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구조연구실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Railroad Structure Research Departmen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16105, Rep. of Korea)



장기처짐, 제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
long-term deflection, control, prestressed concrete, bridge girders,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1. 서 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구조적 효율성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보, 교량, 고층건물, 각종 저장탱크 및 격납구조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중・소 교량의 경우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설계와 시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와 PS 강재가 갖는 시간의존적 재료성질로 인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인 거동특성을 보이며 재료성질이 서로 다른 콘크리트, PS 강재, 그리고 철근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선형 거동특성이 상당히 복잡하다.

즉 콘크리트의 재료적 비선형성, 콘크리트와 PS 강재 및 철근의 상호작용, PS 강재의 프리스트레싱 효과, 그리고 크리프, 건조수축, 재령 증가에 따른 강도 증가, 릴랙세이션 등 시간의존적 특성으로 인한 응력의 재분배와 시공방법에 의한 구조계의 변화로 인해서 그 거동특성이 매우 복잡하게 나타난다(Collins and Mitchell 1991; Choi et al. 1999; Yoo et al. 2005; Neville 2011)(6,5,20,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경우 시간의존적 거동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해 과다한 처짐과 바닥판 균열발생 등 사용성 관련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설계가정으로 인해 초기 솟음(camber)이 부적합한 경우 교량의 주행성 저하가 발생하고 구조물의 취약부가 되어 설계수명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솟음의 거동을 분석해 보면 크리프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거더의 재령에 따른 거동 차이에 기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장기변형에 대한 해석은 재하재령, 하중의 지속기간에 대한 크리프계수, 노출재령과 노출기간에 기초한 건조수축 변형률, 그리고 긴장력의 릴랙세이션을 기초로 수행되고 있다(Yang 2006; Yon and Kim 2013)(17,19).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의 메커니즘은 온도, 습도 등 외부적 요인과 사용되는 재료 및 배합비 등의 변동성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최근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시간변형 예측의 신뢰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예측 모델로 통계적으로 가중 선형 결합하여 예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중모델 평균화 기법 등이 제안되었다(Cha and Jin 2019)(3).

이 연구의 목적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파악하고 발생하고 있는 과도한 장기처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기법을 위해 탄성, 비탄성, 그리고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하중 및 변형 관계와 균열의 진행, 콘크리트와 PS 강재 및 철근의 응력과 변형률 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해석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제안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을 위한 처짐제어 해석과 처짐제어 기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Fig. 1과 같이 콘크리트와 PS 강재 및 철근으로 구성되는 복합재료이고, 비선형 재료모델은 이들 각 구성재료가 중첩된 것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해석모델은 콘크리트와의 부착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이어야 한다.

Fig. 1. Prestressed concrete element model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1.png

이 연구에서는 2축 응력 상태에 대한 직교 이방성 재료모델에 의해서 균열이 발생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요소의 거동특성을 표현하고, 이를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확장한 기존의 검증된 프로그램(Kim et al. 2001, 2002a, 2002b, 2010; Kim 2018)(10-14)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확장하였다.

2. 수정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 요소

2.1 개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파악하고 장기처짐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서 그 동안 개발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RCAHEST(Reinforced Concrete Analysis in Higher Evaluation System Technology)(Kim et al. 2001, 2002a, 2002b, 2010; Kim 2018)(10-14)를 수정하고 확장하였다. RCAHEST는 미국 버클리 대학의 Taylor(2000)(17)가 개발한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FEAP ver. 7.2에 저자 등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평면응력요소, 경계면요소 그리고 접합요소 등을 이식하여 모듈화한 프로그램이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비선형 재료모델은 이미 발표된 재료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시간의존적 거동을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2.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 요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요소는 Fig. 2(a)와 같이 회전자유도를 갖는 면요소와 Kirchhoff의 이론에 근거한 판요소를 중첩하여 각 절점에서 6개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는 4절점 평면 쉘요소이다(Kim et al. 2002a, 2002b)(11,12).

Fig. 2. Prestressed concrete shell element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2.png

Fig. 2(b)와 같이 3차원 탄성 정식화를 근거한 요소를 바탕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재료적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층상화기법이 도입되었다. 즉, 부재의 크기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쉘은 두께방향의 변형은 무시될 수 있으며 쉘요소의 응력상태를 두께방향의 변형을 무시한 2차원 응력상태로 가정하고, 면외방향의 휨모멘트는 각 층에서의 응력을 두께방향으로 적분하고 이를 다시 중립축에 관한 모멘트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요소의 두께방향 적분은 층요소의 정식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Fig. 2(b)와 같이 쉘요소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두께를 갖는 여러 개의 콘크리트 층과 PS 강재 및 철근 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 대해 재료의 구성방정식을 대입하여 응력을 평가함으로써 단면력을 구하였다. PS 강재와 철근은 요소 내에 균등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하고 등가의 분산 분포된 PS 강재와 철근 층으로 생각하며 축방향력만 전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방법에 따르면 재료성질이 임의로 변화해도 취급이 가능하므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경우 PS 강재 및 철근의 위치나 콘크리트와 PS 강재 및 철근의 재료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고려할 수 있다.

3. 시간의존적 거동의 고려

3.1 개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기 처짐 및 단면력 변화를 유발하는 주요한 요인은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 및 PS 강재의 릴랙세이션 등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검증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비선형 재료모델(Kim et al. 2002a)(11)을 시간의존적 거동을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확장하였으며 해석 알고리즘은 Fig. 3과 같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비역학적 변형률을 ACI 209 모델(2002)(2)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과정에서 임의 시간단계에서의 총 응력(total stress)을 만족하는 총 변형률(total strain)에 포함시켜 수렴과정을 통하는 근사해법을 사용하였다.

Fig. 3. Flow chart for time-dependent behavior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3.png

재령 $t_{0}$일에 어떤 일정한 하중이 재하되었을 때, $t$일에서의 총 변형률 $\epsilon(t)$는 다음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epsilon(t)=\epsilon^{m}(t_{0})+\epsilon^{nm}(t,\: t_{0})$

(2)
$\epsilon(t)=\epsilon^{m}(t_{0})+\epsilon_{c}(t,\: t_{0})+\epsilon_{s}(t,\: t_{0})+\epsilon_{a}(t,\: t_{0})$

여기서, $\epsilon^{m}(t_{0})$는 하중재하 즉시 발생하는 역학적 변형률, $\epsilon^{nm}(t,\: t_{0})$는 $t-t_{0}$일 동안 발생하는 비역학적 변형률, $\epsilon_{c}(t,\: t_{0})$는 $t- t_{0}$일 동안 크리프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률, $\epsilon_{s}(t,\: t_{0})$는 $t- t_{0}$일 동안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률, 그리고 $\epsilon_{a}(t,\: t_{0})$는 $t- t_{0}$일 동안 강도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률이다.

3.2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해석 모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시간의존적 거동은 주로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의 영향을 받고, 시간경과에 따라 시멘트 및 골재의 종류, 배합비, 양생 및 긴장력을 도입할 때까지의 콘크리트 재령, 그리고 주변 외부환경 등에 의해 크기가 결정된다.

이러한 시간의존적 거동을 수치적으로 모사하기 위해서 응력변화 이력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크리프 컴플라이언스(creep compliance) 전개를 이용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시간 $t_{0}$에서부터 $t$까지 변화하는 응력상태에서 최종 크리프는 다음과 같은 적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epsilon_{c}(t)=\int_{t_{0}}^{t}C(t,\:\tau)df(\tau)$

여기서, $C(t,\:\tau)$는 시간 $\tau$에서 재하된 단위 하중에 의해 시간 $t$에 발생한 크리프를 나타내는 크리프 컴플라이언스, 그리고 $f(\tau)$는 재령 $\tau$일에서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이다.

또한 시간 $t_{0}$에서 $t_{n}$까지의 크리프 변형 $\epsilon_{c,\: n}$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epsilon_{c,\: n}=\sum_{i=0}^{n-1}\Delta f_{i}\bullet c(t_{n},\: t_{i})$

식(4)를 사용하여 현재의 변형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전 단계의 모든 응력의 이력이 저장되어야 하므로 수치적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Dirichlet 급수를 이용하여 크리프 컴플라이언스를 다음 식과 같이 근사화시켰다.

(5)
$C(t,\: t_{0})=\sum_{j=1}^{m}a_{j}(t_{0})[1-e^{-\lambda_{j}(t-t_{0})}]$

여기서, $a_{j}(t_{0})$는 하중이 재하될 당시 재령에 따른 상수, $\lambda_{j}$는 지연시간(retardation time)의 역수로 크리프 곡선의 형상에 관련된 상수, 그리고 $m$은 4를 사용하였다.

$n$번째 시간 구간에서 발생한 크리프에 의한 변형의 증분은 다음 식과 같다.

(6)
$\Delta\epsilon_{c}=\sum_{j=1}^{m}A_{j,\: n}(1-e^{-\lambda_{j}\bullet\Delta t_{n}})$

(7)
$A_{j,\: n}=\sum_{i=0}^{n-1}\Delta f_{i}\bullet a_{j}(f_{i})\bullet e^{-\lambda_{j}(t_{n-1}-t_{i})}$

임의의 시간 $t_{n}$에서 발생하는 크리프 변형의 증분은 이전 구간에서의 응력 증분 $\Delta f_{n-1}$과 $A_{j,\: n-1}$만 저장해 놓으면 계산할 수 있다.

총 크리프 변형은 시간 적분으로 나타내면 다음 식과 같다.

(8)
$\epsilon_{c}(t)=\int_{0}^{t}C(t,\:\tau)\dfrac{df(\tau)}{d\tau}d\tau$

그리고 함수 $y_{j}(t)$를 $t /\lambda_{j}$와 같이 정의하면 식(8)을 다음 식과 변환할 수 있다.

(9)
$\epsilon_{c}(t)=\int_{0}^{t}\sum_{j=1}^{m}a_{j}(\tau)[1-e^{-y_{i}(t)+y_{i}(\tau)}]\dfrac{df(\tau)}{dy_{i}(\tau)}\dfrac{dy_{i}(\tau)}{d\tau}d\tau$

식(9)를 수치적분하면 크리프 변형률을 구할 수 있으며 Ketchum(1986)(8)의 실용적인 순환식을 적용하였으며 시간영역을 필요한 N개로 분할하고 각 시간 구간 내에서 응력 및 재료상수가 선형적으로 변화한다고 가정하였다.

ACI 209 모델(2002)(2)의 크리프 계수를 사용하면 크리프 컴플라이언스는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0)
$C(t,\:\tau)=\dfrac{(t-\tau)^{0.60}}{10+(t-\tau)^{0.60}}\phi_{\infty}\dfrac{1}{E_{c}(\tau)}$

이를 Dirichlet 급수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dfrac{(t-\tau)^{0.60}}{10+(t-\tau)^{0.60}}\dfrac{\phi_{\infty}}{E_{c}(\tau)}=\sum_{j=1}^{m}a_{j}(\tau)\bullet[1-e^{-(t-\tau)/\lambda_{j}}]$

해석에서는 $m$을 4로 하였으며 지연시간을 재료의 특성에 따른 입력치로 간주하고 재하시 재령에 따른 상수값 $a_{j}(\tau)$은 곡선적합기법을 적용한 최소제곱회귀분석으로부터 구하였다.

건조수축은 시간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하는 시간의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콘크리트의 또 하나의 시간의존적 특성인 크리프에 의해 건조수축응력이 이완된다(Kim and Cho 2002)(9).

ACI 209 모델(2002)(2)에 의하면 7일 동안 습윤양생된 보통 콘크리트의 시간에 따른 건조수축변형률 $\epsilon_{sh}(t,\: t_{s})$는 다음 식과 같다.

(12)
$\epsilon_{sh}(t,\: t_{s})=\dfrac{(t- t_{s})}{35+(t-t_{s})}(\epsilon_{sh})_{u}$

(13)
$(\epsilon_{sh})_{u}= 780\gamma_{sh}\times 10^{-6}(m/m)$

(14)
$\gamma_{sh}=\gamma_{cp}\bullet\gamma_{\lambda}\bullet\gamma_{m}\bullet\gamma_{s}\bullet\gamma_{\phi}\bullet\gamma_{c}\bullet\gamma_{a}$

여기서, $t$는 콘크리트 타설 이후의 경과시간, $t_{s}$는 타설 후 건조수축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습윤양생기간, $\gamma_{sh}$는 건조수축 보정계수, $\gamma_{cp}$는 건조수축에 대한 초기 습윤양생계수, $\gamma_{\lambda}$는 상대습도계수, $\gamma_{m}$는 부재크기계수, $\gamma_{s}$는 슬럼프치계수, $\gamma_{\phi}$는 잔골재비계수, $\gamma_{c}$는 시멘트량계수, 그리고 $\gamma_{a}$는 공기량계수이다.

3.3 PS 강재의 시간의존적 해석 모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시간의존적 거동에서 고려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요인은 PS 강재의 릴랙세이션, 즉 응력이완이다.

이 연구에서는 긴장력 도입 후 각 PS 강재의 변형률 증분은 긴장력 도입 전 길이에 대한 현재와 전 해석시간에서의 PS 강재 길이의 변화비로 계산하고 임의의 해석시간에서 전체 PS 강재 변형률을 계산하여 PS 강재의 응력-변형률 관계로부터 응력을 산정하였다. 이 응력에 전단계 해석까지의 응력이완을 제함으로써 최종적인 PS 강재의 응력을 계산하였고, 응력이완의 계산은 Magura et al.(1964)(15)의 제안한 식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15)
$\dfrac{f_{s}}{f_{si}}=1-\dfrac{\log t}{c}(\dfrac{f_{si}}{f_{sy}}-0.55),\:\dfrac{f_{si}}{f_{sy}}\ge 0.55$

여기서, $f_{s}$는 긴장 후 시간 $t$에서의 응력, $f_{si}$는 긴장 직후의 초기 응력, $f_{sy}$는 항복응력, $c$는 보통 PS 강재일 때 10이고 저릴랙세이션 PS 강재일 때 45이다.

위의 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그리고 외력 때문에 응력의 변화가 발생하여 수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응력변화를 받는 PS 강재의 응력이완을 모든 non-relaxation 효과가 각 시간단계의 끝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산정하였다(Hernandez and Gamble 1975)(7).

4. 검증 예 및 고찰

이 연구에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기처짐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한 해석기법과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Fig. 4Table 1에 나타난 것과 같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실험체(Chiu et al. 1996)(4)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이 실험체를 해석 예로 채택한 이유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시간 경과에 따른 크리프, 건조수축의 영향과 처짐제어를 정량화시킨 실험이기 때문이다.

해석하고자 하는 보는 150 mm×200 mm×4,000 mm의 단순보이며, 중앙 경간으로부터 400 mm 위치의 두 지점에서 하중을 재하하였다. PS 강재는 보의 상연에서 110 mm 위치에 직선으로 배치하였으며 각 실험체의 매개변수는 Table 2와 같다.

Fig. 4. Prestressed concrete beam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4.png

Table 1. Material properties

Item

Values for concrete

Age of test (day)

3

7

28

Cylinder strength $f_{c}$ (MPa)

27.4

33.7

45.7

Modulus of elasticity $E_{c}$ (MPa)

19,123

21,967

23,536

Item

Values for prestressing tendon

Diameter (mm)

12.83

Cross section area (mm2)

100.27

Yield loading (kN)

173.5

Failure stress (MPa)

1,931.8

Rate loose (%)

0.54

Table 2. 테이블

Item

SB13B

SB13C

SB17B

SB17F

Initial prestress (kN)

97.3

100.7

107.9

101.5

Age (day)

3

3

7

7

Loading (kN)

2.87

2.86

2.86

2.69

Factors

Creep

Yes

Yes

Yes

Yes

Shrinkage

Yes

No

Yes

Yes

Control

No

No

No

Yes

Fig. 5. Finite element mesh for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5.png

검증 실험체는 프리스트레스와 재하하중을 갖는 기본적인 SB13B, 수분의 손실을 억제하여 기본적인 크리프 조건을 모사한 SB13C, 하중제거 시의 크리프 회복변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117일 후에 재하하중을 제거한 SB17B, 그리고 장기처짐의 제어기법을 적용한 SB17F의 4종류이다.

Fig. 6. Verification of analytical model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6.png

이 실험체들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해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를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요소를 사용하여 Fig. 5와 같이 10개의 요소로 분할하였으며 각 요소는 10개의 층으로 나누었다. 이때 요소의 크기는 유한요소 민감도 해석을 통해 결정하였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요소는 4절점을 갖는 등매개요소로서 2개의 적분점에 대해서 변형률과 응력을 산정하도록 하였다.

Fig. 6은 이 연구의 해석모델을 적용한 유한요소해석과 실험에 의한 중앙부의 처짐-시간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거동에서는 해석결과가 실험결과를 다소 낮게 평가하고 있으나 장기거동 등 전반적으로는 실험결과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결과분석에서 처짐-시간 곡선 이외에 콘크리트 및 PS 강재의 변형률 분포 등 구조물의 상세 거동에 대한 자료를 입수할 수 없어서 이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를 할 수 없었으나, 이와 같은 비교를 통하여 이 연구의 해석결과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전반적으로 잘 추적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과도한 장기처짐 제어를 위해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등에 대응하는 외력을 산정하고 이를 PS 강재를 통하여 제어하중으로 도입하는 개념의 검증을 위해 추가적인 실험이 수행되었다. 즉 크리프와 건조수축 등에 의한 처짐에 반대되는 변형을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도입하는 원리이다.

과도한 장기처짐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제어하중을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에서는 장기처짐에 대응하는 외력을 Aalami(1990)(1)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포스트텐션닝 해석을 위한 하중평형법에 근거하여 산정하였다.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은 비탄성이고, 하중평형법에서는 비탄성 등가 절점하중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는 증분 비탄성 변형률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제어하중은 PS 강재의 다양한 배치형상에 따라 조정하고, 이는 반복법에 의해 산정하였다(Chiu et al. 1996)(4).

Table 3. Loading time and magnitude of applied control force for specimen SB17F

Time (day)

Applied prestress (kN)

22.14

10.9

29.86

6.1

37.58

9.8

49.13

8.1

Fig. 7. Cumulation of control force and time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7.png

Fig. 8. Process of deflection control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8.png

이러한 제어기법의 검증 실험체 SB17F는 기본적으로 프리스트레스와 재하하중을 갖으며 목표처짐은 3.5 mm, 최대허용처짐은 3.6 mm로 하였고, 하중평형법에 근거하여 처짐제어를 50일까지 수행하였다. 이 기간동안 제어하중은 Table 3Fig. 7과 같이 4번에 걸쳐 누적되어 적용되었다.

실험에서는 목표 처짐한계에 따라 처짐계측 시스템과 처짐제어 해석을 통해 대응되는 프리스트레싱 힘을 산정하고 이를 Fig. 7과 같이 추가로 도입하여 처짐을 제어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9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해석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Fig. 8과 같은 처짐제어 절차를 근거로 해석적 검증을 수행하여 Fig. 9에 함께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 9(a)는 SB17F 실험체 중앙부의 처짐-시간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처짐제어기간인 50일 전까지 목표처짐과 최대허용처짐를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가 모두 만족하고 있다. 그리고 Fig. 9(b)는 처짐제어를 수행한 SB17F 실험체와 처짐제어를 수행하지 않은 SB17B 실험체의 결과를 함께 나타내고 있으며 처짐제어의 수행 여부에 따라 목표치를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B17F 실험체가 제어하중 도입 중단 이후에도 SB17B 실험체에 비해 장기처짐의 증가율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처짐제어 기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과도한 처짐이 발생할 때 이에 대응하는 PS 강재의 긴장력을 산정하고 도입함으로써 장기처짐을 허용범위 내에서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련의 해석결과와 실험결과와의 비교로부터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포함한 비선형 거동특성을 적절히 평가하고 있으며, 개발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요소를 이식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을 이용함으로써, 해석적 방법에 의한 신축 또는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기처짐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Fig. 9. Verification of control method

../../Resources/kci/JKCI.2021.33.5.501/fig9.png

5. 결 론

이 연구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기처짐 제어를 위한 비선형해석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비선형 모델을 적용한 유한요소프로그램(RCAHEST)에 시간의존적 거동을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확장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실험체에 대한 비선형해석을 수행하였고, 실험결과와 비교・검토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쉘요소는 층상화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두께방향에 대한 균열의 진행과 콘크리트, PS 강재 및 철근의 응력 등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었으며, 균열발생에서부터 PS 강재 및 철근의 항복 및 파괴에 이르는 모든 응력상태에 대한 비선형 거동을 비교적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었다.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을 위한 처짐제어 해석과 처짐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처짐제어 기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때 장기처짐의 제어는 초기재령에서의 제어하중의 적용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개발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기법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응력 분포 및 변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기처짐 등을 제대로 평가함으로써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의 장기처짐 제어 등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이 연구를 통해 검증된 처짐제어 기법에 근거하여 내부제어 PS 강재와 외부제어 PS 강재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기처짐 제어 등에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크리프나 건조수축은 사용하는 각 재료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구조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형이기 때문에 국내의 재료 및 환경에 적합한 예측을 할 수 있는 많은 실험적・해석적 연구가 추가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요연구사업인 PSC 거더 크리프 과대솟음 제어 핵심기술개발 과제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alami B. O., 1990, Load Balancing: A Comprehensive Solution to Post-Tensioning, ACI Structural Journal, Vol. 87, No. 6, pp. 662-670Google Search
2 
ACI Committee 209 , 2002, 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ACI 209R-92) (Reapproved 2008),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3 
Cha S. L., Jin S. S., 2019, Multi-Model Averaging Method for Time-Dependent Deformation in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6, pp. 545-555Google Search
4 
Chiu H. S., Chern J. C., Chang K. C., 1996, Long-Term Deflection Control in Cantilever Pestressed Concrete Bridge II: Experimental Verifi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Vol. 122, No. 6, pp. 495-501Google Search
5 
Choi H. T., Yoon Y. S., Lee M. S., 199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reep and Shrinkage for the Segment Concrete in PSC Box Girder Bridg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1, No. 3, pp. 23-34Google Search
6 
Collins M. P., Mitchell P., 1991,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Prentice HallGoogle Search
7 
Hernandez H. D., Gamble W. L., 1975, Time-Dependent Prestress Losses in Pre-Tensioned Concrete Construction Structural Research Series No 417, Urbana Illinois: Civil Engineering Studies University of IllinoisGoogle Search
8 
Ketchum M. A., 1986, Redistribution of Stresses in Segmentally Erected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UCB/SSM Report No 86-07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Google Search
9 
Kim H. S., Cho S. H., 2002, Shrinkage Stress Analysis of Concrete Slab with Shrinkage Strip in Multi-Story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4, No. 5, pp. 726-733DOI
10 
Kim T. H., 2018,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Using an Extended Damage Index,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0, No. 2, pp. 167-177DOI
11 
Kim T. H., Kim S. J., Choi J. H., Shin H. M., 2002a,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of Prestressed Concrete Sh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2, No. 4-a, pp. 769-778Google Search
12 
Kim T. H., Lee K. M., Shin H. M., 2002b, Nonlinea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hells Using Layered Elements with Drilling Degree of Freedom, ACI Structural Journal, Vol. 99, No. 4, pp. 418-426Google Search
13 
Kim T. H., Lee S. C., Shin H. M., 2001, Analytical Study on Fatigu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under Earthquak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3, No. 4, pp. 389-396Google Search
14 
Kim T. H., Park J. G., Choi J. H., Shin H. M., 2010,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hell Structures,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Vol. 34, No. 6, pp. 685-702Google Search
15 
Magura D. D., Sozen M. A., Siess C. P., 1964, A Study of Stress Relaxation in Prestressing Reinforcement, PCI Journal, Vol. 9, No. 2, pp. 13-57Google Search
16 
Neville A. M., 2011, Properties of Concrete 5th ed, Pearson Harlow EnglandGoogle Search
17 
Taylor R. L., 2000, FEAP -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Version 7.2 Users Manual, Vol. volume 1 and volume 2Google Search
18 
Yang I. H., 2006, Moment Control of Pier in Concrete Bridges Constructed by Free Cantilever Method,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8, No. 6, pp. 711-720DOI
19 
Yon J. H., Kim H. J., 2013, Numerical Evaluation of Stress Loss Rates and Adjusting Coefficient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onstraints of Concrete Long-Term De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5, No. 4, pp. 429-438DOI
20 
Yoo S. W., Soh Y. S., Cho M. J., Koh K. T., Jung S. H., 2005, Flexural Analysis of RC Beam Considering Autogenous Shrinkage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7, No. 4, pp. 621-628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