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2.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3.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바텀애시 골재, 압축강도 발현, 단위용적중량, fib 모델
bottom ash aggregat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unit weight, fib model

1. 서 론

최근 콘크리트 산업에서는 환경적・사회적인 문제로 천연 보통중량 골재(normal-weight aggregate, NWA)의 수급이 어려워지고 있다(Lee 2019)(15). 이에 따라 최근 몇몇 연구자들(Choi et al. 2015; Lee and Yang 2018; Ji et al. 2019)(1,14,5)에 의해 화력발전소의 산업부산물인 바텀애시 골재(bottom ash aggregate, BAA)의 재활용을 통하여 NWA의 대체적용 가능성이 평가되고 있다. NWA에 대비하여 절건밀도가 약 40~70 % 수준인 BAA는 구성성분으로서 SiO2와 Al2O3가 전체 성분의 60 % 이상이며, Fe2O3가 약 15 %, CaO가 약 10 % 정도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BAA와 시멘트 수화 생성물인 수산화칼슘이 상온에서 서서히 화합하여 불용성이 안정된 규산칼슘 등을 생성하는 포졸란 반응성을 보이면서 콘크리트의 장기강도와 내구성 향상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다(Kim 2015)(11). 한편, BAA의 입자크기를 13 mm 이상의 굵은 골재로 적용하는 경우 다공성 및 높은 흡수율로 인해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압축강도 발현에도 불리할 수 있음이 또한 지적되고 있다(Kim 2010)(12).

최근 미국에서는 인공골재로 이용되는 팽창성 혈암 대체재로서 BAA의 활용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Ji et al. 2019)(5). BAA를 사용한 경량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고정하중 감소를 통하여 수직・수평 부재의 단면을 줄일 수 있으며, 건축물 내부 활용공간의 증가 및 구조물의 밑면전단력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하지만 BAA의 높은 다공성 및 낮은 밀도는 콘크리트 초기 압축강도 발현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이는 거푸집 탈형의 지연으로 연결될 수 있다(Han et al. 2002)(4). 하지만, BAA를 골재로 활용한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 발현 및 포졸란 반응에 의한 장기강도 향상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실용적으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자료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BA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에 대한 경험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0여 배합을 다음과 같은 변수 조건에서 준비하였다: BAA를 NWA로 치환한 비율;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W/C$), 잔골재율($S/a$) 및 단위수량($W$). BA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을 합리적 수준에서 평가하기 위해 fib 모델식(2010; 2018)(2)에서 강도 발현 기울기를 수정하였다.

2. 실험상세

2.1 사용재료

모든 배합에서 사용된 결합재는 KS L 5201(KATS 2016)(6)의 규격을 만족하는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이다. 사용된 OPC의 밀도는 3,150 kg/$m^{3}$이며, 비표면적은 3,360 c$m^{2}$/g이다. BAA는 건식처리 방식에 의해 발생된 저회를 파쇄한 것으로서 Fig.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잔골재는 2 mm 이하와 2~5 mm의 크기를, 굵은 골재는 5~10 mm와 10~20 mm의 크기로 선별하여 생산한 것을 사용하였다. BAA의 표면형상은 다소 불규칙적으로 거친 표면을 보였다. BAA의 내부 및 외부에는 공극이 다량 분포하는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특히 BAA의 내부는 Fig. 2에 나타낸바와 같이 메소 및 매크로 크기의 공극들의 비율이 NWA에 비해 약 9.5배 높았다.

Fig. 1. Sha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of the bottom ash aggregates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1.png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s used

Aggregate type

Bulk density

(g/c$m^{3}$)

Surface dry density

(g/c$m^{3}$)

Oven dry density

(g/c$m^{3}$)

Absorption

(%)

Fineness modulus

BAA

Coarse aggregate

1.19

1.84

1.73

6.1

6.58

Fine aggregate

0.84

2.08

2.03

4.9

2.93

NWA

Coarse aggregate

1.48

2.62

2.59

1.1

6.73

Fine aggregate

1.58

2.60

2.55

2.1

2.87

Fig. 2. Pore size distribution of bottom ash and normal aggregates used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2.png

Table 1에는 배합실험에 사용된 골재의 주요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BAA의 절건밀도는 잔골재 및 굵은 골재 각각 2.03 g/c$m^{3}$와 1.73 g/c$m^{3}$으로 NWA의 절건밀도 대비 약 21~33 % 수준이다. BAA의 겉보기 밀도와 흡수율은 잔골재가 각각 0.84 g/c$m^{3}$ 및 4.9 %이며, 굵은 골재는 각각 1.19 g/c$m^{3}$ 및 6.1 %이다. BAA의 혼합질량비 및 조립률은 KS F 2527 (KATS 2018)(10)의 표준입도에 적합한 혼합비를 검토하여 사용하였다. 잔골재의 조립률은 2 mm 이하와 2~5 mm 범위의 골재를 60:40으로 혼입하였을 때 2.93으로 가장 근접하였으며, 굵은 골재의 조립률은 5~10 mm와 10~20 mm 범위의 골재를 20:80으로 혼입하였을 때 6.58로 표준입도와 가장 근접하였다(Ha et al. 2020).

2.2 배합상세

BA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총 50개의 콘크리트 배합실험을 수행하였다(Table 2). 그룹 Ⅰ에서의 주요 변수는 $W/C$와 골재 종류에 따른 영향으로서 그룹 Ⅰ의 $W/C$는 37.5 %와 45 %를 적용하였다. 이때, BAA 잔골재 대비 천연잔골재의 치환율($R_{S}$)은 0 %, 25 %, 50 % 및 100 %로 변화하였으며, BAA 굵은 골재 대비 천연 굵은 골재의 치환율($R_{G}$)는 0 % 및 100 %로 적용하였다. 그룹 Ⅱ는 단위수량($W$)과 $R_{S}$에 따른 영향을 평가로서 $W$은 165~205 kg/$m^{3}$로 변화하였으며, $R_{S}$는 0 %, 50 % 및 100 %로 변화하였다. 그룹 Ⅲ의 주요변수는 잔골재율($S/a$)로서 $W$은 185 kg/$m^{3}$로 고정하고 $S/a$는 40 %, 42.5 %, 45 %, 47.5 % 및 50 %까지 변화하였다. Table 2에 나타난 시험체 명에서 첫 문자에는 설계강도의 상대적 수준(Group Ⅰ)과 단위수량(Group Ⅱ) 그리고 잔골재율(Group Ⅲ)과 같이 배합의 주요 인자를 포함하는 그룹명이며, 두 번째 및 세 번째 숫자는 BAA를 대체한 천연잔골재와 천연 굵은 골재의 치환율을 각각 의미한다.

2.3 배합 및 측정방법

BAA는 NWA대비 높은 흡수특성으로 인하여 골재의 흡수율 및 함수상태에 따라 배합 시 영향을 미치게 된다(Sim and Yang 2010)(16). 따라서 콘크리트 배합에서 사용된 모든 골재는 표면건조 내부포화상태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BAA는 실험 전 72시간의 프리웨팅(prewetting)을 실시하였으며, 48시간동안 그늘에서 건조 후 함수율 측정을 통하여 표면수를 보정하였다. 콘크리트 배합은 골재의 건비빔 후 시멘트를 넣어 3분 동안 건비빔을 진행한 이후 습비빔을 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공기량은 각각 KS F 2402(KATS 2017a)(8) 및 KS F 2421(KATS 2016b)(7)에 따라 측정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KS F 2405(KATS 2017b)(9)에 따라 Φ 100 mm×200 mm 공시체를 이용하여 그룹 Ⅰ은 재령 3, 7, 28, 56 및 91일에 측정하였으며, 그룹 Ⅱ와 그룹 Ⅲ은 재령 3, 7, 28 및 91일에 측정하였다.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rho_{c}$)은 재령 28일 시험체를 100±5 °C의 온도에서 질량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후 질량과 부피 측정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28일 압축강도

BAA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f_{ck}$)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BAA 콘크리트의 $f_{ck}$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순서는 $W/C$, $R_{G}$ 및 $R_{S}$순으로 나타났다. 그룹 1에서$W/C$가 45 %인 경우 $f_{ck}$는 23.0~42.9 MPa에 있었으며, $W/C$가 37.5 %인 경우에는 $f_{ck}$는 28.3~48.8 MPa에 있었다. 그룹Ⅰ에서 $R_{G}$=100 %인 콘크리트의 $f_{ck}$는 $R_{G}$=0 %인 동일 조건의 콘크리트에 비해 약 60 % 증가하였다. 이는 굵은 골재로서 BAA를 사용하는 경우 $W/C$ 값에 관계없이 $f_{ck}$의 증가에 불리함을 의미한다. 또한 그룹 1에서 $R_{S}$=100 %인 콘크리트의 $f_{ck}$는 $R_{S}$=0 %인 동일 조건의 콘크리트에 비해 높았는데, 그 비율은 $W/C$=45 %일 때 $R_{G}$=100 %인 경우에는 8 %, $R_{G}$=0 %인 경우에는 16 % 높았으며, $W/C$=37.5 %일 때에는 이들 값은 각각 4 %와 8 % 높았다. 결과적으로 Fig.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BAA는 잔골재로 사용하는 것이 굵은 골재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콘크리트 강도발현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였다. 외력에 의한 균열의 진전이 주로 굵은 골재로 사용된 BAA를 관통하는 경우 콘크리트 압축강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19)(15).

Table 2. Mixture proportions and test results of the concrete specimens

Group

Specimens

RS

(%)

RG

(%)

W/C

(%)

S/a

(%)

Unit content (kg/$m^{3}$)

Experimental results

W

C

Fine aggregate

Coarse aggregate

Slump

(mm)

Air content

(%)

Oven-dry density

(kg/$m^{3}$)

Compressive strength (MPa) at different days

FS

FB

CG

CB

3

7

28

56

91

L-0-0

0

0

45.0

45.0

175

389

0

614

0

654

120

5.5

1,703

15.0

18.3

23.3

25.4

27.9

L-25-0

25

0

189

460

90

5

1,742

16.2

18.6

23.8

25.3

27.8

L-50-0

50

0

378

307

60

5.2

1,773

17.1

21.0

27.0

29.1

36.0

L-75-0

75

0

567

153

75

5.4

1,784

16.2

21.2

27.7

31

34.2

L-100-0

100

0

756

0

65

5

1,823

18.1

24.5

27.5

29.2

31.2

L-0-100

0

100

0

614

932

0

140

5.2

2,015

21.3

28.1

36.4

39.8

42.1

L-25-100

25

100

189

460

165

5.3

2,097

28

36.6

41.2

43.1

47.4

L-50-100

50

100

378

307

120

5.5

2,135

30.5

37.6

42.9

45.5

48.7

L-75-100

75

100

567

153

130

5

2,162

28.0

35.3

40.9

42.6

46.1

L-100-100

100

100

768

0

115

4.7

2,173

23.0

31.6

39.2

40.2

44.7

M-0-0

0

0

37.5

467

0

590

0

629

115

5.8

1,775

18.9

24.2

29.5

30.1

31.0

M-25-0

25

0

182

443

80

5.9

1,780

21.3

24.1

28.3

30.9

34.5

M-50-0

50

0

364

295

50

5.4

1,800

21.3

24.6

28.8

32.7

34.8

M-75-0

75

0

546

148

85

5.5

1,828

22.6

25.9

30.3

30.9

35.4

M-100-0

100

0

728

0

65

5

1,852

21.2

25.8

30.6

34.5

38

M-0-100

0

100

0

590

896

0

200

5

2,066

25.1

33.4

42.8

46

48.7

M-25-100

25

100

182

443

165

5.5

2,158

29.7

35.3

42.4

46.4

53.6

M-50-100

50

100

364

295

140

4.8

2,184

30.6

39.2

46.3

52.3

56.7

M-75-100

75

100

546

148

105

5

2,218

31.2

40.5

48.8

52.2

56.6

M-100-100

100

100

739

0

95

4.7

2,220

27.1

33.2

46.1

48.0

48.9

165-0-100

0

100

45.0

45.0

165

367

0

640

971

0

45

5

2,161

20.5

22.4

29.5

-

30.7

165-50-100

50

100

394

320

180

5

2,115

18.0

25.8

30.0

32.3

165-100-100

100

100

788

0

210

4.8

2,156

14.2

21.5

37.0

40.5

175-0-100

0

100

175

389

0

623

946

90

4.7

2,044

20.1

26.9

27.5

29.6

175-50-100

50

100

384

312

170

5

2,078

17.8

23.7

31.0

33.0

175-100-100

100

100

768

0

185

4.5

2,184

15.4

20.2

32.4

34.7

185-0-100

0

100

185

411

0

607

922

155

5.5

2,055

20.1

23.5

26.8

29.6

185-50-100

50

100

374

304

195

4.8

2,117

18.6

24.9

27.5

30.2

185-100-100

100

100

748

0

200

4.8

2,208

16.1

21.0

28.6

32.8

195-0-100

0

100

195

433

0

591

897

165

4.7

2,057

20.2

24.0

27.1

30.4

195-50-100

50

100

364

296

160

4.6

2,111

19.8

23.5

27.2

30.8

195-100-100

100

100

728

0

200

5.3

2,116

17.8

21.2

30.5

33.4

205-0-100

0

100

205

456

0

575

872

165

5

1,990

18.5

25.4

25.7

28.4

205-50-100

50

100

354

287

180

4.2

2,087

19.6

25.4

26.7

28.7

205-100-100

100

100

708

0

220

4.8

2,124

18.6

22.8

26.8

29.5

40-0-100

0

100

45.0

40.0

185

411

0

540

1,005

0

55

5.2

2,094

23.5

29.6

35.2

38.7

40-50-100

50

100

333

270

120

4.7

2,093

24.5

30.6

38.3

40.3

40-100-100

100

100

665

0

70

4.8

2,213

25.4

32.8

38.7

41.1

42.5-0-100

0

100

42.5

0

573

963

140

5.1

1,982

23.3

26.8

27.2

32.8

42.5-50-100

50

100

353

287

85

4.5

2,117

26.9

34.4

35.8

36.9

42.5-100-100

100

100

707

0

190

5.8

2,050

17.1

23.9

38.9

39.8

45-0-100

0

100

45.0

0

607

922

155

5.5

2,055

20.1

23.5

26.8

29.6

45-50-100

50

100

374

304

195

4.8

2,117

20.8

26.6

30.3

31.9

45-100-100

100

100

748

0

200

4.8

2,208

16.1

21.0

28.6

32.8

47.5-0-100

0

100

47.5

0

641

880

175

5.4

1,965

21.6

26.5

33.3

34.2

47.5-50-100

50

100

395

320

180

5

2,048

22.5

30.0

33.6

34.6

47.5-100-100

100

100

790

0

205

4.2

2,040

16.5

21.7

35.4

38.8

50-0-100

0

100

50.0

0

675

838

220

4.6

1,873

18.9

23.2

24.1

24.8

50-50-100

50

100

416

337

245

5.2

1,945

18.2

22.6

29.7

30.1

50-100-100

100

100

831

0

215

5.3

2,028

14.5

21.5

30.3

32.3

Note: $R_{S}$: natural sand content ratio for the replacement of fine bottom ash aggregates; $R_{G}$: natural crushed granite content ratio for the replacement of coarse bottom ash aggregates; $W /B$: water-to-binder ratio by weight; $S/a$: sand-to-total aggregate ratio by volume; $W$: water; $C$: ordinary portland cement; $F_{S}$: natural sand; $F_{B}$: bottom ash fine aggregate; $C_{G}$: natural crushed granite; $C_{B}$: bottom ash coarse aggregate

Fig. 3. Effect of test parameters on $f_{ck}$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3.png

그룹 Ⅱ에서는 $W/C$가 45 %일 때 $W$의 변화에 따른 $f_{ck}$를 평가하였다(Fig. 3(b)). BAA 콘크리트의 $f_{ck}$는 동일 $W/C$에서 $W$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율은$R_{S}$에 의해 다소 영향을 받았다. BAA 콘크리트에서 $W$가 165 kg/$m^{3}$에서 205 kg/$m^{3}$로 증가할 때 $R_{S}$=0 %와 50 %일 때에 $f_{ck}$ 변화율은 각각 12 %와 13 %로서 비교적 작았다. 또한, $W$가 175 kg/$m^{3}$에서 205 kg/$m^{3}$로 증가할 때 $R_{S}$=100 %인 경우 $f_{ck}$ 변화율은 7 %이었다. 즉, BAA 콘크리트의 $f_{ck}$에 대한 $W$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크지 않았다. 그룹 Ⅲ에서는 $W/C$ 45 %와 $W$ 185 kg/$m^{3}$일 때 $S/a$가 40~50 %까지 변화에 따른 $f_{ck}$를 평가하였다(Fig. 3(c)). BAA 콘크리트에서 $S/a$가 40 %와 42.5 %에서는 $R_{S}$가 50 %와 100 %인 경우 비슷한 수준의 $f_{ck}$를 보였다. 더불어, $S/a$가 45 %와 50 % 범위에서도 $R_{S}$ 값에 관계없이 다소의 편차는 있지만 비슷한 수준의 $f_{ck}$를 보였다. 반면 $S/a$가 42.5 %에서 45 %로 증가할 때 $f_{ck}$의 감소율은 $R_{S}$가 50 %와 100 %의 경우 각각 16 %와 27 %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유독 $S/a$가 42.5 %에서 45 %로 증가할 때 $f_{ck}$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Neville(2011)에 따르면 $f_{ck}$는 골재의 단위용적비($V_{g}$)가 0 %에서 20 %로 감소할 때 감소하다가 40 %를 기점으로 다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Fig. 4에는 BAA 콘크리트의 $f_{ck}$에 대한 $V_{g}$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V_{g}$가 60 %에서 68 %의 범위에서 $f_{ck}$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유독 $S/a$가 42.5 %에서 45%로 증가할 때 $f_{ck}$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S/a$의 영향이 $f_{ck}$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음을 고려하면, 이 원인에 대한 명확한 규명 자료는 제시하기 어렵다.

BAA 콘크리트에서 $R_{S}$ 및 $R_{G}$ 치환율의 증가는 $\rho_{c}$를 증가시키며, 이는 결과적으로 $f_{ck}$에 영향을 미쳤다. 즉, BA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R_{S}$ 및 $R_{G}$ 치환율의 영향은 $\rho_{c}$의 영향으로 대신 고려될 수 있다(Neville 2011). 따라서 BAA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대한 이들 영향변수들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한 결과 $f_{ck}$는 다음 식(1)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Fig. 5).

(1)
$\dfrac{f_{ck}}{f_{0}}=1.2\operatorname Exp[0.38(\rho_{c}/\rho_{0})^{1.65}(C/W)^{1.35}]$

여기서, $f_{0}$와 $\rho_{0}$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단위용적중량의 참고 값으로서 각각 10 MPa 및 2,300 kg/$m^{3}$로 설정하였다.

Fig. 4. Effect of volume fraction of aggregates on 28-day compressive strength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4.png

Fig. 5. Regression analysis for $f_{ck}$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5.png

Fig. 6. Typical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BAA concrete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6.png

3.2 압축강도 발현

Fig. 5에는 재령에 따른 BA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율$[f_{c}(t)/f_{ck}]$을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f_{c}(t)$는 재령$(t)$에서 측정한 압축강도이다. 동일 그림에 비교를 위해 fib 모델에서 제시하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예측값을 나타내었다.

그룹Ⅰ에서 $W/C$가 45 %일 때 초기 재령(3일)의 $[f_{c}(t)/f_{ck}]$은 평균 65 %에 있었으며, 장기 재령(91일)에서의 $[f_{c}(t)/f_{ck}]$은 평균 121 %에 있었다. $W/C$가 37.5 %인 경우의 $[f_{c}(t)/f_{ck}]$은 초기 및 장기 재령에서 각각 평균 71 %와 118 % 수준에 있었다. 그룹Ⅰ에서 동일 $W/C$에서 $R_{G}$=0 %인 콘크리트의 $[f_{c}(t)/f_{ck}]$는 $R_{G}$=100 %인 콘크리트에 비해 초기재령에서는 4 % 증가하였으나, 장기재령에서는 6 % 증가하였다. 이 증가율에 대한 $W/C$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또한 그룹 1에서 $W/C$=45 %일 때 초기 재령에서의 $[f_{c}(t)/f_{ck}]$은 동일 조건의 콘크리트에서 $R_{S}$=100 %와 $R_{S}$=0 % 일 때 큰 차이 없었으나, 장기재령에서의 $[f_{c}(t)/f_{ck}]$은 $R_{S}$=0 % 대비 $R_{S}$=100 %가 6 % 감소하였다. $W/C$=35 %일 때에는 이들 값은 비슷한 수준에 있었다. 따라서 Fig.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BAA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f_{c}(t)/f_{ck}]$은 초기 재령측면에서의 영향은 다소 미미하였나, 장기 재령측면에서는 유리하였다. 그룹 Ⅱ에서는 $W/C$가 45 %일 때 $W$의 변화에 따른 $[f_{c}(t)/f_{ck}]$를 평가하였다. BAA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 및 장기 재령에서의 $[f_{c}(t)/f_{ck}]$은 일정한 $W/C$에서 $W$과 $R_{S}$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율은 다소 높았다. $W$가 165 kg/$m^{3}$에서 205 kg/$m^{3}$로 증가함에 따라 $R_{S}$가 0 %, 50 % 및 100 %일 때 각각 평균 4 %, 18 % 및 45 %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W$이 증가할수록 단위 시멘트 양은 증가하는 반면 골재의 양은 감소하기 때문이다(Fig. 6(b)). 그룹 Ⅲ에서는 $W/C$ 45 %와 $W$ 185 kg/$m^{3}$일 때 $S/a$가 40~50 %까지 변화에 따른 $[f_{c}(t)/f_{ck}]$를 평가하였다(Fig. 6(c)). BAA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 및 장기 재령에서의 $[f_{c}(t)/f_{ck}]$은 $S/a$가 2.5 % 증가함에 따라 $R_{S}$가 0 %, 50 % 및 100 %일 때 각각 평균 14 %, 21 % 및 37 %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이유는 $S/a$의 증가는 잔골재 양이 증가함을 의미하는데, 이때 잔골재로 사용된 BAA가 장기 재령에서의 포졸란 반응성을 보이면서$[f_{c}(t)/f_{ck}]$에도 유리한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fib 모델에서는 경량골재(lightweight aggregate, LWA)를 사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의 압축강도 발현율에 대한 예측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LWA 콘크리트의 재령별 압축강도 발현율은 재령 3일 및 7일에 각각 90 % 및 95 % 재령 56일 및 91일에 각각 101 % 및 102 %로 평가된다. 이는 초기 및 장기재령에서 강도 발현이 28일 강도와 매우 비슷한 수준으로 있게 됨을 의미한다. 하지만 fib 모델은 실험결과 대비 재령 3일 및 7일에서 각각 42 % 및 17 % 높게 나타났으며, 재령 56일 및 91일에는 각각 최대 11 % 및 23 %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히 경량골재의 압축강도만 고려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발현을 제시하는 fib 모델식은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고려하여 수정될 필요가 있다.

3.3 압축강도 발현속도 상수의 모델링

fib 모델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f_{ck}(t)$)을 다음 식에 의해 평가하고 있다.

(2)
$f_{ck}(t)=\beta_{cc}(t)\times f_{ck}$

(3)
$\beta_{cc}(t)=\exp\left\{S\left[1-\left(\dfrac{28}{t}\right)^{\alpha}\right]\right\}$

여기서, $S$와 $\alpha$는 압축강도의 발현속도를 결정하는 상수이다. 식(2)와 같이 fib 모델에서는 재령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을 예측하기 위해 압축강도 발현속도 상수($S$)를 중요한 매개변수로 제시하고 있으며, $\alpha$ 값은 0.5로 고정하였다. 일반적으로 $S$는 시멘트의 종류 및 설계기준강도의 범위에 따라 0.2~0.38 범위가 제시되고 있다. BAA 콘크리트에서 식(2)식(3)을 적용하여 압축강도 현에 영향을 미치는 $S$와 $\alpha$의 값을 결정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얻은 $S$값과 $\alpha$값들을 분석한 결과 $\alpha$는 0.14~0.16의 범위에 있었다. BAA 콘크리트에서 결정된 $\alpha$값의 변동범위가 매우 작음을 고려하여 평균값인 0.14로 고정하고 각각의 배합에서 $S$값을 다시 산정하였다. 그 결과 $S$값은 0.8~1.12 범위에 있었다. BAA 콘크리트의 $S$ 값에 대하여 $f_{ck}$와 $\rho_{c}$의 영향변수를 고려하면 $S$는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었다(Fig. 7).

Fig. 7. Regression analysis for $S$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7.png

(4)
$S =0.65((\rho_{0}/\rho_{c})(f_{0}/f_{ck})^{0.43})^{1.2}$

3.4 실험결과와의 비교

식(4)를 통해 결정된 압축강도 발현 기울기 식을 식(2)식(3)에 대입하여 결정된 예측값을 각 배합에서 측정된 재령별 압축강도와 fib 모델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하였다(Fig. 8). 예측된 압축강도 발현율은 실험결과 대비 초기 재령에서는 평균 5 % 높게 평가하였으며, 장기 재령에서는 2 % 낮게 평가하였다. 반면, fib 모델을 적용한 예측결과의 경우에는 실험결과 대비 초기 재령의 압축강도 발현율은 평균 28% 높게 평가하였으며, 장기 재령에서는 17 % 낮게 평가하였다.

Table 3에는 재령별 압축강도와 예측모델을 비교하여 실험결과 대비 예측값 비들의 평균($\gamma_{m}$), 표준편차($\gamma_{s}$) 및 변동계수($\gamma_{v}$)를 나타내었다. fib 모델에서는 BAA 콘크리트 압축강도 발현의 평가에 있어서 $\gamma_{m}$, $\gamma_{s}$와 $\gamma_{v}$는 재령 3일에서 각각 1.42, 0.25 및 0.17이었으며, 재령 7일에는 이 값들은 각각 1.17, 0.15 및 0.13이다. 재령 91일에서의 $\gamma_{m}$, $\gamma_{s}$와 $\gamma_{v}$는 각각 0.88, 0.06 및 0.06이었다. 따라서 초기 재령(3일 및 7일)에서는 과대평가하였으며 장기재령(91일)에서는 과소평가하였다. 반면, 이 연구에서 수정한 모델을 적용하여 얻은 예측값과 실험값들의 비에 대한 $\gamma_{m}$, $\gamma_{s}$와 $\gamma_{v}$는 재령 3일에서 각각 1.08, 0.19 및 0.17이었으며, 재령 7일에서는 각각 1.00, 0.13 및 0.13이었다. 재령 91일에서의 $\gamma_{m}$, $\gamma_{s}$와 $\gamma_{v}$는 각각 1.03, 0.06 및 0.06이었다. 즉, 제안 모델은 초기 및 장기재령에서 BAA 콘크리트 압축강도 발현율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Fig. 8. Typical comparisons of predictions and experiments for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BAA concrete

../../Resources/kci/JKCI.2021.33.4.381/fig8.png

Table 3. Statistical values determined from comparisons between predictions and experiments

Statistical value

Prediction/Experience at different ages

3 day

7 day

91 day

This study

fib model

This study

fib model

This study

fib model

Mean

1.08

1.42

1.00

1.17

1.03

0.88

Standard deviation

0.19

0.25

0.13

0.15

0.06

0.06

Coefficient of variation

0.17

0.17

0.13

0.13

0.06

0.06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바텀애시 골재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에 따른 28일 압축강도 및 압축강도 발현 속도의 상수($S$)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AA는 잔골재로 사용하는 것이 굵은 골재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콘크리트 강도발현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였다.

2) $W$가 175 kg/$m^{3}$에서 205 kg/$m^{3}$로 증가할 때 $R_{S}$=100 %인 경우 $f_{ck}$ 변화율은 7 %이었다. 즉, BAA 콘크리트의 $f_{ck}$에 대한 $W$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크지 않았다.

3) 이 연구에서 수행한 콘크리트의 골재 단위용적비($V_{g}$)는 60 %에서 68 %의 범위로 있었는데, 이들 범위에서 $f_{ck}$에 대한 $V_{g}$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따라서 $S/a$가 45 %와 50 % 범위에서 BAA 콘크리트의 $f_{ck}$ 변화는 작았다.

4) BA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에 예측값과 실험값의 비들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는 fib 모델을 적용한 경우 재령 3일에서 각각 1.42 및 0.25, 91일에서는 각각 0.88과 0.06이었다. 반면, 제안모델을 적용한 경우 이들 평균과 표준편차는 3일에서 각각 1.08과 0.19, 91일에서 1.03과 0.06이었다. 즉, 제안모델은 BA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을 비교적 정확하게 평가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남동발전 2019년 현장기술연구개발과제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이며, 2021학년도 경기대학교 대학원 연구원 장학생 장학금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hoi H. B., Kim J. M., Sun J. S., Han D. Y., 2015, Shape Improvement and Optimum Gradation of Dry Processed Bottom Ash for Lightweight Mortar,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3, No. 1, pp. 7-14DOI
2 
fib , 2010 2018, Model Code for Concrete Structures, Special Activity Group 5, Vol. lausanne switzerland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No. Google Search
3 
Ha J. S., Yang K. H., Ahn T. H., 2021,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Bottom Ash Aggregates Dry-Produced for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3, No. 2, pp. 133-144Google Search
4 
Han C. G., Hwang Y. S., Sin B. H., 2002, Determination of Removal Time of the Forms according to the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at Early 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Loan, Vol. 18, No. 9, pp. 157-162Google Search
5 
Ji G. B., Mun J. H., Yang K. H., 2019,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Using Bottom Ash Aggregates and Foam,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4, pp. 375-384Google Search
6 
KATS , 2016a, Portland Cement (KS L 520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Google Search
7 
KATS , 2016b, Standard Test Method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the Pressure Method (Air Receiver Method) (KS F 242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8 
KATS , 2017a, Standard Test Method for Concrete Slump (KS F 2402),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9 
KATS , 2017b,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0 
KATS , 2018, Concrete Aggregate (KS F 2527),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1 
Kim H. K., 2015, Properties of Normal-Strength Mortar Containing Coarsely-Crushed Bottom Ash Considering Standar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7, No. 5, pp. 531-539DOI
12 
Kim S. C., 2010, Evaluation of Bottom Ash on the Application for the Aggregate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26, No. 22, pp. 105-115Google Search
13 
Kim S. S., Lee J. B., Bark S. H., 2014, Bottom Ash on the Application for Use as Fine Aggregate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2, No. 3, pp. 173-179DOI
14 
Lee K. H., Yang K. H., 2018, Proposal for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Model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Using Expanded Bottom Ash and Dredged Soi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34, No. 7, pp. 19-26DOI
15 
Lee K. H., Yang K. H., Choi B. S., 2019, Effect of Natural Sand Cont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ith Different Compressive Strength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2, pp. 113-121Google Search
16 
Sim J. I., Yang K. H., 2010, Air Content Workability and Bleeding Characteristics of Fresh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4, pp. 559-566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