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유진기업 기술연구소 연구원 (Research Engineer, R&D Division, Eugene Corporation Co., Ltd., Goyang 10566, Rep. of Korea)
  2. 한국남동발전 자원순환연구센터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Coalash Recycling Research Center, Korea South-East Power Co., Incheon 23120, Rep. of Korea)
  3.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KAIST, Daejeon 34141, Rep. of Korea)
  4.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KAIST, Daejeon 34141, Rep. of Korea)
  5. 유진기업 기술연구소 연구소장 (Research Director, R&D Division, Eugene Corporation Co., Ltd., Goyang 10566, Rep. of Korea)



경량골재 콘크리트, 함수상태, 기건 경량골재, 내구성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ater content condition, air-dried lightweight aggregate, durability

1. 서 론

과거 성장기부터 건설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콘크리트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도 그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는 높은 단위용적질량으로 건설생산에 있어서 그 다양성의 한계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다(KCI 2011)(4).

따라서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을 줄이기 위해 천연골재보다 가벼운 경량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현재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많은 연구실적과 건설현장에 실제 적용을 통하여 콘크리트 관련 시방서에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사지침이나 건설기준코드 또한 제정되어 건설공사를 하는 데에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있다(MOLIT 2016)(7).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많은 연구를 수행하여 단위용적질량이 천연골재 콘크리트보다 낮으면서도 결합재와 단위수량을 조정함으로써 동일한 유동성과 압축강도를 발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Kim et al. 2018; Song et al. 2018)(5,13). 그러나 경량골재의 높은 흡수율과 낮은 밀도로 인한 함수상태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이나, 현장적용 시 내구성 판단이 가능한 중장기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Choi 2011; Park et al. 2015)(1,10).

이러한 배경으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분석하였다. 경량골재는 함수상태에 따라 콘크리트의 특성도 다르게 나타나므로(Lee and Seo 1993)(6), 경량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비교군으로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함께 평가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량골재의 함수상태를 달리 적용한 콘크리트와 천연골재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시험, 탄산화시험, 염해시험의 내구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경량골재의 수요증진을 목적으로 향후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적용과 실용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실험계획

2.1 실험재료

2.1.1 결합재

콘크리트 실험에 사용한 결합재는 포틀랜드시멘트 1종과 화력발전소의 플라이애시 2종을 사용하였다.

2.1.2 골재

잔골재는 바다모래와 부순 모래를 혼합 사용하였으며, 굵은 골재는 경량골재와 천연 골재를 사용하였다. 경량골재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재를 원료로 제조한 최대치수가 20 mm이며, 함수상태를 달리하기 위하여 동일한 골재를 수분이 없는 절대건조(絕對乾燥) 상태(oven dried, 이하 절건)와 프리웨팅을 실시하여 수량을 갖고 있는 대기건조(大氣乾燥) 상태(air dried, 이하 기건)로 분류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골재의 품질은 Table 1과 같다.

경량골재는 프리웨팅을 실시하면 높은 함수율을 가지지만,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흡수율만큼의 함수량을 갖기 어렵다. 콘크리트 실험을 위하여 절건 상태는 경량골재를 100 °C의 오븐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켜 상온에서 방치한 후에 콘크리트 실험에 사용하였다. 기건 상태는 골재에 물을 뿌리고, 24시간 방치 후에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 비빔 직전 경량골재의 함수율은 12.3 wt.%로 측정되었으며, 흡수율보다는 낮았다.

2.1.3 화학 혼화제

결합재 분산과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화학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2.2 실험배합

실험배합은 예비실험과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단위용적질량이 1,800 kg/m3 내외가 되도록 잔골재율을 40 %로 설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상용범위의 잔골재율인 0.47에서 0.49로 설정하였다. 단위수량은 180 kg/m3, W/B는 0.45에서 0.65까지 0.05씩 증가시켜 모두 5단계로 나누어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Table 2는 실험 배합표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1. Aggregate properties

Item

Unit

Sand1)

LWA2)

Gravel3)

Saturated density

g/cm3

2.61

1.55

2.62

Dry density

g/cm3

2.59

1.34

2.60

Absorption ratio

%

0.95

15.5

1.02

Unit weight

kg/m3

1,620

777

1,567

Fineness modulus

3.05

6.77

6.95

Ignition loss

%

0.59

Note: 1)natural fine aggregate; 2)coarse lightweight aggregate;3)coarse natural aggregate

Table 2. Mix proportion of concrete

Mix.1)

Unit weight (kg/m3)

Water

OPC2)

Flyash

Sand

Gra.3)

LWA

Ad.4)

a45

180

300

100

679

609

2.40

a50

180

270

90.0

693

622

2.16

a55

180

245

81.8

705

633

1.80

a60

180

225

75.0

715

642

1.50

a65

180

208

69.2

723

649

1.50

o45

180

300

100

678

528

4.00

o50

180

270

90.0

693

539

3.24

o55

180

245

81.8

705

548

2.95

o60

180

225

75.0

715

556

2.70

o65

180

208

69.2

723

563

2.70

n45

180

300

100

798

910

3.20

n50

180

270

90.0

823

921

2.70

n55

180

245

81.8

846

927

2.62

n60

180

225

75.0

867

931

2.40

n65

180

208

69.2

886

933

2.22

Note: 1)a: air-dried, o: oven dried LWA, n: natural coarse aggregate, and 2 digits mean W/B; 2)ordinary portland cement; 3)gravel; 4)chemical admixture

2.3 실험방법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저항성, 탄산화저항성, 그리고 염해저항성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 제조 후 슬럼프와 공기량 실험을 실시하였고, 압축강도 시험체와 내구성 평가를 위한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동결융해시험(KATS 2018)(3)과 탄산화시험(KATS 2015)(2)을 위한 시험체는 KS에 따라 100×100×400 mm 시험체를 배합별로 1개씩 제작하였다.

동결융해시험은 14일간 표준양생 실시 후, 동결융해시험기에서 수중동결 수중융해의 방법으로 -18 °C에서 4 °C의 범위에서 4시간 30분의 한 사이클로 설정하였으며, 매 30 사이클마다 상대동탄성계수와 질량변화율을 측정하여 동결융해에 따른 열화정도를 평가하였다.

탄산화시험은 표준양생 28일, 그리고 기건 양생 28일의 전양생을 실시한 후에, 온도 (20±2) °C, 상대습도 (90±5) %의 항온항습 챔버에 이산화탄소 농도 (5±0.25) % 조건에서 실시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노출 재령 1, 4, 8, 16, 26주에서 시험체를 쪼개어 페놀프탈레인 1 % 용액을 분무하여 이산화탄소의 침투깊이를 측정하였으며, 재령과 침투깊이에 따라 탄산화속도계수를 산정하였다.

염소이온투과시험은 재령 28일과 91일에 압축강도 시험용 시험체의 윗면과 아랫면을 절단하고, 가운데 부분 50 mm 두께의 시험체로 NT BUILD 492(1999)(8)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험완료 후에는 시험체를 쪼개어 0.1 M 질산은 용액을 분무하고, 염소이온이 시험체에 침투한 깊이를 측정 후, 관련 식을 이용하여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산정하였다.

3. 실험결과

3.1 기초물성

실험계획에 따라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배합별 실험항목을 재령 28일에 측정한 기초물성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실험 결과, 경량골재 배합은 천연골재 배합보다 슬럼프가 높게 나타났다. W/B가 증가함에 따라 경량골재가 증가하고, 경량골재가 배합수를 흡수함에 따라 슬럼프는 감소하였으며, 공기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압축강도는 유동성과 유사하게 경량골재의 배합수 흡수에 따라 W/B 감소효과가 발생하여 경량골재 배합이 천연골재 배합보다 높았으며, 절건 경량골재 배합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탄성계수는 압축강도와 비례하였으나, 천연골재 자체의 탄성계수가 경량골재보다 크기 때문에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도 큰 값이었다(Shin 2011)(12). 또한 W/B 증가에 따라 결합재량은 감소하고, 경량골재는 증가함에 따라 단위용적질량도 감소하였다.

3.2 동결융해시험

3.2.1 상대동탄성계수

천연골재 배합은 300 사이클까지 큰 변화없이 상대동탄성계수가 유지되었으나,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일부 배합을 제외하고는 300 사이클을 유지하는 데에는 매우 취약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골재가 많은 공극을 가지고 있어 그 내부에 있는 수분의 동결과 융해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KS에서는 상대동탄성계수가 60 % 이하일 경우 시험을 중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측정 가능한 사이클까지 시험을 진행하였다.

Fig. 1. Relative dynamic modulus of concrete

../../Resources/kci/JKCI.2021.33.3.227/fig1.png

Table 3. Basic properties of concrete

Mixture

Slump

(mm)

Air content

(%)

Comp. strength

(MPa)

Elastic modulus

(GPa)

Unit weight

(kg/m3)

a45

245

3.8

37.5

17.7

1,904

a50

235

3.8

33.4

16.7

1,887

a55

230

4.8

28.2

15.8

1,872

a60

220

4.3

27.1

15.4

1,887

a65

230

4.5

22.5

14.6

1,875

o45

240

4.7

39.5

18.6

1,825

o50

245

3.6

36.4

17.4

1,811

o55

245

3.8

35.5

17.3

1,820

o60

220

4.6

31.5

16.2

1,803

o65

235

4.4

28.1

15.9

1,790

n45

230

4.3

36.3

23.8

2,334

n50

215

5.5

31.9

23.2

2,314

n55

225

5.5

28.3

21.2

2,301

n60

230

6.7

24.0

19.6

2,286

n65

215

6.5

21.9

20.5

2,280

Fig. 1과 같이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상대동탄성계수는 초기에 급격하게 감소하여 a50, a60, o65은 60사이클 후에 각각 8.0, 52.0, 20.3 %로 측정되어 시험을 중단하였고, 300 사이클까지 건전한 상태의 시험체로 유지한 배합은 a55와 a65 2 배합뿐이었으며, 이는 제조 직후의 공기량이 높았던 것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그 외의 배합도 300 사이클 후의 상대동탄성계수는 11.7 %에서 40.9 %로 동결융해에는 매우 취약하였다.

천연골재 배합은 상대동탄성계수가 모두 우수하였으나, n45 시험체는 300 사이클에서 상대동탄성계수가 40.5 %로 다른 배합보다 낮았다. 이는 콘크리트 제조직후의 공기량이 4.3 %로 다른 배합보다 낮아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Park 2008)(9).

3.2.2 질량변화율

Fig. 2는 동결융해시험에 따른 동탄성계수와 함께 측정한 질량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경량골재 배합의 질량변화율은 시험완료 후에 89.8 %에서 99.4 %의 범위로 남았다. 경량골재의 함수상태와는 무관하게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천연골재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질량손실이 많았으며, 상대동탄성계수와 동일하게 기건 경량골재를 사용한 배합의 질량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동결융해시험 완료 후에 측정한 질량변화율은 기건 경량골재 배합이 89.8 %에서 93.4 %, 절건 경량골재 배합은 94.0 %에서 99.4 %로 손실이 큰 값이었다.

천연골재를 사용한 배합의 질량변화율은 300 사이클까지 큰 감소없이 시험완료 후에는 97.1 %에서 98.5 %로 콘크리트의 W/B와 비례하였다. 즉 W/B가 낮은 0.45 배합이 가장 적었으며, 이후 W/B가 증가함에 따라 질량손실도 비례하여 0.65 배합이 가장 큰 97.1 %로 측정되었다.

Fig. 3은 동결융해시험 종료 후에 대표적인 열화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체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균열을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나 골재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대동탄성계수가 많이 감소한 배합에서는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Fig. 2. Ratios of mass change

../../Resources/kci/JKCI.2021.33.3.227/fig2.png

3.3 탄산화시험

3.3.1 탄산화깊이

Fig. 4는 골재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재령별 탄산화깊이를 나타낸 것이다.

탄산화시험 결과, 경량골재 배합보다는 천연골재를 사용한 배합의 탄산화깊이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경량골재는 밀도가 낮고, 내부 공극으로 인하여 CO$_{2}$의 침입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경량골재를 사용함에 따라 경량골재의 함수율이 흡수율보다는 낮기 때문에 배합수를 흡수함에 따라 W/B가 낮아져 콘크리트 내부가 밀실해진 것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Deterioration by freezing and thawing

../../Resources/kci/JKCI.2021.33.3.227/fig3.png

Fig. 4. Carbonation depths of concrete

../../Resources/kci/JKCI.2021.33.3.227/fig4.png

세부적으로는 CO$_{2}$ 노출기간 26주까지 기건 경량골재 배합의 탄산화깊이는 3.96 mm에서 30.7 mm, 절건 경량골재 배합이 2.08 mm에서 20.8 mm, 그리고 천연골재 배합은 6.43 mm에서 36.1 mm로 측정되어 천연골재 배합의 탄산화깊이가 가장 컸으며, 기건 경량골재, 절건 경량골재의 순서로 낮게 측정되었다.

Table 4는 탄산화노출 재령 4주에 측정한 탄산화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W/B 증가에 따라 뚜렷하게 깊어졌으며, 경량골재 배합보다는 천연골재 배합이 높았다.

3.3.2 탄산화속도계수

Fig. 5는 콘크리트의 탄산화깊이를 바탕으로 산정한 탄산화속도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앞선 설명과 같이 이산화탄소에 노출시킨 초기재령에서는 탄산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으나, 이후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탄산화깊이는 다소 둔화되어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탄산화속도계수는 탄산화깊이와 동일하게 천연골재 배합이 높은 값이었으며, 기건 경량골재, 그리고 절건 경량골재 배합도 적은 값이었다. 초기재령에는 탄산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탄산화속도계수가 큰 값이었으나, 재령경과에 따라 지속해서 감소하였다.

기건 경량골재 배합의 탄산화속도계수는 재령 1주에 1.18 mm/week0.5에서 10.6 mm/week0.5였으나, 재령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재령 26주에는 0.78 mm/week0.5에서 6.02 mm/week0.5로 산정되었다. 절건 경량골재 배합은 탄산화깊이가 기건 경량골재 배합보다 적어 재령 1주에 0.50 mm/week0.5에서 5.43 mm/week0.5였으며, 재령 26주에는 0.41 mm/week0.5에서 4.08 mm/week0.5로 산정되어 전체적으로 탄산화깊이가 낮게 측정됨에 따라 탄산화속도계수 또한 적은 값으로 산정되었다. 천연골재 배합은 재령 1주에 2.87 mm/week0.5에서 12.1 mm/week0.5로 산정되었고, 재령 26주에는 지속해서 감소하여 1.26 mm/week0.5에서 7.09 mm/week0.5로 산정되어 기건 경량골재 배합의 탄산화속도계수와 유사한 값으로 산정되었다.

Table 4. Carbonation depths at four weeks

../../Resources/kci/JKCI.2021.33.3.227/table4.png

Fig. 5. Coefficients of carbonation

../../Resources/kci/JKCI.2021.33.3.227/fig5.png

따라서 초기재령에는 탄산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으나, 시간경과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내부로 침투하는 데에는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골재의 종류와 함수상태보다는 W/B가 탄산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절건 경량골재 배합은 골재가 콘크리트의 배합수를 가장 많이 흡수함에 따라 W/B가 실제 배합설계의 값보다 감소하여 탄산화저항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3.4 염소이온투과시험

Table 5는 콘크리트의 염소이온투과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탄산화시험과 동일하게 콘크리트의 내부의 치밀함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수치가 낮을수록 콘크리트가 치밀한 것을 나타낸다. W/B가 0.45에서 0.65로 증가함에 따라 염소이온 확산계수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재령 28일보다 91일에는 결합재의 수화반응이 진행되어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더욱 치밀해져 염소이온 확산계수도 감소하였다.

Fig. 6은 재령 28일과 91일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재령 28일에 기건 경량골재 배합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23.0×10-12 m2/s에서 37.2×10-12 m2/s, 절건 경량골재 배합은 11.0×10-12 m2/s에서 25.5×10-12 m2/s, 그리고 천연골재 배합은 17.4×10-12 m2/s에서 36.2×10-12 m2/s로 측정되었다. 절건 경량골재 배합에서 W/B의 감소효과가 나타나 염소이온 확산계수가 낮았으며, 다음으로 천연골재 배합이 낮았고, 기건 경량골재 배합이 가장 큰 값이었다. 절건 경량골재 배합은 압축강도도 큰 값으로 측정됨에 따라 내부조직이 상대적으로 치밀해져 염소이온에 대한 저항성도 다른 배합보다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Diffusion coefficients of chloride ion (unit: ×10-12 m2/s)

W/B

Age Series

0.45

0.50

0.55

0.60

0.65

28 days

Air dried

23.0

26.4

32.2

37.2

34.7

Oven dried

11.0

14.5

17.6

21.1

25.5

Natural

17.4

21.8

27.7

30.1

36.2

91 days

Air dried

6.92

9.51

8.57

11.3

15.8

Oven dried

4.12

4.87

6.45

7.17

9.50

Natural

5.94

7.58

12.5

12.7

20.5

재령 91일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기건 경량골재 배합이 6.92×10-12 m2/s에서 15.8×10-12 m2/s, 절건 경량골재 배합에서 4.12×10-12 m2/s에서 9.50×10-12 m2/s, 그리고 천연골재 배합은 5.94×10-12 m2/s에서 20.5×10-12 m2/s로 측정되었다. 재령이 경과하여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더욱 낮아졌으며, 절건 경량골재 배합이 가장 작은 값이었고, 그 결과는 재령 28일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다만 기건 경량골재 배합과 천연골재 배합은 28일과는 다른 경향이었다. 28일에는 기건 경량골재 배합이 천연골재 배합보다 높았으나, 91일에는 W/B 0.45와 0.50 배합만 기건 경량골재 배합이 높았고, W/B 0.55 이상은 천연골재 배합이 높은 값이었다. 전체적으로 재령 91일에는 28일보다 염소이온 확산계수가 크게 낮아짐으로써, 골재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아 재령 28일보다는 뚜렷하지 않았다.

Fig. 6. Diffusion coefficients of chloride ion

../../Resources/kci/JKCI.2021.33.3.227/fig6.png

Table 6. Penetration depth of chloride ion

../../Resources/kci/JKCI.2021.33.3.227/table6.png

Table 6은 대표적인 시험체에서 염소이온이 침투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원주형 시험체를 약 50 mm의 두께로 절단하고, 염소이온 투과시험을 실시한 다음, 0.1 M 질산은 용액을 분무하여 염소이온의 침투깊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골재종류와는 상관없이 W/B 0.45 배합의 염소이온 침투깊이가 적었으며, W/B가 높은 0.65 배합은 침투깊이가 크게 나타났다. 절건 경량골재보다 천연골재와 기건 경량골재 배합에서 염소이온 침투깊이가 큰 값이었다.

4. 결 론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실용화를 위한 내구성을 평가하고자, 경량골재의 함수상태와 천연골재를 대상으로 콘크리트 실험을 비교 실시한 결과, 본 연구의 범위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량골재는 흡수율이 높아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 경우, 배합수량을 흡수하여 전체적으로 W/B 감소효과가 나타나,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가 높은 값으로 측정되었고, 이러한 특성이 내구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결융해시험 결과,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함수상태와 관계없이 천연골재 콘크리트와는 다르게 내부 수분의 동결에 의한 팽창으로 동해에 매우 취약한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 탄산화시험에서는 초기재령에 탄산화가 급격히 진행되었으나, 재령경과에 따라 다소 둔화되어 절건 경량골재를 사용한 배합이 천연골재를 사용한 배합보다 콘크리트 내부가 치밀하여 탄산화저항성이 높았다.

4) 염소이온 투과시험에서는 탄산화시험과 유사하게 절건 경량골재를 사용한 배합이 W/B 감소효과로 콘크리트 내부가 치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분석하면 경량골재는 천연골재에 비하여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 경우 배합수를 일부 흡수함으로써, 콘크리트 배합의 W/B가 낮아져 내부가 치밀해지는 특성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내구성도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동결융해시험에서는 골재 내부 수분의 동결에 따른 내구성이 저하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남동발전의 2017년 현장기술연구개발과제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hoi J. J., 2011, Mix Proportioning and Constructability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5, pp. 19-26DOI
2 
KATS , 2015, Standard Test Method for Accelerated Carbonation of Concrete (KS F 2584),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3 
KATS , 2018, Standard Test Method for Resistance of Concrete to Rapid Freezing and Thawing (KS F 2456),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4 
KCI , 2011, New Concrete Engineering.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pp. 748-749Google Search
5 
Kim D. B., Kim Y. U., Lee D. J., Kim J. H., Ban J. M., Choi S. J., 2-4 May 2018,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Using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Powder by Replacement Ratio of Lightweight Fine Aggregate, KCI 2018 Spring Conference, Vol. 30, No. 1, pp. 161-162Google Search
6 
Lee M. H., Seo C. H., 1993, Strength Effectiveness of Light-Weight Aggregate Based on the Condition of Contained Water,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3, No. 2, pp. 621-624Google Search
7 
MOLIT , 2016,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Light Weight Aggregate Concrete (KCS 14 20 20),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 Korean)Google Search
8 
NT BUILD 492 , 1999,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Nordic Council of Ministers.Google Search
9 
Park S. J., 2008, The Effect of Entrained Air Contents on the Properties of Freeze-Thaw Deterioration and Chlorid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2, No. 5, pp. 161-168Google Search
10 
Park Y. S., Kim J. H., Kim S. H., Kim S. H., Jeon H. K., 2015,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9, No. 3, pp. 22-29DOI
11 
Shin J. K., Yoon S., Kim J. B., Jeong Y., 2010, Durability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Proceeding of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Vol. 10, No. 1, pp. 143-148Google Search
12 
Shin K. J., 2011, Relationship between Elastic Modulus of Aggregates and Free Shrinkage of Mortar. KCI 2013 Fall Conference. 16-18 Oct. 2013., Seorac,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Vol. 25, No. 2, pp. 415-416Google Search
13 
Song K. I., Lee K. H., Yang K. H., Song J. K., 2018, Creep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nd Prediction Model,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0, No. 5, pp. 517-524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