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텍사스 주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Fellow, Department of Civil,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78701, USA)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Seni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oyang 10223, Rep. of Korea)



탄소섬유보강폴리머, 미끌림, 형상변수, 인장강도, 탄성계수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slip, shape parameter, tensile strength, elastic modulus

1. 서 론

산업화 초기 건설된 사회 기반 시설물들의 노후화에 따라 구조물의 보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과거 기반 시설들이 건설될 당시 사용된 설계 하중이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되는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 구조물의 내하력을 증진하기 위한 구조물의 보강 수요도 마찬가지로 증가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다양한 보수보강의 방법 중 경제적이고 복잡한 구조물 등에 적용성이 높은 탄소섬유보강폴리머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내하력을 증진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최근 십 수 년 동안 수많은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었고 그에 따라 효과적인 보수보강기법이 개발되었다(Okabe et al. 2010; Chen et al. 2012; Cheng et al. 2014; Khalifa 2016; Na et al. 2017; Kim 2018)(3,4,7-9,13,14). 특히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보강기법은 교량 및 건축물의 내진보강, 내하력 증진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현장에 적용되었고 그를 통해 효용성이 검증되었다.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보수보강을 통한 구조물의 내하력 증진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재료 자체의 기계적 성능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Kim 2019)(19).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기계적 성능에 대한 평가는 ASTM D3039(ASTM 2014)(2)에서 제안한 표준 시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시험 방법에서는 시편의 제작 방법, 인장실험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평가방법 등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시험 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편의 형상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 기술적으로 제시하고 있어서 시험을 수행하는 연구자에 따라 해석이 상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생산 업체 및 실험자의 편의에 따라 인장 시편의 형상이 다를 수 있다. ASTM D3039(ASTM 2014)(2)에서 시편의 형상을 표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는 구속조건이 아니므로 수많은 연구자가 각자의 여건에 맞는 인장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Khalifa and Nanni 2002; Ashour et al. 2004; Taniguchi et al. 2007; Dong et al. 2013; Kim et al. 2014; Ju et al. 2016; Kim 2016; Zhang et al. 2016; Shekarchi et al. 2018)(1,5,6,8,10,11,15-17).

실제 구조물의 보수보강에는 한 겹 또는 두 겹의 탄소섬유보강폴리머가 사용되지만, ASTM D3039(ASTM 2014)(2)에서는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균질한 기계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제 시공 시 적용하는 시편 두께보다 두꺼운 시편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실제 현장에서 시공에 적용하는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두께보다 두꺼우므로 재료 자체의 성능을 과장되게 예측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현장 시공과정이나 재료 자체의 비균질성에 기인한 파괴강도의 저하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구조물의 보강성능을 평가할 때 보강성능을 과장되게 예측한다면 구조물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파괴하중, 변형률 분포 등이 인장 시편의 형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시편의 두께, 길이, 폭에 따른 인장성능 평가 실험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두께의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공인 시험기관에서 실행된 ASTM D3039(ASTM 2014)(2) 실험을 통해 얻은 파괴하중과 탄성계수와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2. 본 문

2.1 실험 설계

2.1.1 탄소섬유보강폴리머 인장 시편

시편 제작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시공기법을 이용하여 본 실험에서 사용된 탄소섬유보강폴리머 인장시험 시편을 제작하였다. 모든 시편은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에폭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laminate)로 제작되었다. 시험 구간과 그립부 탭의 양면은 에폭시를 충분히 적셔 부착하였고, 롤러(roller)와 퍼티용 칼(putty knife)을 사용하여 과잉의 에폭시를 제거하였다.

한 장의 탄소섬유보강폴리머 시험 시편의 공칭 두께는 제조사에서 제안하고 있는 0.11 mm으로 가정하였고 실험결과를 분석할 때 사용하였다. 실험 시편의 폭과 길이 그리고 탄소섬유의 두께는 본 실험의 주요 변수로써 Table 1에 요약하였고 각 시편은 Fig. 1과 같이 제작되었다.

Table 1에 요약된 시험편의 길이는 시편 양 단부의 그립부를 제외한 순수 실험 구간을 나타낸다. 시편의 그립부는 ASTM D3039(ASTM 2014)(2)에서 권장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 부착방식을 사용하여 보강하였다. Fig.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편의 양 단부는 시편과 폭이 동일하고 길이가 100 mm인 탄소섬유보강폴리머 탭을 부착하였다. 탭의 두께는 0.22 mm로 제작되었고 시편의 양면에 에폭시를 사용하여 부착하였다. Fig. 3은 이 연구에서 사용된 시편의 명명법을 나타내고 있다.

2.1.2 계측 방법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인장 시편은 얇고 경량이지만 철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인장시험 장비의 그립에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인장 시편의 변형률을 계측할 때는 변형률 게이지나 신장계(extensometer)를 이용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변위의 과장된 측정을 방지하였다.

Table 1. Summary of test variables

Test variable

Value

Width (mm)

20, 25, 50, 100

Thickness (mm)

0.11 (1 layer), 0.22 (2 layers)

Length (mm)

50, 100, 200, 400

Fig. 2. Dimensions of tes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2.png

Fig. 3. Nomenclature of tes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3.png

탄소섬유보강폴리머는 인장 파괴에 이르기까지 선형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시험 시편의 파괴는 취성파괴 양상을 보이고 또한 시편의 제작 오류, 재료의 비균질성, 시험 세팅에서의 설치 오차 등으로 인해 정확한 파괴 위치를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ASTM D3039(ASTM 2014)(2)에서 다양한 파괴형상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장파괴특성을 고려하여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ASTM D3039(ASTM 2014)(2)에서는 인장 시편의 중앙부에 3개의 변형률 게이지를 앞면과 뒷면에 번갈아서 부착하는 것을 권장한다. 본 실험에서는 중앙부 이외에 추가로 인장 시편의 상・하단부 그립에서 20 mm 위치를 선정하여 총 세 부분의 앞・뒷면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또한, 시편의 제작 오차나 시편 자체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편의 비틀림과 그립부의 미끄러짐 현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Fig. 4에서와 같이 만능재료시험기의 웻지 그립(wedge grip)에 두 개의 리니어 포텐셔미터(linear potentiometer)를 설치하여 모든 실험의 비틀림과 미끄러짐을 계측하였다.

2.1.3 실험 방법

Fig. 4와 같은 2,000 kN 용량의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편의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장실험은 변위제어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력 속도는 1~2 mm/min.(0.01 min-1)이며 탄소섬유보강폴리머 시편의 인장 파괴 시까지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Fig. 4. Uniaxial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4.png

Fig. 5. Effect of specimen area on stress-strain responses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5-1.png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5-2.png

2.2 실험 결과 분석

2.2.1 응력-변형률 거동

탄소섬유보강폴리머 인장 시편의 폭, 길이 그리고 두께에 따른 응력-변형률 거동을 비교하였을 때, 시편의 단면적에 따른 독특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Fig. 5는 이러한 양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실험체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모든 인장 시편의 응력-변형률 거동은 평균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지만, Fig. 5(a)와 5(b)에서 볼 수 있듯이 시편의 폭과 두께가 작을수록, 즉, 시편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선형 거동에 일정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Fig. 5(c)와 같이 시편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면 이러한 노이즈의 발생이 줄어들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특성인 선형 취성파괴 거동을 보인다.

위에서 설명한 응력-변형률 그래프의 특성은 인장 시편의 제작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5(a)에서 볼 수 있는 단면적이 작은 인장 시편의 요동치는 응력-변형률 거동은 경화된 에폭시의 국소적인 인장균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러한 에폭시의 국소적인 인장균열은 모든 시편의 인장시험 과정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시편의 단면적이 작은 경우 에폭시의 국소적인 균열에 의한 인장응력 및 변형률의 급격한 변화가 시편의 응력-변형률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단면적이 큰 경우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응력-변형률 거동의 변동이 심하게 나타난다. 이에 반해 시편의 단면적이 큰 경우는 에폭시의 인장균열로 인한 응력-변형률 거동에 대한 영향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평균적인 응력-변형률 거동의 기울기, 즉 탄성계수는 시편 단면적의 변화와 관계없이 대략 비슷한 값으로 계산되었다.

2.2.2 인장강도

본 연구에서는 시편의 형상에 따른 영향을 포괄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인장 시편 실험 구간의 길이를 시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형상변수(shape parameter; $h_{shape}$)라 정의하고 다음의 식 (1)과 같이 계산하여 탄소섬유의 형상에 따른 실험 결과를 평가하였다. 형상변수는 1/길이(mm-1)의 차원을 가지고 있지만, 실험 변수 간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활용되었다.

(1)
$h_{shape}=\dfrac{l_{c}}{A_{CFRP}}$

추가로 형상변수에 따른 강도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자 수염 차트를 이용하여 형상변수에 따른 데이터의 분포를 Fig. 6과 같이 나타내었다. 통계적 비교의 편의상 상자의 시작과 끝은 인장강도의 평균값에 표준편차를 더하고 뺀 값으로 각각 정의하였고 수염의 값은 표준편차의 1.5배의 값으로 정의하였다. 데이터의 분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박스 수염 차트의 왼쪽에 정규분포 그래프와 데이터의 산점도를 추가하였다. Table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형상변수의 값이 증가할수록 표준편차와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가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시험 시편의 길이가 길거나, 단면적이 감소할수록 인장강도 시험결과의 오차가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또한, 100~150의 형상변수의 범위까지는 형상변수의 증가에 따라 시편의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형상변수의 범위가 150-200로 증가할 경우는 오히려 시편의 인장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상변수의 범위가 150~200에 속해있는 시편의 형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시편의 면적이 가장 작고(폭: 20 mm, 두께: 0.11 mm(1 layer)) 길이가 가장 긴(400 mm) 경우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편의 면적과 길이가 극단적으로 작거나 클 때 재료의 비균질성, 시편 제작 오차, 또는 거치 시 오차 등으로 인한 시편의 조기 파괴가 유발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상변수의 범위가 150~200인 표본수는 다른 형상변수의 범위 표본수보다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위의 추정을 일반화하려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보강공법에 널리 쓰이지 않는 폭(20 mm)이기 때문에 추가 실험을 진행하지 않았다.

Fig. 6. Effect of shape parameter on tensile strength of CFRP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6.png

Table 2. Summary of basic statistical values

Range of $h_{shape}$

0~50

50~100

100~150

150~200

Max

4,001

4,022

4,371

3,672

Min

2,544

2,713

3,380

3,089

Mean

3,273

3,524

3,839

3,415

Median

3,326

3,539

3,826

3,555

SD1)

443

335

321

246

CoV2)

0.14

0.10

0.08

0.07

1)Standard deviation

2)Coefficient of variation

2.2.3 탄성계수

탄소섬유보강폴리머를 구조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성능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기계적 특성은 탄성계수이다. 탄소섬유보강폴리머는 주로 인장 성능을 보강하는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ASTM D3039(ASTM 2014)(2)에서는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초기 현 탄성계수(chord elastic modulus)를 평가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제안하지만, 실험에 따른 탄성계수의 정의 방법을 실험자가 정할 수 있는 여지를 두고 있다. 앞 절(2.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면적이 작은 인장 시편의 경우 경화된 에폭시의 균열로 인한 탄성계수 평가 시 변형률 범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에폭시의 균열에 의한 탄성계수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력 시점부터 인장 시편의 파괴 시까지 전체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할선탄성계수를 식 (2)~(5)으로 구하여 시편의 형상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2)
$Y=a+b X$

(3)
$\overline{X}=\dfrac{\sum_{i=1}^{n}X_{i}}{n}$

(4)
$\overline{Y}=\dfrac{\sum_{i=1}^{n}Y_{i}}{n}$

(5)
$b=\dfrac{\sum_{i=1}^{n}(X_{i}-\overline{X})(Y_{i}-\overline{Y})}{\sum_{i=1}^{n}(X_{i}-\overline{X})^{2}}$

(6)
$a=\overline{Y}-b\overline{X}$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인장 시편의 탄성계수는 Table 3에 요약되어있다.

2.2.4 그립부의 미끄러짐

Table 3. Summary of CFRP tension test results

Specimen

Width

(mm)

Layer

(ea)

Length

(mm)

Area

(mm$^{2}$)

Length/Area

(mm-1)

Ultimate load (N)

Strength

(MPa)

$E_{L}$1) (MPa)

$E_{s}$2)

(MPa)

$E_{L}$/$E_{s}$

CL25(1t)-50

1

26.9

1

50

2.96

16.88

10,110

3,414

208,259

250,931

0.83

CL25(1t)-50

2

11,589

3,913

213,624

284,133

0.75

CL25(1t)-50

3

11,466

3,872

220,025

276,015

0.80

CL25(1t)-200

1

200

2.96

67.53

10,603

3,580

233,632

275,850

0.85

CL25(1t)-200

2

11,713

3,955

224,519

280,646

0.80

CL25(1t)-200

3

10,109

3,413

212,664

272,275

0.78

CL25(1t)-400

1

400

2.96

135.06

12,082

4,080

247,294

278,599

0.89

CL25(1t)-400

2

10,479

3,538

251,409

325,760

0.77

CL25(1t)-400

3

11,096

3,747

265,442

294,794

0.90

CL25(2t)-200

1

2

200

5.92

33.77

23,672

3,997

192,117

285,130

0.67

CL25(2t)-200

2

23,548

3,976

200,850

291,796

0.69

CL25(2t)-200

3

17,631

2,977

203,899

283,780

0.72

CL25(2t)-400

1

400

5.92

67.53

19,110

3,226

232,141

315,851

0.73

CL25(2t)-400

2

20,713

3,497

236,843

291,423

0.81

CL25(2t)-400

3

21,700

3,664

235,664

274,347

0.86

CL50(1t)-100

1

50.0

1

100

5.50

18.18

16,521

3,004

122,719

243,438

0.50

CL50(1t)-100

2

18,494

3,363

109,001

275,841

0.40

CL50(1t)-100

3

15,658

2,847

147,430

251,071

0.59

CL50(1t)-200

1

200

5.50

36.36

15,658

2,847

203,301

224,263

0.91

CL50(1t)-200

2

16,890

3,071

203,661

303,969

0.67

CL50(1t)-200

3

21,576

3,923

211,536

279,827

0.76

CL50(1t)-400

1

400

5.50

72.73

14,919

2,713

262,982

267,321

0.98

CL50(1t)-400

2

19,850

3,609

236,638

304,482

0.78

CL50(1t)-400

3

18,864

3,430

232,357

276,846

0.84

CL50(2t)-200

1

2

200

11.00

18.18

37,850

3,441

159,229

289,428

0.55

CL50(2t)-200

2

36,987

3,362

191,132

278,758

0.69

CL50(2t)-200

3

39,083

3,553

185,567

282,857

0.66

CL50(2t)-400

1

400

11.00

36.36

31,069

2,824

201,873

291,850

0.69

CL50(2t)-400

2

44,015

4,001

215,182

291,055

0.74

CL50(2t)-400

3

39,453

3,587

223,371

259,452

0.86

CL100(1t)-200

1

100.0

1

200

11.00

18.18

30,822

2,802

122,276

269,647

0.45

CL100(1t)-200

2

32,302

2,937

124,172

276,546

0.45

CL100(1t)-200

3

27,987

2,544

90,136

272,906

0.33

CL100(1t)-400

1

400

11.00

36.36

28,973

2,634

156,632

270,005

0.58

CL100(1t)-400

2

36,988

3,363

183,255

260,542

0.70

CL100(1t)-400

3

39,453

3,587

197,129

271,376

0.73

CL100(2t)-200

1

2

200

22.00

9.09

56,837

2,584

89,249

274,628

0.32

CL100(2t)-200

2

66,084

3,004

83,856

313,616

0.27

CL100(2t)-200

3

65,467

2,976

88,338

307,614

0.29

CL100(2t)-400

1

400

22.00

18.18

72,372

3,290

161,713

281,066

0.58

CL100(2t)-400

2

76,934

3,497

164,746

278,903

0.59

CL100(2t)-400

3

66,207

3,009

185,439

285,944

0.65

CL20(1t)-200

1

19.23

1

200

2.12

94.55

8,384

3,963

193,832

297,270

0.65

CL20(1t)-200

2

7,151

3,380

187,050

244,360

0.77

CL20(1t)-200

3

6,781

3,206

206,068

270,201

0.76

CL20(1t)-200

4

8,508

4,022

181,405

250,952

0.72

CL20(1t)-200

5

7,768

3,672

200,926

265,877

0.76

CL20(1t)-300

1

300

2.12

141.82

8,754

4,138

210,739

257,396

0.82

CL20(1t)-300

2

9,247

4,371

222,521

262,951

0.85

CL20(1t)-300

3

7,521

3,555

212,182

242,111

0.88

CL20(1t)-300

4

7,151

3,380

199,039

240,755

0.83

CL20(1t)-300

5

8,260

3,905

214,257

276,414

0.78

CL20(1t)-400

1

400

2.12

189.09

6,658

3,147

223,245

255,311

0.87

CL20(1t)-400

2

6,534

3,089

215,663

283,006

0.76

CL20(1t)-400

3

7,644

3,614

221,611

261,274

0.85

CL20(1t)-400

4

7,521

3,555

215,747

273,969

0.79

CL20(1t)-400

5

7,767

3,672

217,674

259,470

0.84

Mean

-

-

-

-

-

-

-

3,427

193,917

275,542

-

CoV

-

-

-

-

-

-

-

0.13

0.23

0.07

-

1)Elastic modulus calculated using linear potentiometer

2)Elastic modulus calculated using strain gauge

앞에서 언급했듯이 ASTM D3039(ASTM 2014)(2)에서는 변형률 게이지를 인장 시편의 중앙에 설치하여 계측한 변형률을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구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실험 장비 자체의 변위는 실제 시편의 인장 변위에 그립부에서의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 변위가 더해진다. 그에 따라 실험장비의 그립 자체의 변위를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구하면 탄성계수의 값이 실제의 값보다 과소평가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인장 시편의 미끄러짐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하여 인장 성능을 평가하는데 그립부의 비대칭적인 미끄러짐 현상에 의하여 각각의 변형률 게이지에서 구한 탄성계수의 값에 큰 변동을 보일 수 있다.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인장실험 시 그립부에서의 미끄러짐 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인장 시편의 길이 및 단면적에 따른 할선탄성계수를 리니어 포텐셔미터와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하였고 이를 비교하였다. 비교의 편의를 위하여 리니어 포텐셔미터를 이용하여 구한 선형탄성계수를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한 선형탄성계수로 나누어준 값을 구하였고 이 값들은 Table 3에 정리되어 있다.

Fig. 7. Effect of CFRP layer on elastic modulus ratio ($E_{L}/ E_{s}$)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7-1.png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7-2.png

Fig. 8. Effect of specimen length on elastic modulus ratio ($E_{L}/ E_{s}$)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8-1.png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8-2.png

Fig. 7은 탄소섬유보강폴리머 시편의 두께에 따른 리니어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탄성계수와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한 탄성계수의 비율의 경향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편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탄성계수의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시편의 길이와 상관없이 관측되었으며, 이것을 통해 인장 시편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미끄러짐에 의한 변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8은 시편 길이의 탄성계수 비율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두께와 폭이 일정한 상태에서, 즉, 시편의 단면적이 일정할 경우 인장 시편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탄성계수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인장 시편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미끄러짐 현상이 줄어드는 현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현상은 시편의 길이가 길어져서 그립부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지만, 길이가 긴 시편 전체에 응력이 고루 전달되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함께 고려하여 미끄러짐 현상을 기술하였다.

Fig. 9는 시편의 길이와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때의 탄성계수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시편의 폭이 증가할수록 탄성계수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편의 폭이 증가할수록 그립부의 미끄러짐 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Fig. 9. Effect of specimen width on elastic modulus ratio ($E_{L}/ E_{s}$)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9.png

Fig. 10. Effect of specimen length on elastic modulus ratio ($E_{L}/ E_{s}$)

../../Resources/kci/JKCI.2020.32.3.267/fig10.png

Fig. 10의 그래프는 형상변수에 따른 탄성계수의 비율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한 선형탄성계수의 값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형상변수가 커짐에 따라 탄성계수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장 시편의 폭이 넓을수록 탄성계수의 비율이 0.27~0.98의 넓은 범위에 분포하고 있지만, 시편의 폭이 좁은 경우 탄성계수의 비율이 0.65~0.89의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탄성계수 비율의 값이 0.5 이하의 값을 나타내며 변동폭이 큰 경우는 전체의 12 %를 차지했으며 이 경우는 모두 형상변수의 값이 20 이하였다. 이를 통해 시편의 길이가 증가하거나 단면적이 작아질수록 그립에서 시편의 미끄럼에 의한 변위가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 론

탄소섬유보강폴리머의 인장 시편의 형상에 따른 인장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1) 시편의 단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에폭시의 국소 파괴에 따른 갑작스러운 인장변형이나 강도의 감소가 응력-변형률 거동이 요동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시편의 단면적이 50×0.22 mm(2 layers) 이상일 때 에폭시의 국소적인 인장균열에 의한 영향이 감소하고 응력-변형률 거동이 흔히 알려진 선형 거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2) 형상변수에 따른 변형률 게이지와 리니어 포텐셔미터를 통해 구한 탄성계수의 비율 비교를 통해 인장 시편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장 시편의 형상계수는 150~200의 범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인장시험장비의 변위를 이용하여 구한 탄성계수는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한 탄성계수에 비하여 80 % 정도의 값을 나타낸다.

3) 하지만 인장강도의 분석에서 확인했듯이 형상변수가 지나치게 커지는 시편의 인장시험은 실험 외적인 변수에 따라 인장강도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인장강도 분석 결과 형상계수의 범위가 100~150인 경우에 가장 최적의 인장강도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NRF-2016R1A6A3A11931420)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

References

1 
Ashour A. F., El-Refaie S. A., Garrity S. W., 2004, Flexural Strengthening of RC Continuous Beams Using CFRP Laminat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6, No. 7, pp. 765-775DOI
2 
20014, ASTM D3039/D3039M-14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Polymer Matrix Composite Material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3 
Chen G. M., Chen J. F., Teng J. G., 2012, On the Finite Element Modelling of RC Beams Shear-strengthened with FRP,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32, pp. 13-26DOI
4 
Cheng P., Gong X. J., Aivazzadeh S., Xiao X., 2014, Experimental Observation of Tensile Behavior of Patch Repaired Composites, Polymer Testing, Vol. 34, pp. 146-154DOI
5 
Dong J., Wang Q., Guan Z., 2013, Structural Behaviour of RC Beams with External Flexural and Flexural-shear Strengthening by FRP Sheets, Composites: Part B, Vol. 44, No. 1, pp. 604-612DOI
6 
Ju H., Han S. J., Cho H. C., Lee D. H., Kim K. S., 2016, Flexural Performance of Slabs Strengthened by Fiber-reinforced Polymer Sheet with Hydrophilic Epoxy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1, pp. 85-94DOI
7 
Khalifa A. M., 2016, Flexural Performance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Near Surface Mounted CFRP Strips, Alexandria Engineering Journal, Vol. 55, No. 2, pp. 1497-1505DOI
8 
Khalifa A., Nanni A., 2002, Rehabilitation of Rectangular Simply Supported RC Beams with Shear Deficiencies Using CFRP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6, No. 3, pp. 135-146DOI
9 
Kim C., 2018,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Bi-directional CFRP Strip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2, No. 6, pp. 30-36DOI
10 
Kim J. S., Seo H. S., Lim J. H., Kwon M. H., 2014, An Performance Evaluation of Seismic Retrofitted Column Using FRP Composite Reinforcement for Rapid Retrofitting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6, No. 1, pp. 47-55DOI
11 
Kim Y. G., 2016, Evaluation of Shear Behavior of Beams Strengthened in Shear with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with Mohr’s Circle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5, pp. 527-534DOI
12 
Kim Y. G., 2019, Study on Strain Response Converted from Deformation in Tensile Test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s (CFRP)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3, No. 4, pp. 137-144DOI
13 
Na W., Lee G., Sung M., Han H. N., Yu W.-R., 2017, Prediction of the Tensile Strength of Unidirectional Carbon Fiber Composites Considereing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Composite Structures, Vol. 168, pp. 92-103DOI
14 
Okabe T., Ishii K., Nishikawa M., Takeda N., 2010, Prediction of Tensile Strength of Unidirectional CFRP Composites,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Vol. 19, No. 3, pp. 229-241DOI
15 
Shekarchi W. A., Ghannoum W. M., Jirsa J. O., 2018, Use of Anchored Carbon Fiber-reinforced Polymer Strips for Shear Strengthening of Large Girders,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5, No. 1, pp. 281-291Google Search
16 
Taniguchi N., Nishiwaki T., Kawada H., 2007, Tensile Strength of Unidirectional CFRP Laminate under High Strain Rate,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Vol. 16, No. 2, pp. 167-180DOI
17 
Zhang X., Hao H., Shi Y., Cui J., Zhang X., 2016, Static and Dynamic Material Properties of CFRP Epoxy Lamina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14, pp. 638-649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