨 실험의 하중과-처짐 그래프로부터 얻어지며 다음 식(1)에 의해 산정된다.

(1)
$G_{F}=\dfrac{W_{F}}{B\left(D-a_{0}\right)}$

Fig. 5. Bond test setup for single-lap shear specimen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5.png

여기서, $G_{F}$는 부착파괴에너지, $W_{F}$는 총 에너지, 그리고 $B\left(D-a_{0}\right)$는 부착면의 크기이다. 실험방법 및 부착파괴에너지 산정의 자세한 내용은 RILEM(2007)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RILEM(2007)에서 제시한 방법은 부착파괴에너지 측정 시험 중 동적인 영향으로 균열이 진전되는 영향을 최소화한 준정적 시험이며 이를 위해 저속으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실험 매뉴얼(RILEM 2007)에서는 3점 휨 시험 하부 중앙에 만든 notch의 균열 폭 증가 속도에 따른 시험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Fig. 6은 크리프 실험 종료 후 휨 실험체에 시행한 부착파괴에너지 실험 상세를 보여주고 있다.

2.4 실험결과

Table 3은 일면전단실험체 그룹별 부착강도 평균을 나타내고 있으며 지속 하중에 따른 효과를 백분율(%)로 보여주고 있다. Table 3의 백분율(%) 양(+)의 의미는 지속하중에 의해 부착강도가 증가하였음을 나타내며 음(-)의 의미는 감소를 의미한다.

Fig. 6. Fracture test setup for three-point bending specimen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6.png

Table 3. Bond test results of single-lap shear specimens

Specimen ID

Average $P_{u}$

(kN)

Sustained loading effect (%)*

SLS-7d-30C

(a) 5.55

SLS-7d-30C-CR75d

(b) 6.33

(b/a) +14

SLS-7d-21C

(c) 5.14

SLS-7d-21C-CR30d

(d) 6.32

(d/c) +23

SLS-90d-30C

(e) 5.79

SLS-90d-30C-CR75d

(f) 6.51

(f/e) +12

SLS-90d-21C

(g) 5.86

SLS-90d-21C-CR150d

(h) 6.60

(h/g) +12

*Notation example: $b/a=(b-a)/a\times 100$

모든 지속하중실험체의 부착강도가 대조실험군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본 연구 실험체에 한에서는 지속 하중이 부착강도 증가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가장 큰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실험체는 SLS-7d- 21C-CR30d(23 % 증가)이며 이 실험체의 지속하중기간이 가장 짧다(31일). Fig. 7은 지속하중기간에 대한 지속하중 효과 변화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부착강도에 대한 지속 하중의 효과는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이는 지속하중이 부착강도 증가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나 지속하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Fig. 7). 3.2절의 파괴 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론해 보면 지속 하중 기간 증가로 인한 계면의 부착강도 저하로 판단된다. 자세한 내용은 3.2절에 기술하도록 하겠다.

Table 4는 휨 실험체 그룹별 평균 부착파괴에너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지속 하중 효과는 백분율(%)로 보여주고 있다. Fig. 8은 지속하중기간에 따른 지속하중 효과를 도식화하였다. Fig. 8에 따르면 지속하중기간동안 온도 효과와 상관없이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파괴에너지와 지속하중효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지속하중기간 증가에 따른 부착파괴에너지 감소를 의미한다. 그리고 에폭시 양생기간이 90일인 실험체의 경우 7일 양생기간의 실험체보다 더 높은 부착파괴에너지를 보여주고 있다.

Fig. 7. Sustained loading effect on peak load as function of sustained loading duration in single-lap shear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7.png

Fig. 8. Sustained loading effect on total fracture energy as function of sustained loading duration in three-point bending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8.png

지속하중기간 증가에 대한 실험체의 부착성능(일면전단실험체 경우 부착강도, 휨 실험체 경우 콘크리트-에폭시 계면 부착파괴에너지) 저하에 대한 원인은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면 이미지 분석을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Table 4. Total fracture energy, $G_{F}$, for three-point bending specimens

Specimen ID

Creep duration

(days)

$G_{F}$

(N/m)

Average

$G_{F}$

(N/m)

Sustained loading effect

(%)*

TPB-7d-1

-

119

(a) 115

-

TPB-7d-2

110

TPB-7d-3

115

TPB-7d-30C-CR30d-1

32

108

(b) 103

(b/a)-10

TPB-7d-30C-CR30d-2

98

TPB-7d-21C-CR30d-1

31

96

(c) 95

(c/a)-17

TPB-7d-21C-CR30d-2

93

TPB-7d-30C-CR75d-1

77

78

(d) 84

(d/a)-27

TPB-7d-30C-CR75d-2

90

TPB-7d-21C-CR75d-1

77

70

(e) 72

(e/a)-37

TPB-7d-21C-CR75d-2

74

TPB-7d-30C-CR180d-1

181

77

(f) 80

(f/a)-30

TPB-7d-30C-CR180d-2

82

TPB-7d-21C-CR180d-1

180

79

(g) 78

(g/a)-32

TPB-7d-21C-CR180d-2

96

TPB-90d-1

-

136

(h) 130

-

TPB-90d-2

119

TPB-90d-3

134

TPB-90d-30C-CR30d-1

32

122

(i) 119

(i/h)-8

TPB-90d-30C-CR30d-2

115

TPB-90d-21C-CR30d-1

31

101

(j) 105

(j/h)-19

TPB-90d-21C-CR30d-2

108

TPB-90d-30C-CR75d-1

75

113

(k) 102

(k/h)-22

TPB-90d-30C-CR75d-2

90

TPB-90d-21C-CR75d-1

76

103

(l) 100

(l/h)-23

TPB-90d-21C-CR75d-2

97

TPB-90d-30C-CR180d-1

182

110

(m) 110

(m/h)-15

TPB-90d-30C-CR180d-2

109

TPB-90d-21C-CR180d-1

181

93

(n) 96

(m/h)-26

TPB-90d-21C-CR180d-2

99

*Notation example: $b/a=(b-a)/a\times 100$

3. 콘크리트-에폭시 계면 이미지 정량적 분석

3.1 콘크리트-에폭시 계면 파괴면 분석

콘크리트-에폭시 계면 실험체 2종에 대한 전단실험 및 휨 실험 종료 후, 모든 실험체를 대상으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 파괴 면의 디지털 이미지를 분석하여 파괴 면 양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서론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 양상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균열 진행이 콘크리트 내에서 발생하게 되면 콘크리트면내파괴(cohesive failure in concrete, CC), 에폭시 내에서 발생하게 되면 에폭시면내파괴(cohesive failure in epoxy, CE), 마지막으로 에폭시와 콘크리트 사이 계면에서 발생하게 되면 계면부착파괴(interfacial failure, IF)이다.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면 자료를 포토샵(photosho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전처리 : 포토샵 기능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잡티와 같은 노이즈를 제거. 같은 위치에 정사각형 셀을 형성하기 위해 이미지를 다음 Fig. 9와 같이 축회전 함.

Fig. 9. Process of determining modes in concrete-epoxy of three-point bending (TPB) specimen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9.png

• Step 1 : 파괴면이 아닌 부분은 제거. 6.25 mm 정사각형 셀을 파괴면에 형성.

• Step 2 : 포토샵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능(예, Subtract from Sample)을 이용하여 에폭시를 제외한 면을 선택 후 선택한 면을 제거.

• Step 3 : 픽셀 개수를 측정하는 포토샵 기능을 이용하여 셀 면적에 대한 에폭시 면적 비율을 계산.

• Step 4 : 동일 위치의 에폭시 면적 비율을 비교하여 파괴 양상을 결정.

• Step 5 : 전체 셀 개수에 대한 파괴모드(CC, CE, IF) 셀 개수의 비율을 계산하여 파괴면 파괴양상을 정량화.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분석과정에 관한 추가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부착파괴에너지 실험 후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은 두 개의 파괴면이 생기며 이를 디지털 이미지화 하면 Fig. 9와 같이 SIDE A와 SIDE B가 된다. 이때 두 개의 파괴면을 나란히 위치시켜 사진을 찍게 되면 파괴면의 동일한 위치는 두 파괴면 사이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된다. 그래서 둘 중 하나의 파괴면을 그림과 축회전 후 정사각형 셀을 형성하면 Step 3 과정의 동일 위치의 에폭시 면적 비율 비교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동일위치 셀의 에폭시 면적 비율 비교를 통해 그 위치의 파괴모드를 결정하게 된다(Step 4). 여기서 동일한 위치를 찾는 것은 디지털이미지 상의 골재파괴 형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일면전단실험체의 경우 전단강도실험 후 콘크리트 면과 부착된 CFRP 시트면을 뒤집은 후 Fig. 10의 전처리 사진과 같이 디지털 이미지화 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파괴면 부분을 그림과 같이 축회전을 시켜야만 Step 3 과정의 에폭시 면적 비율 비교가 용이하게 된다. 포토샵은 픽셀단위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므로 픽셀과 실제길이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5 mm 선을 긋고 촬영하였다(see preprocessing step in Fig. 9). 포토샵에서 제공하는 색골라내기(color picker) 기능을 이용하여 파괴면상의 에폭시를 제외한 면(예, 골재 등)을 선택한 후 ‘Subtract from Sample’ 기능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파괴 모드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결정하였다.

• 콘크리트면내파괴(CC) : 에폭시 면적 비율이 양쪽 모두 10 % 이하인 경우.

• 에폭시면내파괴(CE) : 에폭시 면적 비율이 양쪽 모두 90 % 이상인 경우.

• 계면부착파괴(IF): 콘크리트면내파괴 및 에폭시면내파괴가 아닌 나머지 경우.

여기서, 콘크리트면내파괴의 경우 파괴면이 콘크리트 내에서 형성되므로 에폭시 면적이 이론적으로는 0 %가 되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10 %까지는 콘크리트면내파괴로 정하였다. 반대로 에폭시면내파괴의 경우는 이론상 에폭시 면적이 100 %가 되어야 하지만 본 파괴모드 분석에서는 90 %까지는 에폭시면내파괴로 정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경우는 계면부착파괴로 하였다. 파괴면 분석 시, 파괴모드는 에폭시 면적 비율의 기준값 및 분석면적의 셀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Fig. 10. Process of determining modes in concrete-epoxy interface of single-lap shear (SLS) specimen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10.png

3.2 콘크리트-에폭시 계면 이미지 정량적 분석

일면전단실험체의 파괴 면 분석 결과, 대부분의 파괴 형태는 콘크리트면내파괴(CC) 및 계면부착파괴(IF)이며 에폭시면내파괴(CE)는 1 % 이내였다. 다음 Fig. 11은 지속 하중 기간에 따른 계면부착파괴(IF)(Fig. 11(a))와 콘크리트면내파괴(CC)(Fig. 11(b))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에폭시 양생기간과 온도는 고려하지 않았다.

지속 하중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에폭시 계면파괴 양상이 달라짐을 Fig. 11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즉 지속하중기간 초기에서는 콘크리트면내파괴(CC)가 많이 관찰 되었다면 지속하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계면부착파괴(IF) 빈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부착면 파괴 양상이 콘크리트면내파괴(CC)에서 계면부착파괴(IF)로 전이가 발생한 것이며 이는 지속 하중에 의한 부착강도 저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면전단실험체의 경우 최대부착강도에 대하여 양(+)의 지속하중 효과가 확인 되었으나 지속하중 기간이 증가하면서 양(+)의 지속하중 효과는 감소하였다(Fig. 7). 이는 지속 하중 기간 초기 에폭시 응력완화로 인해 최대부착파괴하중 증가가 발생하였으나 지속 하중 기간 증가는 에폭시 응력완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점점 감소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Jeong et al. 2016).

휨 실험체의 경우, Fig. 12는 지속하중기간에 따른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파괴에너지($G_{F}$)와 계면부착파괴모드(IF)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면 분석 결과, 휨 실험체의 경우 지속하중을 가력하지 않은 실험체에서는 콘크리트면내파괴(CC)가 주로 관찰되었다(분석면적의 90 %가 콘크리트면내파괴(CC)). 하지만 크리프 실험체의 경우는 대조실험체에 비해 계면부착파괴가 높은 비율(30 % 이상)로 관찰되었다. 휨 실험체에 대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파괴에너지와 파괴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에 대한 지속하중의 존재는 계면의 부착강도를 저하시키며 이는 계면의 부착파괴(IF)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 균열에 대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저항성(부착파괴에너지)을 저하시킨다.

Fig. 11. Percent of failure modes of single-lap shear specimens versus sustained loading duration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11.png

Fig. 12. Percent of interfacial failure (IF) modes and total fracture energy ($G_{F}$) of three-point bending specimens versus sustained loading duration

../../Resources/kci/JKCI.2022.34.1.013/fig12.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환경하중(온도+지속하중)에 대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파괴에너지와 부착강도 변화를 분석하고 측정한 파괴면 이미지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모드 변화를 정량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일면전단실험체의 경우, 크리프 실험체의 최대부착파괴하중이 대조 실험체보다 높았다. 하지만 최대부착파괴하중에 대한 지속하중의 긍정적인 효과는 지속하중기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2) 휨 실험체의 경우, 지속하중에 의해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파괴에너지는 저하 되었다. 이는 지속하중에 의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강도 저하에 따른 것을 추정된다.

3) 지속하중기간의 증가는 일면전단실험체의 부착강도 및 휨 실험체의 부착파괴에너지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4)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면 이미지 분석에 따르면, 지속하중기간의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부착성능(예, 일면전단실험체의 최대부착파괴하중, 휨 실험체의 파괴에너지) 저하는 파괴양상의 변화(콘크리트면내파괴→계면부착파괴)와 함께 진행되었다. 휨 실험체의 경우 지속하중에 의한 부착파괴에너지는 대조실험체에 비해 평균 22 % 저하되었으며 부착파괴양상은 대조실험체에 비해 계면부착파괴 비율이 30 % 이상 관찰되었다.

5) 본 연구에서 사용한 콘크리트-에폭시 파괴면 분석 방법은 환경하중(온도+지속하중)에 대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파괴양상 변화 및 부착성능 평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0학년도 경북대학교 신임교수정착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ACI Committee 440 , 2017,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RP Systems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ACI 440.2R-17),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ACI)Google Search
2 
Biscaia H., Silva M., Chastre C., 2014, An Experimental Study of GFRP-to-Concrete Interfaces Submitted to Humidity Cycles, Composite Structures, Vol. 10, No. 1, pp. 354-368DOI
3 
Chang C. H., Kwon M. H., Kim J. S., Joo C. H., 2012, Numerical Study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RC Columns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Vol. 16, No. 3, pp. 117-127DOI
4 
Chen J., Teng J., 2001, Anchorage Strength Models for FRP and Steel Plates Bonded to Concret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27, No. 7, pp. 784-791DOI
5 
Coronado C. A., Andalusia Lopez M. A., 2008,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Concrete-Epoxy Interfaces,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20, No. 4, pp. 303-312DOI
6 
Dash S., Jeong Y., Lopez M. M., Bakis C., 2013, Effects of Moisture, Temperature and Sustained Loading on Concrete-FRP Bond Performance, Vol.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ber-reinforced polymer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frprcs-11, No. guimaraesGoogle Search
7 
Gullapalli A., Lee J., Lopez M. M., Bakis C. E., 2009, Sustained Loading and Temperature Response of Fiber-Reinforced Polymer-Concrete Bon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2131, pp. 155-162DOI
8 
Hillerborg A., 1985, Results of Three Comparative Test Series for Determining the Fracture Energy, GF of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18, No. 5, pp. 407-413DOI
9 
Jaipuriar A., 2011,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of Creep Behavior in Ambient Temperature Cured Thermoset Resin, Master’s Dissertation, Vol.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Google Search
10 
Jeong. Y., Lee J., Kim W., 2016, Combined Effects of Sustained Load and Temperature on Pull-Off Strength and Creep Response between CFRP Sheet and Concre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5, pp. 535-544DOI
11 
Kim J. S., Seo H. S., Lim J. H., Kwon M. H., 2014, An Performance Evaluation of Seismic Retrofitted Column Using FRP Composite Reinforcement for Rapid Retrofitt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6, No. 1, pp. 47-55DOI
12 
Kim M. J., Kim H. G., Lee C. Y., Jo M. S., Kim K. H., 2021,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of RC Columns Reinforced with Hybrid FRP Shee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6, pp. 611-618Google Search
13 
Kim S., Kim K., Han K., Song S., Park S., 2008, A Prediction of the Long-Term Deflection of RC Beams Externally Bonded with CFRP and GFRP,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6, pp. 765-771DOI
14 
Lau D., Buyukozturk O., 2010, Fracture Characterization of Concrete/Epoxy Interface Affected by Moisture, Mechanics of Materials, Vol. 42, No. 12, pp. 1031-1042DOI
15 
Mander J., Priestley M., Park R., 1988, Theoretical Stress Strain Model for Confined Concret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14, No. 8, pp. 1804-1826DOI
16 
RILEM , 2007, Indirect Tests for Stress-Crack Opening Curve: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Stress-Crack Opening Curve for Concrete in Tension - Final Report of RILEM Technical Committee TC 187-SOC, Bagneux, France: RILEM Publications SARL, pp. 13-29Google Search
17 
Smith S. T., Teng J. G., 2001, Interfacial Stresses in Plated Beams, Engineering Structures, Vol. 23, No. 7, pp. 857-871DOI
18 
Tartar J., Hamilton H., 2016, Bond Durability Factor for Externally Bonded CFRP Systems in Concrete,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20, No. 1, pp. 04015027DOI
19 
Teng J., Chen J., Smith S., Lam L., 2001, FRP Strengthened Structures, Wiley, Vol. hoboken, No. new jerseyGoogle Search
20 
Toutanji H., Saxena P., Zhao L., Ooi T., 2007, Prediction of Interfacial Bond Failure of FRP-Concrete Surface,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11, No. 4, pp. 427-436DOI
21 
Wan B., Petrou M. F., Harries K. A., 2006,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Water on the Durability of Bond between CFRP and Concrete,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s and Composites, Vol. 25, No. 8, pp. 875-890DOI
22 
Zhou A., Buyukozturk O., Lau D., 2017, Debonding of Concrete-Epoxy Interface under the Coupled Effect of Moisture and Sustained Load,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80, pp. 287-297DOI
23 
Zhou A., Qiu Q., Chow C. L., Lau D., 2020, Interfacial Performance of Aramid, Basalt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Bonded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Vol.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131, No. 105802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