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토목공학전공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Dongseo University, Busan 47011, Rep. of Korea)



탄소섬유판, 콘크리트 기둥, 표면매입(NSM), 외부부착(EBR), 파괴양상
CFRP strips, concrete column, near surface mounted (NSM), exterior bonded reinforcing (EBR), failure modes

1. 서 론

현재 널리 적용되고 있는 노후 교량 기둥 보강 방식은 콘크리트 기둥 단면을 증설하거나 강판을 접착하는 등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강판 접착 공법은 시공이 어렵고, 부식 및 내화성능 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기둥 단면 증설 공법은 콘크리트 기둥 단면적이 증가하여 기초부의 하중 부담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현재 탄소섬유시트를 부착하는 기둥 보강 공법이 일부 행해지고 있으며, 이는 보강 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법은 벽지 모양의 탄소섬유시트를 여러 겹 기둥 표면에 부착하는 공법이기 때문에 섬유시트 부착 시 부착하는 인부의 숙련도에 따라 보강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최근 들어 탄소섬유판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보강방식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및 전단 보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Novidis et al. 2007). 또한, 탄소 및 유리섬유 보강재를 활용한 기둥 보강 방식 및 그 역학적 효과를 위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Barros and Ferreira 2008; Wang et al. 2015, 2016, 2017; Qi et al. 2019) 그러나 탄소섬유판으로 외부 부착 보강된 콘크리트 부재는 일반적으로 계면 부착 파괴로 인한 탄소섬유판의 탈락 및 콘크리트 피복탈락으로 인한 파괴가 발생하며, 따라서 탄소섬유판과 콘크리트 부재와의 합성 거동을 유도할 수 없다(Liu et al. 2006; Seracino et al. 2007).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탄소섬유판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탄소섬유판을 표면에 매입하는 공법(Near Surface Mounted, NSM)이 최근 들어 소개되고 있다. 이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시 표면처리가 필요 없어 시공성이 우수하며, 탄소섬유판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어 화재, 외부 및 기계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 등으로 인하여, 매우 좋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탄소섬유판이 콘크리트 표면에 매입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휨 거동, 전단 거동 및 부착기구 등에 관한 다양한 실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De Lorenzis and Teng 2007; Lim 2009), NSM 탄소섬유 보강보의 휨 및 전단 거동 실험 결과, 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강성 및 극한 전단강도는 섬유판으로 보강되지 않은 보에 비하여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De Lorenzis and Nanni 2001; Lim 2010). 그러나 이와 같이 매우 큰 효용성이 기대되는 매입 탄소판(CFRP NSM strips) 보강 방식을 활용한 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며, 이를 활용한 노후 구조물 기둥의 보강 공법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판을 콘크리트 표면에 매입하는 공법을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역학적 우수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탄소섬유판 및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구조실험을 수행하고, 역학적 거동 및 파괴특성 등을 규명하고자 한다.

2. NSM 및 EBR 탄소섬유판으로 보강 RC기둥 실험

2.1 실험 부재

본 연구에서는 높이 1,000 mm, 단면 200 mm×200 mm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18개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콘크리트 28일 압축강도는 35 MPa가 되도록 배합설계(Table 1)를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탄소섬유판을 보강하지 않은 RC 기둥(Cont), 표면부착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RC 기둥(EB Series), 표면매입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RC 기둥(NSM Series), 탄소섬유시트 부착 기둥 및 표면매입탄소섬유판과 탄소섬유시트를 혼용하여 보강한(NSM+Sheet) 실험 부재를 제작하였고, 이들에 대한 기둥 보강 효용성과 역학적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EB Series 기둥은 축방향과 직교방향(횡방향)으로 탄소섬유판을 콘크리트 표면부에 부착하였으며, 부착 간격은 100 mm(EB100), 150 mm(EB150), 200 mm(EB200)로 결정하였다. NSM Series 기둥에서는 매입탄소섬유판의 깊이를 10 mm(NSM10 series) 및 15 mm(NSM15 series) 두 종류로 달리하여, 매입 깊이에 따른 섬유판 보강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매입탄소섬유판은 표면부착탄소섬유판과 동일하게 100, 150, 200 mm의 간격으로 보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둥 보강용으로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탄소섬유시트를 3겹으로 기둥 표면에 부착하였으며, 15 mm 깊이로 표면매입한 탄소섬유판과 탄소섬유시트를 혼용하여 보강한 기둥(NSM15-100, 150, 200+Sheet)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기둥의 주 철근은 D13이며, 띠철근은 D10을 사용하고, 140 mm 간격을 유지하였다. Fig. 1은 본 실험에서 사용된 콘크리트 기둥의 배근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Fig. 2는 NSM, EBR 보강 기둥 및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기둥 시험체의 형상 및 센서 부착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Table 2는 실험에서 채택한 실험 시편의 종류와 변수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에서 사용된 탄소섬유판은 유럽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두께 1.2 mm 폭 50 mm의 S사 탄소섬유판이며, 또한 탄소섬유시트는 국내에서 제조되고 있는 HR Carbo Plates를 사용하였다. Table 3은 실험에 사용된 탄소섬유판 및 탄소섬유시트의 재료물성 및 인장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1. Mix proportions

Water

($kg/m^{3}$)

Cement

($kg/m^{3}$)

Fine agg.

($kg/m^{3}$)

Coarse agg.

($kg/m^{3}$)

Admixture ($kg/m^{3}$)

161

372

868

936

3.00

Fig. 1. Reinforcement details of tes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png

Table 2. Test specimens and test variables

Specimens

NSM strip

EB CFRP

CFRP sheet

Depth

(mm)

Spacing

(mm)

Spacing

(mm)

CONT1

-

-

-

-

CONT2

-

-

-

-

EB100

-

-

100

-

EB150

-

-

150

-

EB200

-

-

200

-

NSM10-100

10

100

-

-

NSM10-150

10

150

-

-

NSM10-200

10

200

-

-

NSM15-100

15

100

-

-

NSM15-150

15

150

-

-

NSM15-200

15

200

-

-

SHEET

-

-

-

Sheet

NSM15-100+SHEET

15

100

-

Sheet

NSM15-150+SHEET

15

150

-

Sheet

NSM15-200+SHEET

15

200

-

Sheet

EB150+SHEET

-

-

150

Sheet

Table 3. Characteristics of used CFRP strips and sheets

Tensile

strength

(MPa)

Modulus of elasticity

(MPa)

Elongation at

break

(‰)

Strips

2,800

165,000

16.9

Sheet

500

28,500

12.6

2.2 표면매입(NSM) 및 외부부착(EBR) 탄소섬유판의 설치

탄소섬유판을 표면에 매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기둥 부재 길이 직각 방향으로 깊이 10 mm 및 15 mm의 홈(groove)을 절취하였다. 수동 에폭시건(epoxy gun)을 이용하여 에폭시레진을 홈에 충진 하였으며, 탄소섬유판을 홈에 매입하였다. 탄소섬유판은 폭 10 mm 및 15 mm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절취하고 표면을 알콜로 청결히 한 뒤, 스트레인 게이지를 섬유판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여 홈 속에 매입하였다. 사용된 에폭시레진은 스위스 Sika 사의 Sika30-normal이며, 에폭시와 경화제를 2:1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사용 에폭시레진의 압축강도는 71.7 MPa, 인장강도 48 MPa 그리고 탄성계수는 1,200 MPa 이다. 또한, 탄소섬유판 및 탄소섬유시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표면을 그라인더로 갈고 표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부착 탄소탄소섬유판 폭은 15 mm이다.

2.3 실험방법

본 기둥 실험에서는 2,000 kN 용량의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1축 압축 실험이 수행되었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탄소섬유판 및 압축 철근에 부착하였으며, 기둥 부재가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 단계적으로 하중을 가하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둥의 체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재하 방향 수직 방향으로 다이얼게이지를 부착하였다. 매입 및 부착된 탄소섬유판에 스트레인게이지를 섬유판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여 각 하중 단계에 따른 탄소섬유판 변형률을 측정하였다(Fig. 2). 측정값은 Data Aquisition Software를 통해 처리 분석되었다.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극한 강도

Table 4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부재의 1축 압축 극한 강도 및 증진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탄소섬유의 보강 방식 및 보강량에 따라 강도는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으로 보강된 기둥 부재는 부착탄소섬유판(EB CFRP)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기둥보다 보강 효과가 매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 기둥을 감싸며 보강하는 탄소섬유시트의 보강 형태도 보강 효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공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시트 부착 시 부착하는 인부의 숙련도에 따라 보강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Table 4. Ultimate load for test specimens

Specimens

Ultimate

load

(kN)

Compressive strength

(MPa)

Increase ratio*

(%)

CONT1

1,220

30.5

-

CONT2

1,250

31.3

-

EB100

1,350

33.8

9.3

EB150

1,320

33.0

6.9

EB200

1,270

31.8

2.8

NSM10-100

1,550

38.8

25.5

NSM10-150

1,510

37.8

22.3

NSM10-200

1,460

36.5

18.2

NSM15-100

1,580

39.5

27.9

NSM15-150

1,530

38.3

23.9

NSM15-200

1,490

37.3

20.6

SHEET

1,430

35.8

15.8

NSM15-100+SHEET

1,650

41.3

33.6

NSM15-150+SHEET

1,650

41.3

33.6

NSM15-200+SHEET

1,600

40.0

29.6

NSM10-100+SHEET

1,580

39.5

27.9

*Increase ratio of ultimate strength compared with CONT column

본 실험 결과, 탄소섬유로 보강이 되지 않은 기둥(Cont)의 경우, 극한강도는 1,235 kN으로 나타났으나,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기둥(SHEET)은 강도가 1,430 kN으로 나타나 보강하지 않은 보에 비해 약 116%의 강도 증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소섬유판으로 외부 부착(EB)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EB 100, 150, 200)은 극한강도가 1,270~1,350 kN 범주에 있었으며, 강도 증진폭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은 1,460~1,580 kN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보강하지 않은 기둥보다 128%의 보강 효과를 보였다. 이는 보강 기둥의 파괴 거동 관찰 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부착(EB)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EB 100, 150, 200)은 축방향으로 발생하고 있는 균열을 충분히 저항하지 못해 탄소섬유판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부풀어 오르며, 섬유판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분리되는 파괴 거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은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하여 균열이 확산 및 발전되지 못하며, 극한상태에서 지압파괴가 발생하여 취성파괴가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이 충분히 기둥의 균열과 파괴를 제어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둥의 저항 능력을 현저하게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소섬유판을 콘크리트 기둥 표면에 매입하여 보강한 경우, 매우 적은 면적의 탄소섬유판으로도 기둥 내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과 탄소섬유시트를 혼용(NSM+SH Series)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기둥의 극한강도는 현저하게 증가(1,580~1,650 kN)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혼용하는 보강 방식은 매우 유용한 보강 형태가 될 수 있다.

3.2 하중-변위 관계 특성

탄소섬유판 혹은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부재보다 더 높은 하중에 이르기까지 선형구간이 확대되며, 극한강도가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은 보강이 되지 않은 기둥 부재(Cont)와 외부에 탄소섬유판을 부착하여 보강한 기둥(EB Series)의 하중-변위 관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탄소섬유판으로 외부 부착(EB)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EB 100, 150, 200)은 보강 간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극한하중은 1,270~1,350 kN 범주에 있었으며, 그 증진폭은 기준 부재와 비교해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부착(EB)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EB 100, 150, 200)은 축방향으로 발생하고 있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하지 못하며, 따라서 탄소섬유판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부풀어 오르며 분리되는 파괴 거동을 일으키게 된다.

Fig. 3. Load-displacement characteristics for EB series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3.png

Fig. 4. Load-displacement characteristics for Sheet series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4.png

Fig. 5. Load-displacement characteristics for NSM10-series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5.png

Fig. 6. Load-displacement characteristics for NSM15-series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6.png

Fig. 7. Load-displacement characteristics for NSM+Sheet series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7.png

Fig. 4는 보강이 되지 않은 기둥 부재(Cont) 부재와 외부에 탄소섬유시트를 부착하여 보강한 기둥(SHEET) 부재의 하중-변위 관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기둥(SHEET)은 극한하중이 1,430 kN로 나타나 보강하지 않은 보에 비해 115.8% 이상의 강도 증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탄소섬유시트는 표면부에 탄소섬유판을 부착한 기둥(EB Series)보다 횡방향 구속 응력을 충분히 제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탄소섬유시트가 부분적으로 표면에서 분리되며 파괴되는 양상을 보인다.

Figs. 5~6은 보강이 되지 않은 기둥 부재(Control)와 탄소섬유판을 표면부에 매입하여 보강한 기둥(NSM Series)의 하중-변위 관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은 압축강도가 보강하지 않은 기둥보다 약 128%의 높은 보강 효율을 보인다. 이는 매입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은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하여 균열이 확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소섬유판을 콘크리트 기둥 표면에 매입하여 보강한 경우, 매우 적은 면적의 탄소섬유판으로도 기둥 내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Fig. 7은 탄소섬유판을 표면부에 매입 보강하고 탄소섬유시트를 혼용 보강한 기둥(NSM+Sheet Series)의 하중-변위 관계 특성 나타낸 것이다. 위 부재는 압축강도가 최대 41.3 MPa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보강하지 않은 기둥보다 약 134%의 높은 보강 효율을 보인다. 위 보강 기둥 부재는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할 뿐 아니라 극한 내력이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탄소섬유판 보강기둥의 파괴거동

Fig. 8은 보강이 전혀 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기둥(Cont)의 파괴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전형적인 취성파괴 형상을 보인다.

Fig. 8. Failure of CONT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8.png

Fig. 9. Failure of EB 10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9.png

Fig. 10. Failure of EB 15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0.png

Fig. 11. Failure of EB 20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1.png

Figs. 9~11은 탄소섬유판이 표면에 부착 보강된 기둥(EB 100, 150, 200)의 파괴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알수 있듯이, EB 100, 150, 200 기둥의 파괴는 하중 재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직균열로 시작되며, 하중이 점점 증가할수록 확대되면서 취성적으로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강 효과가 Cont 보에 비하여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Figs. 12~13은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기둥(SHEET)과 탄소섬유판을 표면에 부착하고 시트로 혼용 보강한 기둥(EB150+Sheet)의 파괴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탄소섬유 시트는 표면부에 탄소섬유판을 부착한 기둥(EB Series)보다 횡방향 구속 응력을 충분히 제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탄소섬유시트가 부분적으로 표면에서 분리되며 파괴되는 양상을 보인다. Figs. 14~19는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의 파괴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입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의 압축강도는 보강하지 않은 기둥보다 최대 약 128% 정도의 보강 효과를 보인다. NSM Series 기둥은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하여 균열이 확산 및 발전되지 못하며, 지압파괴가 발생하여 취성파괴가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입탄소섬유판(NSM CFRP)이 기둥의 균열과 파괴를 적절히 제어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둥 극한내력을 현저하게 향상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s. 20~21은 매입탄소섬유판과 탄소섬유시트를 혼용(NSM+SH Series)하여 보강한 기둥의 파괴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 부재는 압축강도가 매우 증진되며,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할 뿐 아니라 내력 또한 크게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2. Failure of Sheet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2.png

Fig. 13. Failure of EB150+Sheet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3.png

Fig. 14. Failure of NSM10- 10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4.png

Fig. 15. Failure of NSM15- 10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5.png

Fig. 16. Failure of NSM10- 15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6.png

Fig. 17. Failure of NSM15-15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7.png

Fig. 18. Failure of NSM10- 20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8.png

Fig. 19. Failure of NSM15- 200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19.png

Fig. 20. Failure of NSM200+Sheet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20.png

Fig. 21. Failure of NSM200+Sheet

../../Resources/kci/JKCI.2020.32.1.045/fig21.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판 및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기둥의 역학적 거동 및 파괴특성 등을 규명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탄소섬유시트 부착, 탄소섬유판 표면부착 및 표면매입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기둥을 18개 제작하고 일축 압축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표면매입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기둥은 보강이 되지 않은 기둥(Cont)의 경우보다 극한강도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입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은 압축강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보강하지 않은 기둥보다 128% 정도의 보강 효과를 보인다. 또한, 매입탄소섬유판과 탄소섬유시트를 혼용(NSM+SH Series)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기둥의 저항 내력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혼용하는 보강 방식은 매우 유용한 보강 형태가 될 수 있다.

2) 탄소섬유판 혹은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부재보다 더 높은 하중에 이르기까지 선형구간이 확대된다. 특히 매입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기둥(NSM Series)은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하여 균열이 확산을 방지할 뿐 아니라 극한 내력이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탄소섬유판이 표면에 부착 보강된 기둥(EB 100, 150, 200)의 파괴는 하중 재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직균열로 시작되며, 탄소섬유판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부풀어 오르며 분리되는 파괴 거동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매입탄소섬유판으로 보강된 기둥은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충분히 제어하며 보강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ferences

1 
Barros J., Ferreira D., 2008, Assessing the Efficiency of CFRP Discrete Confinement Systems for Concrete Cylinders, Journal of Composite Construction, Vol. 12, No. 2, pp. 134-148DOI
2 
De Lorenzis L., Nanni A., 2001, Shear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NSM Fiber-reinforced Polymer Rods, ACI Structure Journal, Vol. 98, No. 1, pp. 60-68Google Search
3 
De Lorenzis L., Teng J. G., 2007, Near-surface Mounted FRP Reinforcement: An Emerging Technique for Strengthening Structures, Composite Part B, Vol. 38, pp. 119-143DOI
4 
Lim D. H., 2009, Combinations of NSM and EB CFRP Strips for Flexural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61, No. 8, pp. 633-644DOI
5 
Lim D. H., 2010, Shear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NSM and EB CFRP Strip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62, No. 3, pp. 211-220DOI
6 
Liu I., Oehlers D. J., Seracino R., 2006, Test on the Ductil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Retrofitted with FRP and Steel Near Surface Mounted Plates, Composite Construction Journal, Vol. 10, No. 2, pp. 106-114DOI
7 
Novidis D., Pantazopoilou S. J., Tentoluris E., 2007, Experimental Study of Bond of NSM-FRP Reinforcement,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s, Vol. 27, pp. 1760-1770DOI
8 
Qi C., Xiaojun L., Jianpu Z., Zhongguo J. M., 2019, Expansive Concrete Confined by CFRP under Eccentric Compress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08, pp. 113-124DOI
9 
Seracino R., Raizal Saifulnaz M. R., Oehlers D. J., 2007, Generic Intermediate Crack Debonding Resistance of EB and NSM Plate-to-concrete Joints, Composite Construction Journal, Vol. 11, No. 1, pp. 62-70DOI
10 
Wang W., Sheikh M. N., Hadi M. N. S., 2015, Behaviour of Perforated GFRP Tubes under Axial Compression, Thin- Walled Structures, Vol. 95, pp. 88-100DOI
11 
Wang W., Sheikh M. N., Hadi M. N. S., 2016, Experimental Study on FRP Tube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20, No. 5, pp. 04016034-1-04016034-11DOI
12 
Wang W., Sheikh M. N., Hadi M. N. S., 2016, Experimental Study on FRP Tube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20, No. 5, pp. 04016034-1-04016034-1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