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PVA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자원순환형 재료, 역학적 특성, CO2 배출량, 결합재 지수
PVA FRCCs, recycled materials, mechanical properties, CO2 emission, binder intensity

  • 1. 서 론

  • 2. 사용재료 및 실험방법

  •   2.1 사용재료

  •   2.2 실험방법

  • 3. CO2 배출량 평가 절차

  •   3.1 시스템 경계

  •   3.2 LCI data base

  •   3.3 단계별 CO2 배출량 평가

  •   3.4 결합재 지수() 및 CO2 지수()

  • 4. 실험결과 및 분석

  •   4.1 FRCCs 배합에 따른 역학적 특성

  •   4.2 FRCCs 배합에 따른 CO2 배출량

  •   4.3 결합재 지수()

  •   4.4 CO2 지수()

  • 5. 결 론

1. 서    론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FRCCs)는 2% 내외의 보강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인장강도 및 변형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일반 콘크리트의 취성적 파괴특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섬유의 가교작용(fiber bridging)을 통해 무수히 많은 미세균열(micro cracks)을 형성시킴으로써 우수한 내구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구조물 자체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1) 그러나 FRCCs는 모르타르 계열로써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시멘트 양(국가 LCI DB 기준 시멘트 1톤 생산시 944kg의 CO2가 배출)을 필요로 하는 고에너지 소비형 재료이다. 현재 시멘트 산업은 온실가스를 포함한 환경 영향 저감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사회적 요구가 증가 되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 산업의 에너지 소비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전 세계적인 화두 앞에서 이산화탄소(CO2) 저감은 필수적으로 다가오고 있다.2,3) 이에 따라 최근 전 세계적으로 CO2 배출저감 및 천연자원 보존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4)

CO2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콘크리트 연구는 타 산업에서 다량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blast furnace slag) 및 플라이 애시(fly ash)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탈황석고, 레드머드 등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5,6) 한편, 천연자원 보존 연구의 일환으로 건설폐기물을 천연골재의 대체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7,8) 천연골재의 고갈과 폐 콘크리트의 처리문제로 인한 환경 파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순환골재의 사용을 확대하여야 하지만, 아직까지 순환골재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순환골재 및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기존 연구의 부족으로 순환골재를 보편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자원순환형 재료의 활용은 CO2 배출량의 저감과 함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및 천연자원 보존의 긍정적 환경영향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자원순환형 재료 치환에 따른 CO2 저감을 쉽게 평가 할 수 있는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다.9) 특히, FRCCs에 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마이크로역학(micro mechanics)에 근거한 재료의 인장성능 향상 및 규명에 집중되었을 뿐 CO2 저감 및 순환골재 사용 방안에 관해서는 일부만이 이루어지고 있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 애시 및 순환 잔골재(recycled sand) 등의 자원순환형 재료를 이용한 FRCCs를 구조 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존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를 이용한 FRCCs 대비 성능유지 90% 이상을 목표로 하여 자원순환형 재료를 사용한 FRCCs를 제조 및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FRCCs 제조 시 발생되는 CO2 배출량 및 자원순환형 재료 측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O2 배출량에 따른 FRCCs의 강도를 분석하여 향후 지속가능성, 경제성뿐만 아니라 환경부하 저감 성능을 동시에 갖출 수 있는 최적의 FRCCs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사용재료 및 실험방법

2.1 사용재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재료전경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Fig. 1 및 Tables 1∼3에 각각 나타내었다. 시멘트는 KS L 520111)에 규정된 국내 A사에서 생산되는 밀도 3.14g/cm3의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플라이 애시는 F급으로서 국내 B화력발전소 부산물로 밀도 2.11g/cm3이며, 잔골재는 강원도 주문진읍에서 생산된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였으며 순환골재는 폐 콘크리트 파쇄골재를 사용하였다. 보강섬유로는 일본 K사의 고장력 PVA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혼화제로는 시멘트의 분산작용과 미세 공기의 연행으로 단위 수량 저감,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키는 폴리카르복실산계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Fig. 1

Materials used for FRCCs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1.jpg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FA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Table_CONCRETE_29_04_06_T1.jpg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Table_CONCRETE_29_04_06_T2.jpg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fiber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Table_CONCRETE_29_04_06_T3.jpg

2.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PVA 섬유로 보강된 시멘트 복합체의 순환재료 치환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전 예비시험을 통해 물-결합재비(W/B=0.35, 0.45)를 선정하였으며, PVA 섬유는 결합재 체적비 2%로 선정하였다. 자원순환형 재료의 치환율은 25%, 50%로 설정하였으며 Table 4에 배합조건을 나타내었다. 시험체는 휨 및 압축강도 시험체 10개, 직접인장강도 시험체 10개 등 배합별로 20개의 시험체, 총 240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압축강도 및 휨강도 공시체의 제작과 시험은 KS L ISO 67912)에 준하여 40×40×160 (mm) 몰드에 타설하여 제작하였다. 직접인장강도 실험의 경우 Fig.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덤벨형(dumbbell shape)으로 제작하였으며, Fig. 2(b)의 직접인장강도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거동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체는 타설 1일 후 탈형하여 28일 간 20±2°C의 조건으로 항온수조에서 수중양생 하였다.

Fig. 2

Specimen for direct tensile test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2.jpg

Table 4 Mix proportions of FRCCs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Table_CONCRETE_29_04_06_T4.jpg

1) Water, 2) Cement, 3) Sea sand, 4) Recycled sand, 5) Super plasticizer

*Air contents for calculating mix proportion was assumed to 2.0%.

3. CO2 배출량 평가 절차

3.1 시스템 경계

일반적인 구조물의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시스템은 구성 재료들의 생산 및 운반, 시멘트 복합체 생산 및 운반, 구조물의 시공, 사용연한 및 폐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3) LCA에 의한 CO2 배출량은 위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하나, 본 연구에서 변수로 다루고 있는 자원순환형 재료의 LCA에 대한 기여분은 구성 재료들의 생산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 배합에 따른 환경부하 측면 대비 강도의 효율성에 대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각 구성 재료들의 원재료 생산단계, 즉 자재 단계로 시스템 경계를 설정하였다. 이 때, 일반적으로 시멘트 복합체는 1m3 단위로 주문과 생산이 이루어지므로 FRCCs 배합단계에서 CO2 평가를 위한 기능단위는 1m3로 설정하였다.

3.2 LCI data base

FRCCs의 CO2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전과정 목록 데이터(life cycle inventory data base, LCI DB)는 각 재료들의 생산, FRCCs 생산 단계에서 수반되는 각 활동들에서 필요한 입력요소와 배출요소들을 포함해야 한다. FRCCs 구성 재료 및 운송, 생산 활동에서 수집된 목록 데이터는 기온, 에너지원 및 천연자원의 차이에 따라 각 나라에서 상이하므로, 자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국가 LCI DB,15) 국토교통부 LCI DB16)를 조사하여 FRCCs 배합재료의 원재료 생산단계 CO2 배출계수를 Table 5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단, 주문진 표준사의 경우 바다모래를, PVA 섬유의 경우 국내․외의 LCI DB가 없어 기존 선행 논문1,17-19)을 참고하였으며, SP의 경우 일본 토목학회20)에서 제시하는 데이터목록을 이용하였다.

Table 5 LCI DB used for assessing CO2 emissions of FRCCs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Table_CONCRETE_29_04_06_T5.jp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3.3 단계별 CO2 배출량 평가

FRCCs의 기능단위에 대한 각 재료의 출구에서부터 FRCCs 시공 전 단계까지의 시스템에서 배출된 전체 CO2 양(/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11.gif)은 다음 식 (1) 및 (2)에 의해 산정할 수 있다.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21.gif (1)

여기서,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32.gif은 시멘트, 각 혼화재, 골재, 물 및 혼화제(감수제)를 포함하는 재료단계에서의 CO2 배출량,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33.gif는 각 재료 및 생산된 FRCCs 운반단계에서의 CO2 배출량,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34.gif는 공장에서 FRCCs 배합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으로부터 산정된 생산단계에서의 CO2 배출량이다.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44.gif (2)

여기서,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45.gif는 FRCCs 생산을 위해 이용된 각 재료들이며,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46.gif은 이들 재료들의 수이며,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57.gif/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58.gif는 각각 재료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59.gif의 단위질량(kg/m3)과 CO2 배출계수(CO2-kg/kg)이다.21)

FRCCs의 CO2 배출량 저감 기술의 적용은 자재단계, 운송단계, 제조단계별로 평가가 가능하다. 자재 단계의 경우 시멘트 대신 자원순환형 재료를 치환하여 자재단계에서의 배출되는 CO2 배출량의 저감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운송단계는 근거리 조달 및 에너지 절감부문으로 구분된다. 제조단계의 경우 신․재생 에너지 적용 및 제조설비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22) 본 연구에서는 자원순환형 재료를 이용하여 FRCCs 배합에 따른 환경부하 저감 성능을 평가하기 때문에 자재단계까지만 CO2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운송단계 및 제조단계는 배제하였다.

Table 6은 FRCCs의 자재단계의 CO2 배출량 산정식인 식 (2)에 의해 계산된 FRCCs-2 (W/B=35%)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A열은 FRCCs 배합에 관련된 정보로써 각 재료의 단위용적질량이며, B열은 각 재료의 LCI DB에서 제공하는 CO2 원단위이며 FRCCs 생산을 위한 구성 재료들의 생산에 따른 CO2 배출량은 A열과 B열의 곱으로 산정하였다. 이때 각 배합에 사용된 물의 양은 천연골재에 비해 높은 순환골재의 흡수율(4.32%)을 고려하여, 순환골재의 표건에 필요한 흡수수량을 추가적으로 산입하였다.

Table 6 Example of CO2 assessment for FRCC-2 (W/B=35%)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Table_CONCRETE_29_04_06_T6.jpg

3.4 결합재 지수(/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6A.gif) 및 CO2 지수(/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6B.gif)

Table 6과 같이 FRCCs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들의 CO2 배출량은 OPC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FRCCs의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OPC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결합재의 환경영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Yang,23) Damineli24) 및 Aïtcin25) 등은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결합재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Damineli은 콘크리트의 환경에 대한 효율성은 소요 강도 및 내구 연한에 대한 전체 결합재 소비측면에서 정의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편, 콘크리트의 강도 증가는 구조부재의 단면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양의 감소에 의한 CO2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강도(1MPa)의 발현을 위한 결합재 및 이에 따른 CO2 양이 평가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Damineli이 제시한 결합재 지수(/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7B.gif)와 CO2 지수(/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7C.gif)를 이용하여 플라이 애시 및 순환 잔골재 치환에 따른 FRCCs 결합재의 환경성능을 평가하였다.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7D.gif (3)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8E.gif (4)

여기서,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8F.gif는 FRCCs 기능단위(1m3)에 대한 결합재 양(kg/m3)이다.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90.gif는 기능단위(1m3)에 대한 총 CO2 배출량(kg/m3)이며,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A1.gif는 압축강도, 휨강도, 직접인장강도 등 각각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강도(MPa)이다.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FRCCs 배합에 따른 역학적 특성

Table 7은 W/B 35% 및 W/B 45% 배합시 순환재료의 치환율에 따른 재령 28일에서 압축, 휨 및 직접인장강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W/B가 감소할수록 각 배합에서의 압축, 휨 및 직접인장강도는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휨 하중-변위 곡선은 자원순환형 재료에 따른 특이한 사항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B 35% 및 W/B 45%에서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25%인 FRCCs-2 및 FRCCs-3의 강도는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의 감소가 미비하거나 증가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25%인 FRCCs의 경우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50%인 FRCCs-4 및 FRCCs-5의 강도는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순환 잔골재의 제거되지 않은 구 모르타르와 시멘트 페이스트 사이의 계면 접착강도 감소와 함께 플라이 애시의 포졸란 반응에 의한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강도 발현이 안 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25%인 FRCCs-2 및 FRCCs-4의 휨 및 압축강도와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50%인 FRCCs-3 및 FRCCs-5 의 경우 동일한 W/B에서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25%인 배합보다 50%인 배합에서의 휨, 압축 및 직접 인장강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실험요인에서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플라이 애시의 초기강도 발현 지연 효과에 의해 강도가 다소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1) 하지만 FRCCs-2 및 FRCCs-4의 직접인장강도는 플라이 애시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동등하거나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플라이 애시가 시멘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분말도로 인하여 섬유와 결합재 매트릭스 사이를 좀 더 치밀하게 부착 및 유지시켜 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26,27)

Table 7 Compressive, flexural and tensile strengths of 28-day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Table_CONCRETE_29_04_06_T7.jpg

4.2 FRCCs 배합에 따른 CO2 배출량

보강섬유가 혼입되는 시멘트 복합체는 상대적으로 시멘트량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ECC (Engineered Cementitious Concrete)의 경우 CO2 배출량이 일반 콘크리트의 2.61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8)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 애시, 순환 잔골재 등을 적용함으로써 FRCCs 제작 시 자재 단계에서 발생되는 CO2 배출량 저감 효과와 함께 FRCCs-1의 성능 대비 90% 이상 유지하도록 목표를 설정하였다. CO2 배출량은 Fig.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재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W/B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CO2 배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W/B가 감소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높은 압축강도 발현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결합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W/B가 45%에서 35%로 감소됨에 따라 소비되는 결합재의 양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W/B 35%의 모든 배합이 W/B 45% 배합에 비하여 14.4∼16.1%의 차이를 보이며 CO2 배출량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Comparison of CO2 emission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3.jpg

각각의 W/B 배합에서 FRCCs-1은 828.0, 696.2kg/m3의 CO2 배출량을 나타냈으며 이를 순환재료 치환율에 따른 CO2 배출량으로 분석한 결과, W/B 35%에서 CO2 배출량은 FRCCs-1 대비 FRCCs-2는 26.5%, FRCCs-3은 26%, FRCCs-4는 51.4%, FRCCs-5는 50.8%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의 플라이 애시가 치환된 FRCCs-2 및 FRCCs-3를 비교한 결과, 순환 잔골재의 의한 CO2 배출량 차이는 FRCCs-3이 0.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의 플라이 애시가 치환된 FRCCs-4 및 FRCCs-5에서 순환 잔골재의 의한 CO2 배출량 차이는 FRCCs-5가 1.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25%인 FRCCs-2 및 FRCCs-4는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FRCCs-4의 CO2 배출량이 33.9% 감소하였으며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50%인 FRCCs-3및 FRCCs-5에서는 FRCCs-5의 CO2 배출량이 33.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B 45%에서 CO2 배출량은 FRCCs-1 대비 FRCCs-2는 25.9%, FRCCs-3은 25.3%, FRCCs-4는 50.7%, FRCCs-5는 49.9%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의 플라이 애시가 치환된 FRCCs-2 및 FRCCs-3를 비교한 결과, 순환 잔골재의 의한 CO2 배출량 차이는 FRCCs-3이 0.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의 플라이 애시가 치환된 FRCCs-4 및 FRCCs-5에서 순환 잔골재에 의한 CO2 배출량 차이는 FRCCs-5가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25%인 FRCCs-2 및 FRCCs-4는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FRCCs-4의 CO2 배출량이 33.4% 감소하였으며 순환 잔골재의 치환율이 50%인 FRCCs-3및 FRCCs-5에서는 FRCCs-5의 CO2 배출량이 3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순환형 재료를 사용한 FRCCs의 CO2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플라이 애시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CO2 배출량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순환 잔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W/B 35%의 각 배합의 CO2 배출량은 약 0.6% 및 1.1% 증가하였으며, W/B 45%에서는 약 0.8% 및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B가 높아질수록 결합재의 양은 줄지만 상대적으로 잔골재량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순환 잔골재 치환율 대비로 분석하게 될 경우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높아질수록 CO2 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LCI DB의 순환골재 CO2 배출계수는 건설 폐기물을 수송하는 단계를 거쳐 이를 분쇄 및 파쇄하여 생산하는 제조 단계까지를 고려하여 산정된다. 특히 FRCCs에 사용된 순환 잔골재의 경우 5mm 이하로 선별하는 작업이 추가되어 주문진 표준사 보다 CO2 배출계수가 높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건설 폐기물 저감 및 천연골재 대체자원으로서의 재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향후 자원순환형 재료 개발 시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W/B에 상관없이 Plain의 CO2 배출량은 FRCCs-1에 비해 1.0∼1.1%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lain의 경우 PVA를 혼입하지 않아 CO2 배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험한 FRCC 배합에 따른 자재단계의 CO2 배출량은 W/B보다 플라이 애시의 치환율에 따른 CO2 배출량 감소가 더 크게 확인되었으며, 순환 잔골재에 의한 CO2 배출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미비하였다.

4.3 결합재 지수(/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A2.gif)

본 연구에서는 각 배합에 따른 역학적 특성 실험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각 실험에 따른 압축, 휨 및 직접인장강도와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A3.gif의 관계를 Figs. 4∼6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PVA가 혼입되지 않은 Plain의 경우 FRCCs의 인장특성을 발현하지 않으므로 분석에서는 배제하였다. 모든 강도 특성과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B3.gif의 관계에서 W/B 45%에 비하여 W/B 35%인 경우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B4.gif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결합재 양이 증가함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Fig. 4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B5.gif and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C6.gif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4.jpg
Fig. 5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C7.gif and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C8.gif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5.jpg
Fig. 6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D8.gif and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D9.gif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6.jpg

Fig.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축강도의 경우 플라이 애시 50% > 플라이 애시 25% > OPC 100% 순서대로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DA.gif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단위 압축강도(1MPa)를 발휘하기 위한 결합재의 양이 OPC보다 플라이 애시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W/B 35%의 경우 플라이 애시 25% 치환 시 압축강도가 43.36∼47.21MPa로 감소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아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DB.gif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순환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압축강도 또한 차이가 미비하였다. 하지만 플라이 애시 50% 및 순환 잔골재를 25% 치환한 FRCCs-4는 38.08MPa로 17% 감소, 플라이 애시 50% 및 순환 잔골재를 50% 치환한 FRCCs-5는 33.65MPa로 26.7% 감소하여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EC.gif 증가량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된다. W/B 45%의 경우 플라이 애시 50% 치환율에서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ED.gif도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플라이 애시의 치환율에 따른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EE.gif가 W/B 35%보다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Fig.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W/B 35%의 휨 강도는 압축강도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입된 PVA의 섬유가교작용에 의한 영향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W/B로 인하여 W/B 45%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RCCs-2 및 FRCCs-3은 FRCCs-1에 비해 순환 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휨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라이 애시의 치환율과 순환 잔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단위 압축강도(1MPa)를 발휘하기 위한 결합재의 양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인장강도의 경우 Fig.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축 및 휨강도와 다른 경향으로 나타났다. 플라이 애시를 50% 치환한 배합이 강도가 높게 측정되어 강도 대비 낮은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3FF.gif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순환 잔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직접인장강도가 감소하여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00.gif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직접인장강도만 고려했을 시 가장 우수한 배합은 플라이 애시 50% 와 순환 잔골재 25%가 혼입된 FRCCs-4 배합으로 나타났다.

4.4 CO2 지수(/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01.gif)

본 연구에서의 각 배합별 역학적 특성 실험 결과를 정리하여 각 실험에서의 강도를 무차원화한 값과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11.gif의 관계를 Figs. 7∼9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PVA가 혼입되지 않은 Plain의 경우 FRCCs의 특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분석에서는 배제하였다.

Fig. 7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12.gif and normalized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13.gif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7.jpg
Fig. 8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24.gif and normalized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25.gif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8.jpg
Fig. 9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26.gif and normalized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37.gif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Figure_CONCRETE_29_04_06_F9.jpg

Fig.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W/B에 관계없이 플라이 애시가 50% 치환된 FRCCs-4 및 FRCCs-5의 경우 FRCCs-1에 비하여 20% 이상의 높은 CO2 저감율을 보였으며, CO2 대비 압축강도 측면에서 W/B 35% 배합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FRCCs-4 및 FRCCs-5의 압축강도는 FRCCs-1에 비하여 10%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이 애시를 25% 치환한 FRCCs-2 및 FRCCs-3 배합의 경우 플라이 애시를 50% 치환한 FRCCs-4 및 FRCCs-5 비하여 CO2 배출량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압축강도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능유지 범위 내에 만족하여 CO2 배출량 대비 압축강도 측면에서는 가장 우수한 배합으로 판단된다.

휨강도와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38.gif의 관계는 Fig. 8에 나타난 바와 같다. 압축강도와 마찬가지로 FRCCs-4 및 FRCCs-5 배합은 CO2 저감율은 높지만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한 성능유지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플라이 애시를 25% 치환한 FRCCs-2 및 FRCCs-3이 CO2 배출량 저감 및 휨강도 확보에 있어서 더 우수한 배합으로 나타났다.

직접인장강도와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39.gif의 관계를 Fig. 9에 나타내었다.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 경우와 달리 플라이 애시와 순환 잔골재를 50% 치환한 FRCCs-5 배합을 제외한 모든 배합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능유지 범위를 만족하였다. 이는 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OPC보다 높은 분말도를 가진 플라이 애시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플라이 애시가 50% 치환된 배합들이 높은 직접인장강도 성능을 발현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W/B 45%의 FRCCs-4 배합은 FRCCs-1에 비하여 CO2 배출량은 50% 이상 감소된 반면, 직접인장강도는 10% 이상 향상되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자원순환형 재료를 이용한 FRCCs를 제조하여 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FRCCs 의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49.gif/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4A.gif와 역학적 특성 간 관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자원순환형 재료를 사용한 PVA FRCCs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순환 잔골재 및 플라이 애시를 치환하였을 경우, 휨 및 압축강도는 감소하였으나 직접인장강도는 동등하거나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순환 잔골재 및 플라이 애시를 각각 50% 치환하는 경우 가장 낮은 강도특성을 나타났다.

2)CO2 배출량은 W/B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W/B 35%와 W/B 45%의 CO2 배출량 차이는 평균 15.2%로 나타났다. 플라이 애시의 치환율이 높아질수록 CO2 배출량은 평균 24.8% 감소하였으며, 순환 잔골재의 치환율이 높을수록 CO2 배출량은 평균 0.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미비하였다.

3)/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4B.gif는 W/B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OPC에 비해 플라이 애시를 치환한 배합이 더 높게 나타났다. 플라이 애시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5C.gif 또한 증가하여, 단위 강도(1MPa)를 발휘하기 위한 결합재의 양이 OPC보다 플라이 애시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압축, 휨 및 인장강도와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5D.gif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원순환형 재료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Resources/kci/JKCI.2017.29.4.379/images/PIC45E.gif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순환형 재료를 치환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해서 90% 이상의 역학적 특성별 성능유지를 위한 플라이 애시 및 순환 잔골재의 치환율은 압축강도의 경우 플라이 애시 25%와 순환 잔골재 25% 및 50% 배합이며, 휨강도는 플라이 애시 25%와 순환 잔골재 25% 배합으로 나타났다. 직접인장강도는 플라이 애시 25% 및 50%와 순환 잔골재 25%로 나타났다.

5)특히, W/B 45%, 플라이 애시 25% 및 순환 잔골재 25%가 치환된 FRCCs-3 배합이 FRCCs의 성능발현 및 CO2 배출량 저감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5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15R1C1A1A02036481).

References

1 
Kim, S. W., Cha, J. H., Kim, Y. Y., and Yun, H. D., “Mechanical Properties of Strain Hardening Cement-Based Composite (SHCC) with Recycled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5, 2010, pp. 727-736.DOI
2 
Park, C. W. and Park, S. K., “Eco-Friendly of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6, 2008, pp. 24-26.Google Search
3 
Kim, J. J., Hwang, I. S., Lee, S. H., and We, J. W.,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ngth Improvement and Reduction by Using Eco-concrete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19, No. 13, 2011, pp. 80-87.Google Search
4 
Gartner, E., “Industrially Interesting Approaches to “Low-CO2” Cemen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4, No. 9, 2004, pp. 1489-1498.DOI
5 
Prasad, B. K. R, Eskandari, H., and Reddy, B. V. V., “Predic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SCC and HPC with High Volume Fly Ash Using AN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 No. 1, 2009, pp. 117-128.DOI
6 
Ginés, O., Chimenos, J. M., Vizcarroa, A., Formosa J., and Rosell, J. R., “Combined Use of MSWI Bottom Ash and Fly Ash as Aggregate in Concrete Formulation: Environ-mental and Mechan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69, No. 1, 2009, pp. 643-650.DOI
7 
Park, R. S. and Bae, J. 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Recycled Aggregates Using Surface Treatme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3, 2007, pp. 421-426.Google Search
8 
Lee, K. H., Park, H. J., Lee, D. G., Han, S. I., Kim, H. S., and Kim J. M., “A Fundamental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Recycled Aggregate by Na2CO3(Aq)”,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Korea Concrete Institute, Yongin, Korea, Vol. 21, No. 2, 2009, pp. 435-436.Google Search
9 
Yang, K. H., Song, J. K., Choi, D. O., and Lee, H. S., “CO2 Assessment of Alkali-Activated Concrete Based on Korean LCI Databas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6, 2011, pp. 36-39.Google Search
10 
Yang, E. H., Yang, Y., and Li, V. C., “Use of High Volumes of Fly Ash to Improve ECC Mechanical Properties and Material Greenness”, ACI Materials Journal, Vol. 104, No. 6, 2007, pp. 620-628.Google Search
11 
KS L 5201, Portland Cement, Korea Standards Association, 2016.Google Search
12 
KS L ISO 679, Methods of Testing Cements-Determination of Strength, Korea Standards Association, 2006.Google Search
13 
Yang, K. H. and Moon, J. H., “Design of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and Unit Content of Binder for Reducing CO2 Emission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4, No. 5, 2012, pp. 597-604.DOI
14 
Jung, Y. B. and Yang, K. H., “Mixture-Proportioning Model for Low-CO2 Concrete Considering the Type and Addition Level of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7, No. 4, 2015, pp. 427-434.DOI
15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Korea LCI Database Information Network, http://www.epd.or.kr/lci/co2.asp.Google Search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SEED M, http://g-seed-m.org/lci/lcidbinfo/type/2.Google Search
17 
Yang, E. H., Yang, Y., and Li, V. C., “Use of High Volumes of Fly Ash to Improve ECC Mechanical Properties and Material Greenness”, ACI Materials Journal, Vol. 104, No. 6, 2007, pp. 620-628.Google Search
18 
Huang, X., Ranade, R., and Li, V. C., “Feasibility Study of Developing Green ECC Using Iron Ore Tailings Powder as Cement Replacement”,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25, No. 7, 2012, pp. 923-931.DOI
19 
Nematollahi, B., Ranade, R., Sanjayan, J., and Ramakrishnan, S.,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ustainable Lightweight Strain Hardening Geopolymer Composites”, Archives of Civil and Mechanical Engineering, Vol. 17, No. 1, 2017, pp. 55-64.DOI
20 
Sakai, K. and Kawai, K., JSCE Guidelines for Concrete No. 7: Recommendation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Concrete Structures,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006, p. 29.Google Search
21 
Jung, Y. B., “Low CO2 Design Approach of Normal-weight· Lightweight Concrete Structures Based on the Minimized Use of Cement and Lightweight Aggregates”, Ph.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2007, pp. 36-37.Google Search
22 
Kim, T. H. and Tae, S. 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of CO2 Emission in the Production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6, 2010, pp. 787-796.DOI
23 
Yang, K. H., Song, J. K., and Song, K. I., “Assessment of CO2 reduction of alkali-activated concret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39, No. 1, 2013, pp. 265-272.DOI
24 
Damineli, B. L., Kemeid, F. M., Aguiar, P. S., and John, V. M., “Measuring the Eco-Efficiency of Cement Us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2, No. 8, 2010, pp. 555-562.DOI
25 
Aı̈tcin, P. C., “Cements of Yesterday and Today: Concrete of Tomorrow,”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0, No. 9, 2000, pp. 1349-1359.DOI
26 
Cha, J. H., Song, S. H., Jang, Y. H., Jeon, E., Kim, Y. Y., and Yun, H. D.,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 mixing Fly ash and PET Fiber”,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Korea Concrete Institute, Yongin, Korea, Vol. 21, No. 2, 2009, pp. 227-228.Google Search
27 
Bang, J. W., Hyun, J. H., Seo, J. S., Lee, E. S., Lee, B. J., and Kim, Y. Y., “The axial tensile properties of the Green SHCC in accordance with types of fly ash”,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Korea Concrete Institute, Goseong, Korea, Vol. 25, No. 2, 2013, pp. 323-324.Google Search
28 
Rister, B. and Graves, C., The Cost of Construction Delays and Traffic Control for Life-Cycle Cost Analysis of Pavements, 2002, Kentucky Transportation Center,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Kentucky, p. 46.Google Search