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2.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3.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량골재 콘크리트, 최소 인장 철근비, 보, 휨, 연성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minimum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beam, flexure, ductility

1. 서 론

경량골재는 일반적으로 내부의 공극들로 인해 천연 골재와 비교해 파쇄강도 및 강성이 낮다. 경량골재의 둥글고 매끄러운 표면상태는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계면에서 미세공극을 증가시킨다(Sim and Yang 2011)(15). 이러한 특성들은 경량골재 콘크리트(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의 탄성계수와 인장저항성을 낮게 하며 응력-변형률 관계에서 최대응력 이후 급격한 응력 저하의 취성적인 거동을 유도한다(Yang et al. 2014b)(22). 즉, LWAC의 처짐과 균열저항성은 천연골재를 사용한 보통중량 콘크리트(normal-weight concrete, NWC)에 비해 낮다(Yang et al. 2014a)(21). 이에 따라 LWAC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보는 동일 인장 철근비를 갖는 NWC 보와 비교해 처짐이 크고, 최대 내력 이후 더 취성적 거동을 보인다(Yang et al. 2011)(20).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인장 철근은 휨 균열의 폭을 감소시키고 콘크리트의 낮은 인장성능을 보완한다(Park and Paulay 1975)(10). 하지만 너무 낮은 인장 철근 양이 배근 될 경우 RC 보의 파괴모드는 무근콘크리트 보와 비교해 더 취성적 거동을 보인다(Park et al. 2014)(12). KCI 2017(2017)은 RC 보에서 콘크리트에 의한 취성적인 거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소 인장 철근비를 보의 설계 휨강도가 휨 균열 내력의 1.2배 이상이 되도록 제시하고 있다. 설계기준(ACI Committee 318 2014; KCI 2017)(1,3)에서 제시하는 최소 인장 철근비는 보통 강도를 갖는 NWC의 실험결과에 기반하여 유도된 값들이다. 따라서 동일 압축강도를 갖는 NWC와 비교해 낮은 균열 저항성과 더 큰 취성도를 갖는 LWAC를 사용한 보의 경우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최소 인장 철근비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는 여전히 미흡하다. 일반적으로 LWAC 보의 휨 연성에 대한 요구 조건은 명확하게 설계기준에서 제시하지 않고 있다. 즉, LWAC 보에서 최소 인장 철근비의 안전성은 NWC 보의 연성과 동일한 값을 얻을 수 있는 인장 철근비 관점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KCI 2017(2017)에서 제시하는 최소 인장 철근비의 제한이 LWAC T형 단순보의 내력 및 연성 확보에 합리적인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소 인장 철근비로 배근된 4개의 LWAC T형 단순보의 휨 지배 거동에서 하중-처짐 관계, 최대 내력 및 연성을 평가하였다. 연성은 Park and Paulay(1975)(10)에 의해서 제시된 변위연성비로 평가하였으며, 최대 내력 이후의 거동을 Yang et al.(2014a)(21)에 의해 제시된 2차원 비선형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더불어, LWAC 보의 연성을 NWC 보와 동등한 수준으로 발휘하기 위한 최소 인장 철근비에 대한 보정계수는 2차원 비선형해석으로부터 얻어진 결과값들의 변수연구로부터 일반화하였다.

2. 실 험

2.1 실험체 상세

최소 인장 철근비($\rho_{s,\:\min}$)로 배근된 LWAC 보의 내력 및 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T형 단순보 4개를 제작하였다(Fig. 1Table 1). 주요 변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기건밀도로서 LWAC의 종류로 구분하였다. 설계기준 압축강도($f_{ck}$)는 24 MPa와 40 MPa로 설정하였으며, LWAC 종류에 따라 전경량 콘크리트(all-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LWAC)와 모래경량 콘크리트(san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LWAC)로 하였다. 전경량 콘크리트(ALWAC)는 굵은 골재와 잔골재 모두 경량골재만을 사용하였으며, SLWAC는 굵은 골재로서 경량골재를, 잔골재로서 천연모래를 사용하였다. 실험체명의 첫 번째 문자 A와 S는 ALWAC 및 SLWAC를, 두 번째 숫자는 $f_{ck}$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24는 ALWAC이면서 $f_{ck}$가 24 MPa인 실험체를 의미한다.

Fig. 1. Details of designed beam specimens (all units are mm)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1.png

Table 1. Details of LWAC beam specimens

Specimens

Type

$f_{ck}$

(MPa)

$A_{s}$

(mm2)

Arrangement of reinforcements

$\rho_{s}$

$\rho_{s,\:\min}$

$\omega_{s}$

1.2$M_{cr}$

(kN・m)

$M_{n}$

(kN・m)

A-24

ALWAC

24

397

2-D16

0.0016

0.0012

0.024

52.5

74.9

A-40

40

507

4-D13

0.0020

0.0014

0.025

67.8

97.4

S-24

SLWAC

24

397

2-D16

0.0016

0.0013

0.026

59.5

74.8

S-40

40

507

4-D13

0.0020

0.0016

0.022

76.9

96.6

$f_{ck}$: design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_{s}$: area of longitudinal tensile reinforcement, $\rho_{s}$: ratio of longitudinal tensile reinforcement, $\rho_{s,\:\min}$: ratio of minimum longitudinal tensile reinforcement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KCI 2017 procedure, $\omega_{s}$: longitudinal reinforcement index, $M_{cr}$: cracking moment capacity, and $M_{n}$: nominal moment capacity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T형 단순보의 웨브 폭($b_{w}$)과 플랜지 폭($b_{eff}$)은 각각 300 mm 및 550 mm이고, 플랜지($h_{f}$) 및 실험체 전체 높이($h$)는 각각 120 mm 및 500 mm이다. T형 단순보의 휨 거동을 유도하기 위해 $b_{eff}$은 전단지연으로 인한 불균등한 전단변형을 방지하고자 KCI 2017(2017)에서 제한하는 플랜지 유효폭 이내로 설계하였다. 보의 지점간 거리($L$)는 5,400 mm이며, 전체 길이는 5,700 mm이다. 전단경간의 길이($a$)는 2,475 mm로서 전단경간비($a/d$)는 5.5 이다. 인장 철근은 KCI 2017(2017)에서 제시하는 최소 인장 철근비에 준하여 배근하였다(Table 1). 설계기준 압축강도($f_{ck}$)가 24 MPa인 실험체의 인장 철근으로서 직경 16 mm인 이형철근 2본을 배근하였다. 그리고 $f_{ck}$가 40 MPa인 실험체의 인장 철근은 직경 13 mm인 이형철근을 4본 배근하였다. 이때의 실험체들의 인장 철근비($\rho_{s}$)는 $f_{ck}$가 24 MPa 및 40 MPa에서 각각 0.0029 및 0.0037이다. 이들의 인장 철근 지수($\omega_{s}=\rho_{s}f_{y}/f_{ck}$)의 범위는 0.0022~0.0026에 있었는데, 여기서 $f_{y}$는 인장 철근 항복강도이다. 보의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철근으로서 직경 13 mm인 이형철근을 150 mm 간격으로 전단경간에 배근하였다.

2.2 사용재료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골재는 약 1,200 oC 이상의 소성과 발포과정을 거친 바텀애시와 준설토 기반으로 제작된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였다(Lee 2018)(4). 인공경량골재는 점토기반의 팽창 경량골재와 비슷한 피막구조 및 내부의 다공질 형상을 갖고 있다(Lee and Yang 2018)(5). 사용된 경량 굵은 골재와 잔골재의 최대직경은 각각 19 mm와 4.75 mm이다(Table 2). 이들의 비중은 각각 1.0과 1.1이며, 조립률은 각각 6.4 및 4.4이다. 흡수율은 각각 17.2 % 및 12.9 %인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MOLIT 2016)(8)에서 제시된 골재의 흡수율(3 %) 대비 각각 5.73배 및 4.30배 높았다. Table 3에는 실험체에 사용된 LWAC의 배합표를 나타내었다. 설계기준 압축강도($f_{ck}$)가 24 MPa인 실험체의 물-시멘트비($W/C$)는 ALWAC과 SLWAC에서 각각 50 % 및 53 %이었으며, $f_{ck}$가 40 MPa인 실험체에서는 각각 23 % 및 26 %이었다.

Table 4에는 실험체에 사용된 LWAC의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단위용적중량($w_{c}$)은 ALWAC에서 1,578~1,600 kg/m3이었으며, SLWAC에서 1,695~1,790 kg/m3의 범위에 있었다. 실험체 A-24와 A-40의 압축강도($f_{c}$)는 각각 29 MPa와 36 MPa이었으며, S-24와 S-40에서는 27 MPa와 40 MPa이었다. Fig. 2에는 LWAC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나타내었다. 동일한 그림에는 Yang et al.(2014b)(22)에 의해 예측된 동일 압축강도를 갖는 NWC의 응력-변형률 관계도 나타내었다.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는 NWC보다 초기강성이 낮았으며 최대 응력 이후 응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취성적인 거동을 보였다. 실험체 A-24 및 A-40의 탄성계수($E_{c}$)는 각각 16,606 MPa 및 17,335 MPa로 NWC와 비교해 각각 35 % 및 40 % 낮았다. 그리고 S-24 및 S-40의 $E_{c}$는 각각 17,991 MPa 및 20,957 MPa로 NWC와 비교해 각각 29 % 및 28 % 낮았다.

Table 5에는 사용된 철근의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직경 6 mm, 13 mm 및 16 mm인 철근의 항복강도는 각각 498 MPa, 439 MPa 및 431 MPa이었으며, 인장강도는 각각 532 MPa, 590 MPa 및 585 MPa이었다.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s

Aggregate type

Maximum size of aggregate

(mm)

Specific gravity

Fineness modulus

Water absorption

(%)

Coarse aggregate

$LWA$

19.0

1.0

6.4

17.2

Fine

aggregate

$LWA$

4.75

1.1

4.4

12.9

Sand

1.7

2.7

1.5

$LWA$ : lightweight aggregate

Table 3. Mixture proportions

$f_{ck}$

(MPa)

Type

$W/C$

(%)

$S/a$

(%)

Unit weight (kg/m3)

$W$

$C$

$G_{LWA}$

$F_{A}$

$LWA$

$S$

24

ALWAC

50

40

185

370

552

395

-

40

23

35

107

475

639

719

-

24

SLWAC

53

43

194

370

517

-

369

40

26

40

124

475

576

-

708

$W/C$: water-to-cement ratio by weight, $S/a$: fine aggregate- to-total aggregate ratio by volume, $W$: water, $C$: cement, $G_{LWA}$: lightweight coarse aggregate, $F_{A}$: fine aggregate, and $S$: natural sand

Table 4. Mechanical properties of LWAC

$f_{ck}$

(MPa)

Type

$w_{c}$

(kg/m3)

$f_{c}$

(MPa)

$\epsilon_{c}$

$E_{c}$

(MPa)

24

ALWAC

1,578

29

0.0030

16,606

40

1,600

36

0.0028

17,335

24

SLWAC

1,695

27

0.0029

17,991

40

1,790

40

0.0028

20,957

$w_{c}$: unit weight of concrete, $f_{c}$: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epsilon_{c}$: strains at the peak stress, and $E_{c}$: modulus of elasticity of concrete

Fig. 2. Stress-strain curve of LWAC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2.png

Table 5. Mechanical properties of reinforcing bars

Diameter

Yield strength

(MPa)

Yield strain

Modulus of elasticity (MPa)

Tensile strength

(MPa)

D6

498

0.0042

202,400

532

D13

439

0.0021

209,258

590

D16

431

0.0021

204,986

585

2.3 실험체 가력상세

Fig. 3에는 LWAC T형 단순보의 휨 거동 평가를 위한 가력 상세를 나타내었다. 실험은 상부 2점 가력으로 수행되었으며, 하중은 2,000 kN의 용량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도입하였다. 양단부의 반력은 1,000 kN 용량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의 양 지점에는 50 mm의 폭의 강판을 이용하여 힌지와 롤러를 설치하였다. 보 중앙부의 처짐은 최대 모멘트 구간에서 300 mm 용량의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ducers)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인장 철근의 항복은 최대 모멘트 구간 내에 225 mm 간격으로 부착된 5 mm 용량의 전기 저항 변형(electrical resistance strain, ERS) 게이지 이용하여 평가하였다(Fig. 1).

Fig. 3.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3.png

3. 실험 결과

3.1 하중-처짐 관계

Fig. 4에는 LWAC T형 단순보의 하중-처짐 관계를 나타내었다. 균열 발생 전까지 초기 강성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인장 철근의 단면적($A_{s}$)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LWAC 종류에 따른 영향은 미미하였다. 항복 시점 이후 처짐은 최대 내력의 도달 시점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최대 내력 이후에는 하중이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의 정도는 SLWAC 보와 비교해 ALWAC 보에서 약간 더 컸다. 하중 감소 이후에는 소성흐름 구간으로 일정한 하중을 유지하면서 지속해서 처짐이 증가하였다. 이때 소성흐름 구간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높은 실험체일수록 짧았다. 이후 모든 LWAC T형 단순보 실험체는 인장 철근 파단에 의해 최종파괴 되었다.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T형 단순보의 초기 균열 내력($P_{cr}$), 항복 시점의 내력($P_{y}$) 및 최대 내력($P_{n}$)은 콘크리트 종류에 의한 영향이 미미한 반면,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A_{s}$에 의해 현저한 영향을 받았다. 실험체 A-24의 $P_{cr}$, $P_{y}$ 및 $P_{n}$은 각각 38.9 kN, 52.3 kN 및 77.3 kN으로 A-40보다 14 %, 35 % 및 21 % 낮았다(Table 6).

Fig. 4. Mid-span deflection according to applied load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4.png

Table 6. Summary of test results

Specimens

Test result

$P_{cr}$

(kN)

$P_{y}$

(kN)

$\Delta_{y}$

(mm)

$P_{n}$

(kN)

$\Delta_{n}$

(mm)

$\mu_{\Delta}$

A-24

38.9

52.3

20.6

77.3

110.3

5.35

A-40

45.0

80.7

26.1

97.6

112.0

4.29

S-24

39.8

53.9

21.0

78.2

119.6

5.70

S-40

49.3

81.4

35.0

101.3

160.7

4.59

$P_{cr}$: initial cracking load, $P_{y}$: yielding load, $\Delta_{y}$: deflection at yielding load, $P_{n}$: peak load, $\Delta_{n}$: deflection at peak load, and $\mu_{\Delta}$: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3.2 변위연성비

보의 휨 연성은 일반적으로 최대 내력의 변위($\Delta_{n}$)를 항복 시점의 변위($\Delta_{y}$)로 나눈 값인 변위연성비($\mu_{\Delta}$)에 의해 평가된다(Park and Paulay 1975)(10). 실험체 A-24 및 A-40의 $\mu_{\Delta}$는 각각 5.36 및 4.29이었으며, S-24 및 S-40에서는 각각 5.70 및 4.59이었다. 실험체 A 시리즈 보의 $\mu_{\Delta}$는 동일 압축강도를 갖는 S 시리즈 보와 비교해 약 6 % 낮았다. Fig. 5에는 $\mu_{\Delta}$와 $\omega_{s}$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RC 보의 휨 연성은 중립축 깊이($c_{n}$)와 관계가 높은데, $c_{n}$은 $A_{s}$와 $f_{y}$ 그리고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RC 보의 휨 연성은 일반적으로 $\omega_{s}$ 관점에서 평가된다(Yang and Mun 2013; Seo et al. 2015)(13,19). Fig. 5의 기존 실험결과(Shin 1988; Ahmad and Barker 1991; Lee 1997; Oh et al. 1998; Park and Kim 1999; Maghsoudi and Bengar 2006; Sin et al. 2011; Park et al. 2014)(2,6,7,9,11,12,14,16)는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20~89 MPa, $\rho_{s}$가 0.001~0.044, SLWAC의 $w_{c}$가 1,700~2,058 kg/m3, ALWAC의 $w_{c}$가 1,664~2,000 kg/m3의 범위로 실험된 보의 상세를 포함하고 있다. 최소 인장 철근비($\rho_{s,\:\min}$)를 갖는 LWAC T형 단순보 실험체의 $\omega_{s}$는 0.22~0.26의 범위에 있었는데, 이 연구와 비슷한 수준의 $\omega_{s}$를 갖는 $\rho_{s,\:\min}$의 영역의 NWC 및 LWAC 보의 $\mu_{\Delta}$는 각각 4.1 및 7.4 수준이었다. 이 값은 실험체 A 시리즈 및 S 시리즈 보의 $\mu_{\Delta}$보다 각각 1.54배 및 1.44배 높은 수준에 있었다. 따라서 $\rho_{s,\:\min}$을 갖는 LWAC 보는 $\rho_{s,\:\min}$을 갖는 NWC 보와 비교해 낮은 $\mu_{\Delta}$를 가지고 있으므로 연성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rho_{s,\:\min}$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ig. 5.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according to longitudinal reinforcement index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5.png

4. 비선형해석에 의한 보의 휨 거동 평가

4.1 비선형해석 절차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T형 단순보의 하중-처짐 관계는 Yang et al.(2014a)(21)에 의해 제시된 단면분할법 기반의 2차원 비선형해석(2-dimensional non-linear analysis)을 통해 산정된 예측결과와 비교하였다. 2차원 비선형해석에 사용된 콘크리트와 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LWAC의 $w_{c}$를 반영하고 있는 Yang et al.(2014b)(22)과 철근의 소성 및 경화구간을 고려할 수 있는 Wang(1977)(17)의 모델을 각각 사용하였다. 2차원 비선형해석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Fig. 6). 1) 길이방향의 보는 $n$개의 절점으로 분할된다; 2) 임의의 단면에서의 중립축 깊이($c(i,\:1)$)는 $n$개의 절점으로 분할된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epsilon_{c}(i,\:1)_{n}$)을 통해 가정한다; 3) 재료의 변형률 및 응력은 $c(i,\:1)$를 이용하여 산정하며, 이때 각 재료의 힘의 평형조건을 계산한다; 4) 힘의 평형조건을 만족하는 모멘트($M(i,\:1)$)는 $c(i,\:1)$를 이용하여 산정하며,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단면($(i,\:j)$)의 모멘트($M_{E}(i,\:j)$)를 산정한다; 5)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단면의 모멘트($M_{E}(i,\:j)$)는 모멘트 평형조건을 만족하는 모멘트($M_{I}(i,\:j)$)를 산정할 수 있다; 6) 임의의 단면에서의 곡률($\phi(i,\:j)$)은 $\epsilon_{c}(i,\:j)$를 중립축($c(i,\:j)$)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항복 시점의 곡률($\phi_{y}$)은 인장 철근의 변형률이 항복변형률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가정하며, 최대 내력 시점의 곡률($\phi_{n}$)은 압축측 콘크리트의 변형률이 0.003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산정한다; 7) 보의 처짐은 계산된 $\phi(i,\:j)$로부터 모멘트 면적법에 기반하여 산정하였다.

Fig. 6. Distribution of strains and stresses for 2-dimensional non-linear analysis (Yang et al. 2014a)(21)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6.png

Fig. 7. Comparison of experimental load-deflection relationship and predictions by 2-dimensional non-linear analysis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7.png

4.2 예측모델과 실험결과의 비교

2차원 비선형해석을 이용하여 산정된 하중-처짐 관계는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Fig. 7). 이때 해석에 사용된 LWAC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단위용적중량은 Table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2차원 비선형해석에 의해 예측된 곡선은 최대 내력 이전까지 LWAC T형 단순보의 실험결과와 유사하였으며, 특히 최대 내력 이후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을 잘 반영하였다. Table 7에는 2차원 비선형해석을 이용하여 산정된 $\mu_{\Delta}$와 실험결과를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2차원 비선형해석을 통해 산정된 $\mu_{\Delta}$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단위용적중량과 관계없이 실험결과를 대체로 잘 예측하였다. 즉, Yang et al.(2014a)(21)에 의해 제시된 2차원 비선형해석 방법은 LWAC T형 단순보의 하중-처짐 관계를 잘 예측하면서, 보의 연성도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able 7. Comparison of predicted $\mu_{\Delta}$ and experiments

Specimens

$(\mu_{\Delta})_{NLA.}$ (1)

$(\mu_{\Delta})_{\operatorname Exp .}$ (2)

(1)/(2)

A-24

5.29

5.35

0.99

A-40

4.52

4.29

1.07

S-24

5.96

5.70

1.04

S-40

4.60

4.59

1.00

$(\mu_{\Delta})_{\operatorname Exp .}$: experimental ductility ratios and $(\mu_{\Delta})_{NLA.}$: ductility ratios determined by 2-dimensional non-linear analysis

4.3 최소 인장 철근비를 갖는 LWAC 보의 변위연성비

Fig. 8에는 KCI 2017(2017)의 $\rho_{s,\:\min}$으로 배근된 RC 보의 하중-처짐 관계 및 $\mu_{\Delta}$에 관한 2차원 비선형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KCI 2017(2017)의 $\rho_{s,\:\min}$은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LWAC 보에서 NWC 보보다 낮은 $\rho_{s,\:\min}$을 갖는다. KCI 2017(2017)에서 제시하는 $\rho_{s,\:\min}$은 휨 균열 모멘트($M_{cr}$)가 증가할 때 증가하는데, LWAC 보의 $M_{cr}$은 NWC 보보다 낮기 때문에 $\rho_{s,\:\min}$이 감소한다. 예측된 하중-처짐 관계는 LWAC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동일한 $f_{ck}$(=24 MPa)를 갖는 ALWAC($w_{c}$=1,400 kg/m3), SLWAC($w_{c}$=1,700 kg/m3) 및 NWC($w_{c}$=2,300 kg/m3)를 비교하였다. LWAC 보의 하중-처짐 관계는 NWC 보보다 취성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특히 ALWAC 보가 SLWAC 보보다 더 취성적인 경향을 보였다. 전경량 콘크리트(ALWAC) 및 SLWAC 보의 $\mu_{\Delta}$는 NWC 보보다 각각 37 % 및 24 % 낮았다. Fig. 9에는 LWAC 보의 $\rho_{s}$에 따른 하중-처짐 관계 및 $\mu_{\Delta}$를 나타내었다.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보의 $f_{ck}$(=24 MPa) 및 $w_{c}$(=1,700 kg/m3)는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rho_{s}$는 $\rho_{s,\:\min}$($\rho_{s}$=0.003), $2\rho_{s,\:\min}$($\rho_{s}$=0.006), $4\rho_{s,\:\min}$($\rho_{s}$=0.012) 및 $6\rho_{s,\:\min}$($\rho_{s}$=0.018)으로 배근하였다.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보의 $\mu_{\Delta}$는 $\rho_{s}$가 0.018에서 0.012 및 0.006으로 각각 33 % 및 67 % 감소할 때 각각 2.67배 및 3.34배 증가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LWAC 보의 연성은 $\rho_{s}$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과 동일하였다. 이에 반해 $\rho_{s}$가 0.006에서 $\rho_{s,\:\min}$인 0.003으로 감소할 때에는 LWAC 보의 $\mu_{\Delta}$가 3.92로 오히려 42 % 감소하였다. 이는 LWAC 보에서 $\rho_{s,\:\min}$을 설계기준 값보다 높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Fig. 8. Effect of concrete unit weight on $\mu_{\Delta}$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8.png

Fig. 9. Effect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on $\mu_{\Delta}$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9.png

5. 최소 인장 철근비 보정계수 모델 제안

5.1 최소 인장 철근비

KCI 2017(2017)에서는 $\rho_{s,\:\min}$을 갖는 최대 휨모멘트($M_{n}$)는 $M_{cr}$의 1.2배 이상이 되도록 식(1)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1)
$M_{n}\ge 1.2M_{cr}$

식(1)에서 $M_{n}$은 최대 내력 상태에서 위험단면 깊이에 따른 압축 및 인장응력과 이들의 변형률 분포로부터 산정할 수 있다. 최소 인장 철근비($\rho_{s,\:\min}$)를 갖는 보의 최대 내력 시점에서의 $c_{n}$은 일반적으로 플랜지 내에 존재하므로(Wight 2016)(18), T형 보의 $M_{n}$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Fig. 10).

(2a)
$M_{n}=C_{c}\left(c_{n}-\dfrac{a_{1}}{2}\right)+C_{s}\left(c_{n}-d'\right)+T_{s}\left(d-c_{n}\right)$

(2b)
$C_{c}=0.85f_{ck}\beta_{1}b_{eff}c_{n}$

(2c)
$C_{s}=A_{s}'f_{y}'$

(2d)
$T_{s}=A_{s}f_{y}$

Fig. 10. Distribution of strains and stresses at ultimate state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10.png

여기서, $C_{c}$ 및 $C_{s}$는 콘크리트 및 압축 철근의 압축력을, $T_{s}$는 인장 철근의 인장력을, $A_{s}'$는 압축 철근의 단면적을, $f_{y}'$는 압축 철근의 항복강도를, $\beta_{1}$은 등가응력 블록의 깊이 계수를, $a_{1}(=\beta_{1}c_{n})$은 등가응력 블록의 깊이를, $d$는 단면 유효 깊이를, $d'$는 압축 철근까지의 깊이를 나타낸다. 중립축의 깊이($c_{n}$)는 힘의 평형조건($C_{c}+C_{s}=T_{s}$)으로부터 식(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3)
$c_{n}=\dfrac{A_{s}f_{y}-A_{s}'f_{y}'}{0.85f_{ck}\beta_{1}b_{eff}}$

식(1)의 $M_{cr}$은 탄성상태에서 위험단면의 깊이에 따른 휨 응력으로부터 식(4)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4)
$M_{cr}=\dfrac{f_{r}I_{g}}{y_{t}}$

여기서, $I_{g}$는 콘크리트 전단면의 2차 모멘트를, $y_{t}$는 전단면의 중심축부터 인장연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콘크리트 파괴계수($f_{r}$)는 식(5)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5)
$f_{r}=0.63\lambda\sqrt{f_{ck}}$

여기서, $\lambda$는 KCI 2017(2017)에서 ALWAC($w_{c}$=1,400~1,700 kg/m3) 및 SLWAC($w_{c}$=1,700~2,000 kg/m3)에서 각각 0.75 및 0.85으로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식(1)식(2)(4)로 부터 식(6)과 같이 재정리될 수 있다.

(6)
\begin{align*} M_{n}= &0.85f_{ck}\beta_{1}b_{eff}c_{n}\left(c_{n}-\dfrac{a_{1}}{2}\right)+A_{s}'f_{y}'(c_{n}-d')\\\\ &+A_{s}f_{y}(d-c_{n})\ge 1.2\left(\dfrac{f_{r}I_{g}}{y_{t}}\right) \end{align*}

식(3)식(6)에 대입하면 인장 철근 양($A_{s}$)은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7a)
$A_{s}=\left[\dfrac{-B_{1}+\sqrt{B_{1}^{2}-4A_{1}C_{1}}}{2A_{1}}\right]$

(7b)
$A_{1}=-\dfrac{f_{y}^{2}}{1.7f_{ck}b_{eff}}$

(7c)
$B_{1}=\dfrac{f_{y}A_{s}'f_{y}'}{0.85f_{ck}b_{eff}}+f_{y}d$

(7d)
$C_{1}=-\dfrac{A_{s}'^{2}f_{y}'^{2}}{1.7f_{ck}b_{eff}}-A_{s}'f_{y}'d '-1.2\left(\dfrac{f_{r}I_{g}}{y_{t}}\right)$

식(7)은 KCI 2017(2017)를 이용하여 $M_{n}$이 $M_{cr}$의 1.2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식(1)으로부터 유도되었으므로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RC 보의 최소 인장 철근양($A_{s,\:\min}$)으로 간주될 수 있다.

5.2 보정계수

이전 장에서 분석된바와 같이 LWAC 보의 연성은 $\rho_{s}$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지만, $\rho_{s,\:\min}$의 영역에서는 오히려 감소한다. 이에 따라 $\rho_{s,\:\min}$의 영역에서 NWC 보와 동등한 연성 확보를 위해서는 $\rho_{s,\:\min}$의 보정이 필요하다. KCI 2017(2017)에 의해 산정된 LWAC 보의 $\rho_{s,\:\min}$은 NWC 보와 동일한 수준의 $\mu_{\Delta}$를 갖고자 보정계수($\chi_{1}$)를 도입하여 식(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eft(\rho_{s,\:\min}\right)_{LWAC}=\chi_{1}(\rho_{s,\:\min})_{KCI}$

Fig. 11에는 4.1절에 의해 제시된 2차원 비선형해석을 이용하여 산정된 $\chi_{1}$을 나타내었다. 이때 $\chi_{1}$은 $\rho_{s,\:\min}$으로 배근된 NWC 보의 $\mu_{\Delta}$와 동등한 수준을 갖는 LWAC 보의 $\rho_{s}$를 KCI 2017(2017)에 의해 결정된 LWAC 보의 $\rho_{s,\:\min}$으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변수연구에서 적용된 LWAC 보는 $w_{c}$가 1,400~2,300 kg/m3, $f_{ck}$가 20~80 MPa, 압축 철근비($\rho_{s}'$)가 0~0.003 및 $f_{y}$가 400~500 MPa 범위에 있었다. 이때 $\rho_{s}$는 식(7)로부터 산정될 수 있는데, 0.001~0.004 범위에 있었다. 보정계수($\chi_{1}$)는 $f_{ck}/f_{c0}$보다 $w_{c}/w_{0}$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하였는데, 여기서 $w_{0}$는 콘크리트 단위용적중량의 참고값 2,300 kg/m3을, $f_{c0}$는 압축강도의 참고값 10 MPa을 의미한다. 보정계수($\chi_{1}$)는 $w_{c}/w_{0}$가 1.06배 증가함에 따라 약 4 % 감소하였다. 반면 $w_{c}/w_{0}$가 0.74 이하에서 $\chi_{1}$은 $f_{ck}$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지만, $w_{c}/w_{0}$가 0.80 이상에서 $f_{ck}$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이에 따라 $\chi_{1}$은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함수인 $w_{c}$만을 고려하여 다음과 식(9)와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Fig. 11).

(9)
$\chi_{1}=\left(\dfrac{w_{c}}{w_{0}}\right)^{-0.7}$

식(9)에서 $\chi_{1}$은 $w_{c}$가 2,300 kg/m3에서 1,700 kg/m3로 감소할 때에 약 1.24배 증가한다. 즉, $w_{c}$의 감소에 따라 RC 보의 최소 인장 철근비는 증가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rho_{s,\:\min}$ 영역에서 LWAC 보의 연성을 NWC 보와 동등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제시된 $\chi_{1}$은 2차원 비선형해석절차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 범위를 갖는 보의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한 보정이 필요할 수 있다.

Fig. 11. Modeling of a correction factor

../../Resources/kci/JKCI.2020.32.4.307/fig11.png

6. 결 론

이 연구에서는 KCI 2017(2017)에서 제시하는 최소 인장 철근비를 갖는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T형 단순보의 휨 거동을 평가하고, 보통중량 콘크리트(NWC) 보와 동등한 연성 확보를 위한 LWAC 보의 최소 인장 철근비 보정계수를 제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경량 콘크리트(ALWAC) T형 단순보의 변위연성비($\mu_{\Delta}$)는 SLWAC 보와 비교해 약 6 % 감소하였다.

2) 최소 인장 철근비에서 ALWAC 및 SLWAC T형 단순보의 $\mu_{\Delta}$는 동일 조건의 NWC 보와 비교해 각각 28~42 % 및 23~38 % 낮은 수준에 있었다.

3) 최소 인장 철근비 영역의 ALWAC 및 SLWAC 보에서 2차원 비선형해석으로 예측된 하중-처짐 관계로부터 얻어진 $\mu_{\Delta}$는 동일 조건인 NWC 보와 비교해 각각 36 % 및 23 % 낮았다.

4) 2차원 비선형해석으로 예측된 $\mu_{\Delta}$는 인장 철근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KCI 2017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소 인장 철근양의 범위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5) 최소 인장 철근비 영역의 LWAC 보의 연성을 NWC 보와 동등한 수준으로 확보하기 위한 보정계수($\chi_{1}$)는 단위용적중량의 함수로 제시할 수 있었다. 즉, LWAC 보의 최소 인장 철근비는 NWC 보와 비교해 증가시킬 필요가 있었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17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과제번호: No. 2017R1A2B3008463)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중견연구사업이며, 2020학년도 경기대학교 대학원 연구원장학생 장학금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14) and Commentary (ACI 318R-14),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137Google Search
2 
Ahmad S. H., Barker R., 1991,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Beams, ACI Structural Journal, Vol. 88, No. 1, pp. 69-77Google Search
3 
KCI , 2017, KCI Model Code 2017. Seoul, Korea (In Korean),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pp. 136-137Google Search
4 
Lee K. H., 2018, Reliable Model Proposals for Mechanical Properties and Mixing Proportioning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using Expanded Bottom Ash and Dredged Soil Granules, Ph.D. Thesis. Kyonggi UniversityGoogle Search
5 
Lee K. H., Yang K. H., 2018, Proposal for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Model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Using Expanded Bottom Ash and Dredged Soil Granul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34, No. 7, pp. 19-26DOI
6 
Lee S. J., 1997, Flexural Behavior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Google Search
7 
Maghsoudi A. A., Bengar H. A., 2006, Flexural Ductility of HSC Members, Structures Engineering and Mechanics, Vol. 24, No. 2, pp. 195-212Google Search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 2016, General Requirements of Concrete (KSC 14 20 10: 2016) (In Korean), Sejong, Korea; MOLIT, pp. 21-24Google Search
9 
Oh C. Y., Kim J. S., Ha G. J., Kwak Y. K., 1998, A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High 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and Construction, Vol. 14, No. 11, pp. 19-27Google Search
10 
Park R., Paulay T., 1975,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Hoboken. NJ,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John Wiley & Sons, Ltd., pp. 196-199Google Search
11 
Park S. J., Kim Y. B., 199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Ductility of Doubly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Different Concrete Strength,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1, No. 3, pp. 131-140Google Search
12 
Park S. J., Kang T. S., Moon D. Y., 2014, A Study on the Flexural Minimum Reinforcement for Prevention of Brittle Failure Specified in KCI and EN Cod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6, No. 2, pp. 211-218DOI
13 
Seo E. A., Yang K. H., Hong S. H., 2015, Evaluation on Flexural Behavior of Hybrid Beams with Rigid Joint Connecting Steel and Precast Concrete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1, pp. 13-21DOI
14 
Shin S. W., 1988, Member Ductility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4, No. 5, pp. 295-298Google Search
15 
Sim J. I., Yang K. H., 2011, Structural Safety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5, pp. 27-32DOI
16 
Sin L. H., Huan W. T., Islam M. R., Mansur M. A., 2011,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in Flexure, ACI Structural Journal, Vol. 108, No. 1, pp. 3-12Google Search
17 
Wang P. T., 1977, Complete Stress-Strain Curve of Concrete and its Effect on Ductility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Ph.D. Thesis. Illinois UniversityGoogle Search
18 
Wight J. K., 2016, Reinforced Concrete: Mechanics and Design. 7th Edition. London, England, Pearson, pp. 179-183Google Search
19 
Yang K. H., Mun J. H., 2013, Flexural Capacity and Stress in Unbonded Tendons of Post-Tension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Advances in Structural Engineering, Vol. 16, No. 7, pp. 1297-1310DOI
20 
Yang K. H., Mun J. H., Byun H. Y., 2011, Effect of Partial Prestressing Ratio and Effective Prestres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Prestress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1, pp. 39-48DOI
21 
Yang K. H., Mun J. H., Lee J. S., 2014a, Flexural Tests on Pre-Tension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Structures and Buildings, Vol. 167, No. 4, pp. 203-216DOI
22 
Yang K. H., Mun J. H., Cho M. S., Kang T. H. K., 2014b, Stress-Strain Model for Various Unconfined Concrete in Compression,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1, No. 4, pp. 819-826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